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재탄소DB화로 건물 전생애 탄소중립 달성

2023-04-24

5개 녹색건축센터 기관별 제1차 포럼 국토관리원 주관
GR얼라이언스 5개 분과 연계, 녹색건축 미래성장 견인



제1차 녹색건축미래포럼이 4월19일 서울 강남구 소재 과학기술회관에서 국토안전관리원(원장 김일환) 주관 하에 ‘그린리모델링사업 내재탄소DB화 방안’을 주제로 개최됐다. 

건축물 전과정 탄소배출은 운영탄소배출(Operational Carbon)과 내재탄소배출(Embodied Carbon)로 구분되며 건축물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두 부문이 종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이상엽 국토관리원 차장은 주제 소개에서 “그링리모델링시 건축자재 전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을 수치화해 공개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전라권 GR플랫폼 특화사업으로 한옥과 연계한 그린리모델링 모델을 개발해 기축건물의 6%가량 차지하는 한옥 리모델링과 연계한 국산자재 활용 내재탄소 저감방안도 모색중”이라고 밝혔다. 

이 차장은 “녹색건축 자재시장은 2022년 58억 달러에서 2031년 292억 달러로 연간 19.6% 성장이 예측된다”라며 “실질적인 건축물 탄소배출 절감을 위해 건물운영뿐만 아니라 자재의 생산·운송·시공·폐기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재탄소를 저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첫번째 발제에 나선 노승준 금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탄소중립기술 ICC센터장)는 △건축물 내재탄소배출 개념 △내재탄소배출 산정체계 및 DB현황 △신축건축물 내재탄소배출 평가현황 △GR 내재탄소배출 평가사례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건축물 내재탄소배출과 그린리모델링 평가사례’를 발표했다.

노 교수는 “제로에너지건축물과 녹색건축 확대로 운영탄소배출량은 감소하고 있으나 고효율 단열재 및 창호 등에 의한 내재탄소배출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내재탄소가 건축물 온실가스감축에서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 교수에 따르면 건축물 내재탄소배출계수DB는 △산업연관분석DB  △국가 LCI DB  △환경성적표지 평가계수  △환경성적표지 탄소발자국 등이 있는데 산업연관분석DB는 산업연관표의 산업부문별 통화량을 이용해 추정된 베출계수로 분석대상범위가 넓고 배출계수 정확도는 낮다.  

국가 LCI DB는 국가 표준배출계수 전과정 평가수행을 위해 국가에서 구축한 구성요소별 투입물 및 산출물 정보이며 현재 총 438개이다. 이중 건출물 내재탄소배출 산정을 위한 국가 LCI DB는 건축자재 약 38개(금속 포함), 운송 약 10개, 폐기 약 12개이다. 건축자재는 레미콘 4종, 시멘트 6종, 도료 7종이 포함된다. 

환경성적표지(EPD) 평가계수는 환경성적표지 탄소발자국(저탄소제품인증) 산정을 위해 사용되는 평가계수로 배출계수 신뢰성은 우수하나 분석대상범위가 좁다. 현재 총 285개로 내재탄소배출 산정을 위한 평가계수는 건축자재 약 30개(금속/플라스틱 포함), 운송 약 7개, 폐기(매립/소각/재활용) 약 19개 등 총 56개이다. 

환경성적표지 탄소발자국은 실제 제품 및 서비스의 전과정 탄소배출량을 계량화해 인중을 부여한 배출계수로 신뢰성은 높으나 분석대상 범위가 좁다. 총 1,952개(2023. 4. 3. 기준)이며 건축자재(레미콘·석고보드·단열재·PHC파일 등) 관련 탄소발자국(저탄소제품 포함)은 약 1,400개이며 이중 990개가 레미콘이다 

신축건축물의 내재탄소배출 평가는 2016년 녹색건축인증세부지침(G-SEED)에△환경성선언제품(EPD) 사용 △저탄소자재사용 △녹색건축자재 적용비율 등이 3번 분야(재료 및 자원) 평가항목 및 혁신설계분야 가산항목으로 배점되면서 도입됐다.

노 교수는 국토관리원에서 추진하는 그린리모델링도 신축과 마찬가지로 전과정 관점에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라며 이를 위해 △그린리모델링 탄소배출 비교대상 검토 △시스템경계 설정 △표준시나리오 구축  세 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는 “그린리모델링사업을 통해 상향된 탄소배출 저감성능을 정량적으로 판단·비교하기 위한 대상검토가 필요하다”라며 “비교방법은 △재건축과 리모델링 △리모델링 성능중심 △그린리모델링 전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린리모델링에 투입되는 건축자재 및 에너지원의 물리적 출입구조 분석을 통해 탄소배출량 평가범위를 설정하는 시스템경계 설정이 필요하다”라며 “그린리모델링 내재탄소배출평가를 위한 단열재 및 창호 등 주요자재의 탄소배출계수와 평가결과의 일관성 확보를 위한 표준시나리오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음으로 고배원 인테그라디앤씨 대표가 ‘GR 탄소플랫폼의 방향’을 주제로 GR온실가스 관련 이슈와 해외 감축사례를 소개하고 제도를 제안했다.  

고 대표는 국가탄소중립녹색성장계획에 중복집계(Double Counting) 문제가 있다“라며 부처간 조율을 통해 전기, 자재 등 건물 관련 집계는 건물 부문으로 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EU 레노베이션 웨이브(Renovation Wave) △영국 브리암(BREEAM) △미국 리드(LEED) △미국 연방정부 GSA △캘리포니아 청정구매법(Buy Clean Act) △뉴욕시조례 97(The Local Law 97) 등 건축물 탄소배출 관련 해외 제도를 소개했다.

