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정부가 녹색전환 선도국가인 스웨덴의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2050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앞당긴다.
한국 스웨덴 녹색전환연합은 5월13일 주한스웨덴대사관저에서 주한스웨덴대사관, 주한무역투자대표부, 주한스웨덴상공회의소와 13개 스웨덴기업이 한국의 탄소중립 조기달성을 위한 이행서약을 공동발표했다.

이어 “녹색전환연합의 대다수 기업이 한국과 스웨덴이 세운 탄소중립 목표를 더욱 앞당겨 달성하기 위한 원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이다”라며 “양국의 의제를 추지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브라임 배일란 스웨덴 산업혁신부 장관은 ‘녹색성장의 가능성: 한국과 스웨덴이 협력강화방안’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은 가깝고도 소중한 파트너로 스웨덴기업이 모여 타국의 녹색전환을 위해 연합을 맺은 것은 처음이라 의미가 남다르다”라며 “앞으로도 한국 스웨덴 녹색전환연합이 한국정부와 함께 녹색성장 및 탄소중립을 이뤄낼 수 있도록 긴밀하게 협력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반기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총회 및 이사회 의장은 “전세계적인 기후위기는 민간기업들의 협조없이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다른 기업들도 함께 실천할 수 있도록 의지를 다진 ‘한국 스웨덴 녹색전환연합’ 참여기업에게 감사하고 한국 국민으로서 이와 유사한 행동을 실행하는 한국기업도 늘고 있다는 것을 알게돼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이번 서약에 참석한 13개 스웨덴기업은 △ABB △아트라스콥코 △엔백 △이케아 △크래프트파워콘 △오클라 △스칸디나비안바이오가스 △스카니아 △SF마리나 △테트라팩 △볼보자동차 △볼보건설기계 △볼보트럭 등으로 각 기업마다 2050년까지 국내에서의 녹색전환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 계획와 함께 서약을 발표했다.
스웨덴은 실제 녹색전환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된다는 것을 입증했으며 지속가능한 산업환경 조성에 가장 앞서 있는 국가 중 하나로 이번 서약에 참여한 13개 파트너사는 스웨덴의 대표적인 모범사례로 언급될 만큼 환경문제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기술주도를 통해 녹색전환의 최전선에 있는 스웨덴은 경제성장을 이룸과 동시에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인 국가로 1990년부터 2017년 사이 스웨덴의 국내총생산(GDP)이 71% 증가한 반면 탄소배출량은 26%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