DC 화재, UPS 안전성 불신 확대

2022-10-29

국회 산업委 국정감사, 안전관리 사각지대 전수조사 요구



SK C&C 판교데이터센터(DC: DataCenter)에서 UPS 배터리가 원인으로 지목된 화재사고가 발생해 UPS 안전성 확보 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는 전국의 대용량 UPS 전수조사도 언급됐다.

10월15일 오후 3시33분경 SK C&C 판교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 카카오, 네이버 등 입주기업의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 소방당국과 SK C&C 등에 따르면 판교데이터센터 전기실에서 화재발생 후 2시간여만인 5시46분 초진됐으며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이번 화재로 인해 서비스 제공이 중단된 카카오는 화재진화 및 전원공급 후 2시간 이내 정상화를 예상했지만 다음날인 16일 오전이 돼서야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었다. 네이버는 스마트스토어 상세페이지 접속이나 구매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장애를 겪었다.

김성환 의원, “UPS 전수조사해야”
이번 SK C&C 데이터센터 화재사고의 원인이 UPS(Uninterruptible PowerSupply: 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로 밝혀지자 안전관리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2의 카카오 대란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대한 전수조사와 함께 조속한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UPS와 관련된 화재사건은 꾸준히 발생해왔다. △한국감정원 화재(2018년) △공영홈쇼핑 화재(2019년) △수원시청 화재(2019년) △동인천역 화재(2020년) △KT영동지사 화재(2020년) △메가박스 화재(2022년) 등이 UPS 문제로 인한 화재다.

UPS는 전원이 정전됐을 때 부하전력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 사용하는 전원장치로 대부분 DC에서 서버가 끊기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UPS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경우는 예비 동력원인 UPS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진화를 위해 주전원을 차단하면서 서버에 전원공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DC는 2021년 기준 전국 159개가 운영 중이며 2025년까지 188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UPS는 전자금육감독규정과 의료법에 따라 병원의 중환자실과 은행 서버실에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만큼 대용량 UPS에 대한 화재예방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김성환 의원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SK C&C DC는 구축 이후 전기안전공사가 진행한 수·발전설비에 대한 안전점검이 총 57회 이뤄졌고 전부 합격을 받았다”라며 “합격처분을 받은 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한 이유는 검사대상에 UPS가 해당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5월 산업부는 ESS 안전관리자의 주기적 점검을 의무화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에너지 저장장치(ESS) 안전 강화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대책에는 UPS에 대한 안전관리가 미비하다는 문제의식과 자체 소화시스템 설치, 폭발 예방을 위한 감압 배출기능 설치를 추진하고 주기적 안전점검을 의무화하겠다는 개선책도 함께 담겨있었다.

김성환 의원은 “지난 5월 안전 강화대책이 발표된 이후 5개월이 흘렀지만 세부계획 수립에 있어 눈에 띄는 진전이 없다”라며 “카카오 대란은 예견된 인재이자 대책이 신속하게 마련됐다면 방지할 수 있었던 사고”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성환 의원은 대책마련과 더불어 UPS와 같이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설비에 대한 철저한 전수조사를 요구했다.

최인식 기자 ischoe@kharn.kr
저작권자 2015.10.01 ⓒ Kharn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칸(KHARN)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로 171, 마곡나루역프라이빗타워Ⅱ 1006호 (우 07788)
대표이사 겸 발행, 편집인 : 강은철 | 사업자등록번호: 796-05-00237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아561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강서4502호
정기구독문의: 02-712-2354 | 이메일 : kharn@kharn.kr
Copyright ⓒ khar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