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에너지원단위(총에너지/GDP)는 2017년 OECD 국가 35개국 중 33위로 에너지낭비국가로 분류돼왔다. 이에 정부는 ‘제6차 에너지 이용합리화 기본계획’을 통해 2024년까지 국가에너지효율을 13% 개선하고 에너지소비를 9.3% 감축할 계획을 확정함에 따라 집단에너지 사용자시설분야 에너지효율화를 통해 정부의 에너지소비감축 계획 이행과 에너지, 환경, 사회적 편익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한난의 열공급 단지 중 2030년까지 15년이 경과한 노후 공동주택의 비율은 전체의 80%가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노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에너지효율향상 사업으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에너지원별 중장기 감축목표량 달성 시 총 972Tcal 에너지절감 및 14만1,637tCO₂의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자 효율향상 지속 ‘불투명’
한난은 정부의 ‘수요관리 투자사업 운영규정 고시(제2018-95호)’를 통해 2019년 EERS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세대난방설비 효율화 △급탕예열열교환기 설치 △차압유량조절밸브 보수 △사용자 난방배관 개체 △사용자설비 진단 등 5가지 효율향상사업을 시행해 2020년까지 2년간 약 8만2,000Gcal의 열에너지 절감과 1만1,948tCO₂의 온실가스를 저감했다.
하지만 EERS 절감량 성과인증 강화와 산정방법론 변경 등으로 열에너지 절감실적이 감소하고 있으며 에너지절감 의무달성 목표량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적을 보이고 있다.
효율향상기기가 부재한 열에너지의 경우에는 전기와 같이 단위기기 에너지절감량 측정이 어려우며 열공급 전체 시스템에 대한 부분을 고려해 절감량을 산정해야 한다. 또한 에너지절감량 산정을 위해서는 한난 열사용시설기준의 재산한계점 상 사용자 전유물인 부분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어려워 절감량 산정에 큰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에너지절감 의무목표 달성이 불투명할 것으로 보인다.

한난은 사내·외 효율향상 혁신아이디어 발굴 공모전을 2회 시행하며 2021년 기존 5가지 사업 외 ‘지역난방 기계실 1차측 사용자설비 고온부에 대한 보온설치를 지원(설비 1대당 실공사비의 최대 10만원 한도지원)’하는 효율향상사업을 추가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한난의 관계자는 “2022년에는 기존사업 외 ‘지역난방 기계실 인입 매설배관 보수 지원사업’, ‘열에너지 절약성과가 높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인센티브 지원 사업’ 등을 추가할 예정”이라며 “수요측 효율향상을 위한 고효율 신규 이행수단 발굴에 계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