고 대표에 따르면 ‘Renovation Wave’는 그린리모델링에 대한 혁신적인 녹색금융 촉진에 중점을 둔 유럽그린딜의 일환이다. 영국 ‘BREEAM’은 60년 건물 수명을 기준으로 외벽·창문·지붕·슬래브·내벽·바닥재 등 요소별 온실가스배출량을 평가하는데 정량적 계산보다 설계반영(Concept Design)을 중요시하며 17개 민간 소프트웨어를 검증·사용토록해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미국 ‘LEED’는 구조체와 외피에 들어가는 모든 자재를 20개 이상 평가하게 되어 있고 버전5가 논의되기 시작했는데 전과정 평가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GSA’는 미국 연방정부가 공공건축물 탄소배출을 총괄·운영하는 기관이다. 2021년 10월부터 모든 연방정부 발주 프로젝트(신축·리모델링·대수선)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설계도서에 반영하도록 의무화했다. 

‘Buy Clean Act’는 세계 최초로 EPD규제를 시작한 캘리포니아주에서 일부 건축자재에 최대허용 탄소배출량 초과시 입찰을 금지한 제도로 대상 범위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NYC Local Law 97는 건축물 온실가스 총량제 중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법안이다. 뉴욕시는 2013년부터 건축물을 용도별 10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에너지사용량 DB를 구축해 왔다. 2019년 본 법안을 통과시키고 5년의 계도기간을 거쳐 2024년 1월 강제시행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40%, 2050년까지 80%의 건물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연면적 2,300m² 이상 약 5만동(뉴욕시 전체 건물 연면적의 60%)을 대상으로 배출 기준 미달성시 1톤당 최대 268달러 벌금이 부과되는데 이는 배출권 거래시세의 2.5~3배에 달하는 강력한 규제다. 

고 대표는 에너지이용합리화법,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계획 등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연계하는 총체적인 제도가 필요하다“라며 뉴욕시나 LEED처럼 긴 시간을 두고 준비할 수 없는만큼 혼란이 없도록 제도를 설계해 인허가서류·입찰·감리·입주후보고까지 전 과정을 세심하게 구축하고 업무 매뉴얼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벌과금·인센티브·인증제도 등을 망라한 종합적인 제도 설계 및 녹색투자금융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해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감축 로드맵을 산업계 및 건물주들과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녹색건축미래포럼 5개 기관 순환개최, GR얼라이언스와 매칭 

주제발표에 이어 녹색건축미래포럼 후속 주제가 소개됐다. 
5개 국가녹색건축센터는 이번 국토관리원 포럼을 시작으로 올해 기관별 녹색건축미래포럼을 순환개최한다. 정부 2050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른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달성 및 지속가능한 정책발굴을 위해 그린리모델링 얼라이언스(위원장 송두삼) 5개 분과와 매칭·활동하게 되며 한국에너지공단 ‘ZEB 활성화 및 민간수용성 제고방안’(6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녹색건축 국내외 저변확대’(8월) △한국부동산원 ‘탄소금융 등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촉진’(11월)  순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서윤규 한국에너지공단 박사는 오는 6월 공단이 주관할 포럼 주제는 ‘ZEB 활성화 및 민간수용성 제고방안’이라고 소개했다. 
 
서 박사는 공단은 국토부 지원 하에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제도, 건축물에너지설계기준 그리고 친환경주택인증 등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라며  가장 현안인 2024년 민간 의무화를 앞두고 ZEB인증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선정했다“고 말했다. 

장대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녹색건축센터장은 8월 주관할 포럼 주제는 ‘녹색건축 국내외 저변확대’라고 소개했다.

장 센터장은 20년간 녹색건축 인증관리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왔다“라며 ”지난해 건설연과 은행권이 그린주택담보대출 협약을 맺어 9개월간 73건 총 190억원 대출 기록을 올렸듯이 국가인센티브뿐만 아니라 민간도 ESG경영과 연계해 인증제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동영 한국부동산원 부장은 11월 주관할 포럼 주제는  ‘탄소금융을 활용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촉진’이라고 소개했다.

이 부장은 ESG 연계 금융상품 출시 및 금융기관 탄소중립 지원, 건물표준베이스라인(SBL) 개발 및 외부사업 연계 등을 다룰 예정이다라며 건물에너지성능통합정보 기반 탄소중립정책 지원을 다각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GR얼라이언스 5개 분과와 5개 녹색건축센터는 △1분과(요소기술)+한국건설기술연구원 △2분과(비즈니스모델)+건축공간연구원 △3분과(정책·제도)+한국에너지공단 △4분과(성과검증)+한국부동산원 △5분과(국제협력·지역확산)+국토안전관리원으로 매칭되며 △그린리모델링 저변확대 △그린리모델링과 ESG △그린리모델링 민간수용성 제고 △그린리모델링과 탄소금융 △녹색건축 전생애평가(LCA)를 고려한 그린리모델링 등 탄소중립 기여도가 높은 주제로 1년간 운영한 결과를 오는 12월 ‘그린리모델링 얼라이언스 성과발표회’에서 종합발표할 계획이다. 
이오주은 기자 yojest@kharn.kr
저작권자 2015.10.01 ⓒ Kharn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칸(KHARN)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로 171, 마곡나루역프라이빗타워Ⅱ 1006호 (우 07788)
대표이사 겸 발행, 편집인 : 강은철 | 사업자등록번호: 796-05-00237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아561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강서4502호
정기구독문의: 02-712-2354 | 이메일 : kharn@kharn.kr
Copyright ⓒ khar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