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주거건물 E사용량 빅데이터 공개

용도·에너지원·연도 등 구분…‘그린투게더’ 게시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전국 모든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사용량 정보를 통합한 빅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주거용 건물에 대한 에너지사용량 통계를 지난 5월30일 발표했다.


주거용 건물 에너지사용량 통계는 지역별(광역시도 및 시군구), 주거 용도별(단독·다중·다가구·아파트·연립·다세대), 건물에너지(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별로 집계하며 올해부터 매년 5월말에 발표한다.


이번 에너지사용량 통계 및 분석 자료를 통해 지자체별 도시재생사업, 주택정비사업의 효과분석,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 및 효과적인 감축수단 발굴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2018년 주거용 건물 전체 에너지사용량(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은 1,935만9,000TOE이며 시·도별로는 경기(27%), 서울(22%)이 전국 에너지사용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돼 건물 연면적(43%)에 비해 에너지 사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경기, 인천 등 도시화율이 높은 수도권이 전체 연면적 대비 에너지사용량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용도별로는 아파트(59%)가 가장 높고 단독주택(15%), 다가구주택(14%), 다세대주택(10%), 연립주택(2%), 다중주택(0.4%)순으로 집계됐다. 아파트의 경우 전체 연면적(64%) 대비 에너지 사용량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타 세대와 인접하는 아파트 구조의 특성과 지역난방 비중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에너지원별로는 도시가스 사용량(5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기는 37%, 지역난방은 9%로 나타났다.


‘주거용건물에너지사용량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사용량 변경 추이를 분석하면 중부지방 기준으로 난방사용량이 30년전 사용승인(1985~1987년)된 아파트 및 단독주택과 최근(2015~2017년) 사용승인된 동일 유형 주택과의 단위면적당 난방사용량을 비교한 결과 최근 지어진 아파트는 43%(4.97→2.82 10⁻³TOE/㎡), 단독주택은 31%(6.98→4.78 10⁻³TOE/㎡)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한 단열기준 강화와 기밀시공 향상으로 난방사용량이 감소함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냉방사용량(0.6×10⁻³TOE/㎡)은 냉·난방사용량(6.8×10⁻³TOE/㎡)의 약 9%에 불과하고 시계열로 뚜렷한 증가 양상을 보이지는 않지만 향후 기후변화 및 생활수준 향상 등에 따라 사용량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전기사용량은 1980년 사용승인연도 이전 주거용 건물에 비해 이후 지어진 주거용 건물의 전기사용량이 줄어들고 완만하게 안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주거용 건물의 월별 전기사용량은 8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절기에 전기난방기기 등의 증가로 중간기에 비해 약 14%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단열기준과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등 녹색건축물 정책·제도 강화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변경 추이를 살펴보면 단열기준이 강화될수록 단위면적당 난방사용량은 모든 주택유형에서 지속적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1979년 9월 단열기준을 최초로 시행한 이후 2001년, 2008년, 2013년, 2016년, 2018년 개정을 거치며 지속적으로 상향됐다. 그 결과 에너지 사용량의 유의미한 감축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향후 시장의 수용성과 에너지절감효과 등을 감안해 단계적으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인증제도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사용량은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 도입(2001년) 이후 인증 아파트는 미인증 아파트에 비해 난방사용량이 22%(3.83→2.97 10-⁻³TOE/㎡) 낮고 인증제 도입 이전 아파트 수준에 비해 26%(4.01→2.97 10⁻³TOE/㎡) 낮아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의 효과가 확인됐다.


이와 같이 국토부 통계자료는 건축물 용도와 지역별 세분화 통계 분석이 불가능했던 종전의 에너지통계와 차별화된다. 주거용 건물 에너지사용량 통계자료는 한국감정원에서 운영 중인 녹색건축포털(그린투게더, http://www.greentogether.go.kr)의 건물에너지 통계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조회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국토부는 이번 ‘주거용건물에너지사용량통계’공표에 이어 ‘비주거용건물에너지사용량통계’를 단계적 마련함으로써 모든 건물부문 에너지사용량 통계를 생산하여 제공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사용량 추이 및 에너지사용량 효율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 등을 지속적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