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세계 신재생E 일자리 4,300만개 전망

  • 등록 2022-01-21
크게보기

IRENA, "E전환 일자리 창출, 일자리 상실분 상쇄"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이 에너지전환에 따른 일자리 상실을 상쇄할 것이라는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국제노동기구(ILO)의 보고서가 발표됐다.

세계적으로 2015년 기후변화에 대응한 파리협정 채택 이후 2100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로 제한하기 위한 2050 탄소중립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IRENA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대비 최소 45% 이상 감축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경로를 따를 경우 신재생에너지분야 고용이 2050년 약 4,3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IRENA가 발표한 2021년 ‘Renewable Energy and Jobs’ 보고서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분야 고용은 2012년 약 730만명에서 2020년 약 1,200만명으로 증가했으며 이상기후 등 기후변화 여파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존 화석연료 산업의 인력 재교육 및 미래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영향 신재생E 고용위축
지난 10년간 신재생에너지분야의 고용이 꾸준히 증가해 2020년 약 1,200만명에 도달했다. 태양광발전 분야가 398만명으로 가장 많고 바이오에너지 352만명, 수력발전 218만명, 풍력에너지가 218만명 순이었다.

보고서는 태양광·풍력 등의 지속 투자가 재생에너지 장비의 제조·설치 등 비용을 낮춰 기술채택을 촉진하고 있으며 해당분야의 고용규모를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숙련기술자 및 미래인력 수급을 위한 산업계·정부·교육훈련기관 간 협력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기술성숙에 따라 AI, 컴퓨터과학 등 배경을 가진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 EU, 브라질, 미국, 인도가 글로벌 신재생에너지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고용은 전체의 약 73% 수준에 달한다. 특히 중국,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지역 국가들이 2019년 기준으로 전체고용의 62%를 차지한다.

다만 코로나19의 여파가 신재생에너지 일자리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활동 위축, 에너지공급 제한, 락다운 등으로 에너지분야 고용이 크게 위축됐으며 특히 여성이 남성대비 낮은 고용비율·지위로 인해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분야 여성고용은 전체 고용의 약 32% 수준이며 기술직, 관리직, 정책의사결정직보다 저임금, 비기술직, 홍보직 등에 고용될 가능성이 높아 코로나19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제조·운송·건설·운영 등 가치사슬 상 고용에 장·단기적 영향을 미친 원인으로 분석된다. 제조·조달의 경우 일시적 공장폐쇄로 공장노동자, 기술자, 엔지니어들의 작업이 중지돼 단기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운송·물류의 경우 부품부족, 사회적 거리두기, 검역 및 국경통제 등으로 중기에 큰 영향을 받았다.

건설·설치의 경우 락다운, 현장 작업자 수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등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 다만 운영·유지분야는 필수 인프라인 에너지발전 특성상 영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기술인력 양성 정책·지원방안 필요
향후 신재생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기후변화 정책 강화에 따라 각 국가의 기존 에너지정책(PES)대비 미래 고용규모는 2배 가까이 증가할 전망이다.

IRENA와 ILO는 PES 상에서는 신재생에너지분야 고용이 2050년 약 2,000만명으로 증가하지만 지구평균기온 1.5℃ 이하 상승이 가능한 수준의 글로벌 기후변화 정책을 따를 경우 약 4,300만명으로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기후변화 정책의 에너지전환에 따라 기존 일자리가 파괴되기도 하지만 보다 큰 규모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돼 전체 규모를 증가시킨다고 밝혔다.



다만 에너지전환에 따른 기존일자리 파괴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개인 및 지역 등 측면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광산업과 같이 대규모 일자리 상실이 새로운 일자리 창출 전에 발생하는 시간적 측면의 문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다른 지역·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지역적 측면의 문제, 기존 에너지시스템분야에서 에너지전환에 필요한 기술·직업이 개발되지 않는 교육적 측면의 문제, 연료경제산업에서 반도체로 이동하는 등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가치사슬 및 공급사슬이 변화하는 분야적 측면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 신재생에너지 분야인력에 대한 새로운 경력개발과 기존 인력의 리스킬링(Reskilling: 새 직무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 업스킬링(Upskilling: 현재 직무를 위해 새 기술을 습득) 등이 필요하다.

특히 전기차, 바이오에너지 등 신산업 기술수요에 대응한 인력양성이 필요하며 혁신 및 기업가정신과 관련된 기술 역시 실행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서비스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기술의 전달은 현장교육, 고등교육, 견습교육, 직업훈련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일자리 관점에서 공정한 에너지전환이 가능하려면 에너지전환 편익이 공평하게 공유되며 전환부담이 최소화돼야 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경제구조·사회·환경의 지속가능성 사이의 관계를 고려한 정책수립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 에너지시스템에 대한 영향, 신재생에너지 정책, 구조적 장벽, 잠재적 고용정합성, 양질의 일자리 및 인력 다양성 확보 등 다양한 도전과 정책사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나라 역시 2020년 10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담은 2050년 탄소중립목표를 선언함에 따라 에너지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기술인력 양성 정책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크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관계자는 “향후 10년간 에너지산업에 연평균 756명의 석·박사급 및 1,279명의 학사급 기술인력 수급부족이 예상된다”라며 “이에 따라 기존 에너지산업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으로의 전환에 대응해 교육훈련, 경력개발 지원 등을 통한 기존산업인력의 전환·재배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여인규 기자 igyeo@kharn.kr
저작권자 2015.10.01 ⓒ Kharn



  • youtube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