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스페셜리포트

[인터뷰] 황수찬 그린데이터센터인증위원장(항공대 교수)

“그린데이터센터인증 활성화, 정부지원 혜택 시급”
IDC 국제표준화 진행중…국내기업 적극 참여해야



2012년부터 그린데이터센터인증이 시작된 이후 국내 20개의 데이터센터들이 인증을 획득했다.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는 인증의 권위와 효용성을 담보하기 위해 그린데이터센터인증위원회를 구성해 엄격한 심사와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그린데이터센터인증위원회의 황수찬 위원장을 만나 인증의 의미와 관련표준화 방향을 들어봤다.

■ 그린데이터센터인증은
‘그린데이터센터’는 기계, 조명, 전기, IT장비(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 전체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운영되는 데이터센터 시설이다. ‘그린데이터센터인증’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효율에 대한 인증기준과 적합성 심사를 통해 기준 이상의 에너지효율을 달성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전력사용량이 많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효율을 개선해 고효율, 저전력 데이터센터로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된 민간인증제도이며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과 국가정보화기본법을 통해 과거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던 데이터센터 전력효율화 정책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평가기준, 인증기준, 프로세스를 확립 후 2012년부터 매년 시행 중이다.

■ 인증제 탄생배경과 현황은
데이터센터 표준화에 대한 작업은 11년 전부터 시작됐다. ISO(국제표준화기구) 산하의 SC39에서 데이터센터 관련 표준작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WG1에서 데이터센터 자원관리 효율화를, WG3에서 데이터센터 시설 및 기반시설을 관장하고 있다.

미국이 주도해 데이터센터 효율을 지표화하는 PUE를 만들자 우리나라에서도 국제추세에 맞추기 위해 그린데이터센터인증제를 만들었다. 그린데이터센터인증제를 실시하는 이유는 국내 데이터센터수준을 높이기 위한 설비의 선진화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서다.

국제표준을 적용하기 위해 시작했던 당시 국내 데이터센터는 에너지효율화에 대한 개념이 부족했던 시기였다. 인증제 초기의 국내 데이터센터는 대기업 위주로 운영되고 있었지만 정작 본인들의 에너지효율이 얼마인지를 모르는 센터도 있었다.

당시 잘 운영되고 있던 데이터센터는 PUE 2.0, 효율이 떨어지는 곳은 PUE 3.0이던 곳도 있었다. 현재 네이버 ‘각’이나 삼성SDS, LG CNS 등은 1.x 초반대로 내려올 만큼 효율수준이 올라갔다. 이러한 발전에는 그린데이터센터인증이 큰 역할을 했다고 자부한다.

하지만 인증을 획득하는 데 비용이 소모되는데 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혜택이 부족해 현재는 정체 중인 상황이다.



■ 향후 표준화 방향은
데이터센터 표준이 정부주도로 만들어진다면 규제화될 확률이 높다. 그린데이터센터인증제를 만들 때만해도 관련법을 만들고 시행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민간부문에서 시작했다.

인증제도는 민간주도로 시행되며 정부가 혜택을 지원해주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다. 정부가 주도할 경우 규제화될 수 있으며 잘못하다가는 국제무역상 불공정거래에 해당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민간이 주도할 시 기업들의 의견이 잘 반영될 수 있지만 자발적으로 필요에 의해 획득하는 인증이기 때문에 안해도 아무런 패널티가 없으니 활성화가 어려울 수 있다.

그린데이터센터인증제 시행 후 몇 년간 국제표준을 따라갈 수 있는 선진기술에 대한 정보획득이 기업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기술이 오픈된 현재는 이러한 메리트가 많이 줄어든 상태다.

인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 운영주체들에게 인증의 당위성을 부여해줘야 한다.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해당 데이터센터가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든지 운영상 혜택을 받든지 동기부여가 꼭 필요하다.

결국 민간활성화를 끌어내기 위한 메리트가 있어야 하는데 정부가 지원하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IT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 데이터센터운영은 행정안전부, 설비는 산업통상자원부, 건설은 국토교통부 등으로 기능이 여러부처로 나눠져있기 때문에 한 곳만 설득한다고 해서 실제 지원이 이뤄지기 힘든 구조다.

■ 국제표준 진행상황은
ISO SC39 WG1은 PUE부터 시작했지만 △물 △탄소배출 △에너지재사용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핵심지표들이 추가되고 있다.

WG3는 데이터센터의 설비, 인프라 표준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러한 표준안들은 표준제정에 참여하고 있는 국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수정안을 만들며 투표를 진행하는 과정을 거친다.

현재 건설, 전기, 케이블링, 신뢰성 등 분야는 유럽에서 주도하고 미국, 일본 등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고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의 의견을 제시하기 힘든 상황이다.

국내 현실을 표준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국내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출해야 하는데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KDCC)가 의견을 모으려 해도 기업들의 피드백이 없다. 그린데이터센터인증제가 시들해지면서 이러한 피드백을 받기가 더욱 힘들어졌다.

국내에서도 몇몇 전문가가 ISO에 참가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들의 참여도가 떨어져 애를 먹고 있다. 이런 식으로 우리 의견이 전달조차 되지 않는다면 국내 상황과 동떨어진 국제표준이 생길 수 있다.

현재 외국기업이 국내 데이터센터에 입주하면 그들의 입맛에 맞춰 내부설비를 새로 만들다시피 뜯어고치고 있는 실정이다. 시설기준에 대한 단어 하나에도 오랜시간 논쟁이 벌어진다.

해외기업은 자국의 법에 맞는 시설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한다. 우리나라 규정에 따라 이러한 설비를 갖췄다라고 해야하는데 표준이 제대로 정립돼있지 않아 대응논리가 없다.

국제표준이 제정되고 이에 맞춰 데이터센터 설비가 갖춰지면 이러한 소모적 논쟁과 많은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기대된다.

■ 산·학·관 각계 역할은
학교에서는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기술적 이론을 발달시키고 전문인력 양성에 힘써야 한다. 하지만 인력양성부문에서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데이터센터라는 특화된 건물을 설계하는 것은 물론 전체적인 관리를 어떻게 해야할지는 학교가 아닌 기업에 들어와서 배울 수밖에 없다. 대학원에서 이러한 과정을 만드는 방안을 KDCC와 협의하고 있다.

산업계는 전문인력이 양성될 수 있도록 근로여건을 향상시키고 표준제정에 관해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국제표준이 제정되면 우리나라는 따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당장 투입되는 인력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미래를 고려해 제정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관심을 가
져야 한다.

정부는 데이터센터라는 건물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건축, 전력 등 분야의 규제를 개선하고 효율적으로 건설되고 운영되는 데이터센터에 대해서는 법적인 혜택이 부여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