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ri, 지자체 경관행정 실태조사… 계획수립 66%, 위원회 운영 63%

  • 등록 2025-07-18
크게보기

경관계획 수립, 2019년 대비 16.3% 증가

건축공간연구원은 7월17일 auri brief 297호 ‘지자체 경관행정 실태조사를 통해 본 경관제도 운영 현황’을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전국 광역 및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경관행정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제도 운영현황과 변화양상을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국토교통부 협조로 2024년 4월부터 7월까지 진행됐다. 조사범위는 경관조례, 경관계획, 경관위원회 및 심의, 경관사업, 경관협정, 행정조직 등 경관행정 전반을 포함하며 2019년 실태조사와의 비교분석도 함께 이뤄졌다.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모두 경관조례를 제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28개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188곳(82.5%)이 경관조례를 제정했다. 경관조례를 제정하지 않은 40곳은 일부가 자연경관에 관한 조례만을 제정해 운용하고 있다. 경관조례를 제정한 일부 지자체는 경관조례와 공공디자인 진흥조례를 통합하거나 도시디자인 조례로 운용하고 있다.

 

경관계획은 기초지자체 212곳 중 140곳(66.0%)이 수립했다. 의무수립 대상인 58곳은 모두 경관계획을 수립했으며 임의수립 대상 154곳 중 82곳(53.2%)도 경관계획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대비 16.3% 증가한 수치다.

 

경관위원회는 광역지자체 15곳(88.2%), 기초지자체 134곳(63.2%)에서 설치·운영되고 있다. 평균 개최횟수는 광역지자체 연 20회, 기초지자체 연 12회다. 서울과 충북은 별도의 경관위원회를 두지 않고 관련 위원회가 경관위원회 역할을 대행하고 있다. 위원회를 설치하지 않거나 다른 위원회로 대체한 기초지자체는 78곳(36.8%)에 달한다.

 

경관협정은 제도도입 이후 총 80여건이 체결됐으며 현재 18건이 유지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장성군이 20건, 인천 옹진군이 17건으로 다수의 경관협정을 체결한 사례를 보였다. 협정체결 시 예산과 전문가 지원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76%가 예산지원에만 그치고 있다.

 

경관행정 담당조직은 주로 팀단위로 구성돼 있으며 2019년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지자체 중 2곳, 기초지자체 중 8곳만이 독립 부서(과 단위)로 운영되고 있다. 경관행정 담당인력은 평균 광역지자체 3.8명, 기초지자체 2.3명으로 2019년 대비 감소했다. 임기제(전문직) 공무원 수는 광역지자체 9명, 기초지자체 63명으로 집계됐다. 경관행정 조직이 겸임하는 업무는 디자인(44.0%), 도시(23.5%), 건축(16.8%)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자체 경관행정의 현황과 변화를 파악하고 향후 경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건축공간연구원은 이번 조사가 지자체 경관정책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방향설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여인규 기자 igyeo@kharn.kr
저작권자 2015.10.01 ⓒ Kharn



  • youtube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