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전국 지자체 중 RE100 달성지역 4곳 확인

에너지전환포럼, 2020년 기준 재생E 전력자립률 조사

에너지전환포럼이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20년 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을 조사한 결과 100% 이상을 달성한 RE100 지역이 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RE100을 달성한 지역은 △경북 영양군 509% △전북 진안군 127% △강원 화천군 102% 등이다. 이외에도 △전남 신안군은 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이 99.8%로 사실상 RE100에 준하는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전력소비량

재생에너지발전량

재생에너지자립률

경북 영양군

114,809

584,597

509.2%

전북 진안군

207,046

263,253

127.1%

강원 화천군

254,492

260,285

102.3%

전남 신안군

304,933

304,309

99.8%

▲2020년 RE100 달성 지역의 전력소비량과 재생에너지발전량(단위: MWh).

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은 전력소비량대비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비율이며 재생에너지는 태양광, 풍력, 수력, 해양 에너지를 말한다.

RE100 달성 지역의 재생에너지 원별 발전량 분석 결과 핵심적인 에너지전환 이행 수단은 풍력이었다. RE100 지역의 경우 재생에너지 전체 발전량 중 풍력비중이 46.3%로 가장 높았고 태양광이 28.1%로 다음을 차지했다.

4개 지역 중 경북 영양군은 지역 내 재생에너지 전체 발전량 중 풍력 비중이 90.9%로 가장 높았고 전남 신안군은 태양광이 59.7%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전남 진안군과 강원 화천군은 재생에너지 전체 발전량 중 수력이 각각 61.1%와 77.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구분

태양광

풍력

수력

해양

전체4개 지역

발전량

1,412,444

396,274

654,075

362,095

0

발전 비중

100%

28.1%

46.3%

25.6%

0.0%

경북 영양군

발전량

584,597

53,025

531,572

0

0

발전 비중

100%

9.1%

90.9%

0.0%

0.0%

전북 진안군

발전량

263,253

102,284

0

160,969

0

발전 비중

100%

38.9%

0.0%

61.1%

0.0%

강원 화천군

발전량

260,285

59,159

0

201,126

0

발전 비중

100%

22.7%

0.0%

77.3%

0.0

전남 신안군

발전량

304,309

181,806

122,503

0

0

발전 비중

100%

59.7%

40.3%

0.0%

0.0%

▲RE100 달성 지역의 재생에너지 원별 발전량 및 발전비중(단위: MWh).

재생에너지 자립률이 50% 이상인 RE50 지역도 총 15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시군구의 6.6% 수준이다. RE50 지역의 특징으로는 대부분이 농촌 지역이고 인구가 적었다는 것이다.

이들 지역 중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와 같은 대도시 지역은 단 한 곳도 없었으며 86.7%인 13개 지역이 군 지역이었다. 이들 지역의 평균인구는 4만1,406명으로 전체 지역 모두 인구 10만 미만 지역이었으며 인구 5만 미만 지역이 11개였다.

한편 재생에너지 자립률이 1%에도 못 미치는 지역도 72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시군구의 31.9% 수준이다.

이중 수도권 지역이 49개로 전체 72개 지역 중 68.1%를 차지했으며 구체적으로는 서울 지역이 24개로 가장 많았다. 경기 지역은 18개, 인천 지역은 7개였다. 재생에너지 자립률 1% 미만 지역의 평균인구는 37만9,086명으로 50% 이상 지역보다 9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구과밀화가 집중된 대도시의 경우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대규모 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에너지전환포럼의 관계자는 “에너지자립률의 지역 간 불균형 문제가 재생에너지 자립률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대도시 지역의 경우 낮은 재생에너지 자립률을 극복하기 위해 도시의 공유지와 유휴부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대도시 지역의 경우 민간건물에 대한 재생에너지 설치확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며 재생에너지 생산뿐만 아니라 건물부문의 전력효율을 높이고 전력 소비를 낮추는 것과 같이 에너지 이용 합리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나아가 지역 간 교류를 활발히 함으로써 지방정부 중심으로 대도시의 재생에너지 설비투자를 농촌 지역으로 유도해 농민들의 소득증진과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에너지전환 상생협력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