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커버스토리

[인터뷰] 이승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건물 E케어 서비스 추진”
건물용 ‘의료보험’…E빅데이터 활용 진단·치료

건축물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실측기반의 데이터마련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가 마련하겠다고 밝힌 건축물에너지 정보인프라 등 다양한 플랫폼과 데이터베이스의 역할이 주목된다.


정보인프라 구축에는 AMI(원격검침기), IoT기기 등이 활용된다. 공간·용도마다 분리계측·계량해 실측기반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진단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게 된다.


특히 이를 토대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등이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건물 에너지케어 서비스’는 빅데이터를 실제 건축물의 개선으로 실현하는 방안이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제2차 녹색건축기본계획 워킹그룹의 총괄분과를 이끌고 있는 이승언 KICT 국민생활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을 만나 관련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 개발배경은
건물부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신축·기축·산업·주택 등 4가지 축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기축의 개선이 어려운 분야다.


먼저 비용의 문제가 있다. 비용은 3가지 측면으로 정리된다. △시공비용 △기존시스템 해체비용 △공사기간 건물활용 불가에 따른 기회비용 등이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도 어렵다. 규제하는 것이 쉽지만 사유재산에 국가가 관여할 근거와 명분이 적다.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명분이 있지만 규제를 가할 정도로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비용투입, 규제가 어렵다면 국가가 ‘케어’의 방법으로 접근해 비용을 줄이고 정밀한 진단을 제공해 개선을 권유·유도하는 형태로 접근해야 한다.


유리한 점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에너지정보공개시스템이라는 건물에너지 관리플랫폼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선진국은 주단위·지방정부 단위로 분산돼있고 에너지를 민간공급사들이 공급하거나 분산형·소규모로 돼 있어 취합이 쉽지 않다.


우리나라는 한국전력이 모두 관리하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AICBM(AI, IoT, Cloud, Big data, Mobile) 기술과 접목하면 충분히 훌륭한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 서비스를 소개하면
건물 에너지케어 서비스는 구축된 건축물에너지 정보인프라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용도별 분석 후 표준성능을 설정한 뒤 소비량이 특히 많은 건축물을 특정해 개선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국민들이 스스로 움직이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독려하는 일종의 넛지효과다. 또한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의 용이성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이는 의료보험시스템을 벤치마킹했다. 우리나라 의료보험시스템은 세계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 건물을 환자로, 에너지다소비를 질병으로 보고 국가가 국민의 건강을 관리하듯 건축물의 성능을 관리하는 체계다.


■ 추진 상황은
최근 ‘통합데이터 기반 건물에너지케어 기술개발사업 연구’가 종료돼 개발 로드맵을 마련한 상태다. 대규모 개발사업이어서 현재 국가R&D 예비타당성 조사를 앞두고 있는데 통상 통과율이 20% 내외로 높지 않다.


다만 개발의 당위성이 있는 만큼 2~3년간 지속 도전하면 통과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