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산업부, 지역 주도 분산에너지시스템 구축 추진

‘지역 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발표
‘분산에너지 활성화로드맵’ 올 상반기 내 수립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분산에너지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별 상이한 에너지역량에 맞는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기초지자체 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가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3월3일 제주도 신재생에너지홍보관에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는 산업부, 민주당 탄소중립 특별위원회, 제주도청이 공동으로 주관하고 한전, 한난,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등 관계기관이 참여했다. 

분산에너지란 중소규모의 재생에너지, 열병합발전, 자가발전, ESS, 수요자원 등으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돼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다.

대규모 발전소 및 송전선로 건설관련 사회적 갈등증가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소비되는 분산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됐다. 

이에 정부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등을 통해 분산형 에너지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제시했다. 

산업부는 ‘분산에너지 포럼’ 개최, 정책연구 수행, 지자체·업계 설명회 등을 통해 의견수렴, 당정협의를 진행했으며 현재 ‘분산에너지 활성화로드맵’을 마련하고 있다.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 분산에너지시스템이 긴요한 제주도 상황을 고려해 분산에너지 활성화로드맵의 내용 중 단기 추진이 가능한 대책을 담았다. 

또한 추후 시장제도 개선방안, 인센티브 제도 구축 등 중장기 제도개선 방향을 종합한 분산에너지 활성화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지역이 주도하는 분산에너지시스템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대책으로 △지역 주도의 에너지시스템 실현 △분산형 에너지인프라 구축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출력 최소화 방안 등을 마련했다.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지역 주도의 에너지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마을 내 다양한 분산전원을 보급·연결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에너지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충남 홍성군 원천마을은 축산분뇨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인근에서 소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례를 제주도 내에서도 발굴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의 에너지 이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에너지센터를 설립하고 산업부, 지자체, 전문기관과 협업해 지역에너지계획을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분산에너지 비중이 높아 분산자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해 통합발전소·배전망운영자제도 실증, 생산자·소비자간 직접 거래 등 전력거래 특례 등을 허용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방안 수립
분산형 에너지인프라 구축은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를 위한 것으로 150MW 재생에너지 추가 수용이 가능한 계통안정화 ESS 23MWh를 올해 제주도부터 우선 구축할 예정이다.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해소할 신규 유연성 자원으로 잉여전력을 수소로 전환하는 P2G기술, 열로 전환하는 P2H기술, 전기차를 ESS로 활용하는 V2G기술 등을 제주도에서 실증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잉여전력을 소비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플러스 DR제도를 3월부터 도입해 시장메터니즘을 통해 잉여전력 문제를 해소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제주도부터 100kW 이상 재생에너지발전기에 정보제공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토대로 재생에너지 예측·제어가 자동적으로 이뤄지는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출력제어 최소화 방안 마련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증가로 전력수요를 초과하는 전력공급이 발생함에 따라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도 불가피하게 증가하는 바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제주-육지간 #1, #2 초고압직류송전(HVDC: high-voltage, direct current)는 육지에서 제주도로만 전력을 보냈으나 역송성능을 확보해 제주도 내 잉여전력을 육지로 전송할 예정이며 2021년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수용능력이 최대 342MW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제주-육지간 전력수급 상황에 따라 실시간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3 HVDC를 2022년 말 준공하면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수용량은 400MW가 추가될 예정이다. 

산업부의 관계자는 "이번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제주 에너지협의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며 시장제도 개선방안, 인센티브제도 마련 등 중장기 제도개선 방향을 포함한 ‘분산에너지 활성화로드맵’을 올해 상반기 내 수립·발표할 예정"이라며 "추후 분산에너지시스템으로 전환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법적근거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도 검토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