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특별기획

해수열E 보급확대 본격화

2050년 해양에너지 800조원 시장전망
해수부·산업부, 해수냉난방시스템 보급


친환경 해수열에너지 이용 보급확대 계획이 본격화된다. 

주요국들은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개발전략을 수립, 해양에너지를 미래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인식하고 R&D 투자확대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EU는 2050년까지 전체 수요전력의 약 15%를 해양에너지로 대체할 것을 계획하고 있고 미국도 파력발전만으로 전력수요의 약 7%를 공급할 방침을 세우고 있다.

이러한 해양에너지의 시장규모는 2020년 7,800억원, 2030년 55조원, 2050년 이후 파급효과까지 고려 시 800조원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해양에너지 기술개발사업(R&D)에 해수부 1,100억원, 산업부 631억원 등 총 1,731억원을 투자해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이 계속될 예정이다.

해수부는 2017년 해양청정에너지기술개발(R&D) 예산으로 122억9,900만원을, 친환경에너지보급사업으로 183억8,800만원을 편성했다. 산업부는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R&D) 중 해양부문에 40억6,200만원을 배정했다.

부처간 협업 통한 보급확대 추진
국내 해양에너지 기술수준은 타 에너지원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있다. 선진국 기술수준과 비교해 2014년 75%를 달성했으며 2025년까지 95% 기술확보가 전망된다.

지금까지는 출연연 중심으로 R&D가 추진됐으나 육상중심의 신재생에너지 관련제도 운영과 민간기업의 참여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해양에너지 발전·보급 여건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제도개선 노력을 펼쳐왔다. 지난해 공공기관 의무 신재생에너지 공급원에 해수온도차 에너지를 포함시키고 산업부와 협업을 통한 2016년부터 해수냉난방시스템 보급사업을 추진했다.

해수부는 2020년까지 해수온도차, 파력, 조류 등 다양한 해양에너지 활용시스템의 시험·실증을 완료하고 ‘대규모 해양에너지 발전단지’ 조성기반을 구축, 2025년부터 약 260GWh의 전력생산체계를 구축한 대규모 해양에너지 이용단지 개발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 중 해수온도차에너지는 온도차 발전과 해수냉난방시스템에 이용된다. 해수냉난방은 1,000RT급 플랜트 성능평가를 완료하고 지난 2014년부터 3개소를 선정, 시범보급사업을 추진했다. 공공기관이 의무적으로 공급하는 신재생에너지 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꾸준한 보급확대가 추진될 예정이다.

특히 해양심층수 취수관 등 인프라가 설치된 강원도 고성에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계획을 세우고 2018년까지 핵심장비를 개발, 2019년부터 약 2,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9.2GWh 규모의 열에너지 공급설비를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해수냉난방시스템을 이용한 집단에너지 공급과 파력 조류 등 해양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한 어촌마을 해양에너지타운 시범조성이 추진되며 2021년부터 해수냉난방시스템을 이용, 어촌주택과 해양수산 공동시설에 연 2.7GWh 이상 규모의 전력 및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해수부의 관계자는 “해양에너지를 사용해 2025년까지 약 260GWh의 전력을 생산, 약 5만3,000가구에 상시 공급체계를 구축하고 대규모 발전단지 조성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해양에너지 R&D와 연계한 보급사업, 실해역 실증사업을 통해 해양에너지 시범 전력공급을 적극 추진, 2020년까지 실증사업 완료 후 대규모 해양에너지 발전단지 조성기반을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해양에너지 보급확산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해양에너지 발전설비 고도화 및 성능검증, 최적화 등을 통해 인프라 구축과 글로벌시장 진출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등 보급사업을 통한 발전소 온배수 활용, 기업 중심의 해양에너지 산업생태계를 조성한다. 특히 해양에너지설비 인증기준 및 성능검사, 전문인력양성 등 프로그램을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