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에너지기술 신규과제 전문가 의견수렴

에기평, 2016년도 하반기 신규 기획과제 공청회 개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원장 황진택)은 12일 벨레상스 서울호텔에서 ‘2016년도 하반기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 기획과제 공청회’를 개최하고 전문가 의견을 모았다.

이번 공청회는 신규 기획화제에 대한 정보공유 및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투명성, 공정성을 확보하고 양질의 기획을 위한 피드백 확보를 위해 산‧학‧연‧관이 함께 모인 자리다.

△에너지수요관리 △자원개발 △에너지자원순환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핵심기술 △스마트그리드 핵심기술 △청정화력 핵심기술 등 7개분야 27개부문의 신규 기획과제가 준비됐다. 이번 신규과제는 공청회 및 온‧오프라인 의견수렴과 산업부 협의를 거쳐 8월 말 공고가 나갈 예정이다.

원장묵 에기평 수요관리PD는 “올해 3번째 공고인 수요관리분야는 그동안 지원이 미흡했던 미활용에너지,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등에 분량을 할당했다”라며 “또한 수요관리 11개 연구과제 중 9개를 품목지정으로 정해 제안자의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컨소시업 경쟁력 확보에 주력했다”고 밝혔다.

특히 에너지분야는 그동안 전기생산에 관심이 집중됐지만 열에너지 사용 효율화가 중요해지면서 전기와 열의 통합사용이 가능한 기술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분산전원체계를 기반으로 단순한 에너지 안정을 떠나 IT산업에 버금갈 만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필요하다는 것이다.


태양열분야 과제소개를 한 홍희기 경희대 교수는 “현 정부는 신기후체제 대응전략의 일환으로 최종에너지소비의 64%를 차지하고 있는 산업공정열에 친환경에너지 공급확대 계획을 세우고 있다”라며 “태양열에 의한 산업공정열 활용은 에너지저소비형 경제구조 개편과 방향이 일치해 일사가 풍부한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요소기술개발에 적절한 시기”라고 말했다.


공청회에서 소개된 세부 과제로는 에너지수요관리 핵심 에너지신산업분야에 △수배관 미활용에너지를 활용한 전력 하베스팅 및 분산전원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열거래 기반 VENP 운영 시스템 기술 및 비즈-모델 개발 △상변화 또는 화학축열 기반 열저장장치를 활용한 열택배 기술 △LNG 냉열(-100℃이상) 이용 저온 냉동‧냉장시스템의 핵심기술개발 △미활용열과 지역난방을 연계한 IoT 융복합 도심형 열네트워크 모델 개발 등이, 에너지저장분야에 △Hot-Swap 가능한 수용가용 모듈라 ESS기반 ESS 기술 개발 △Utilty 시장용 ESS 제어기 및 SW고도화 기술개발 △복수 수용가 전력서비스 대응용 ESS 기술개발 등이 포함됐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지열분야에는 △집단주거시설의 고밀도 대용량 지열시스템 실현을 위한 SCW 기술개발 △수직밀폐형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최적설계 및 시공비용 저감 기술 개발 △지하현장 소규모 수리자극시험을 통한 저류층 투수율 향상 기법 개발 △심부지열 개발을 위한 지열저류층 계측 기술 개발 등이, 태양열분야에는 △열저장 극대화를 위한 대용량 태양열발전용 흡수기 및 열저장기 개발 △수요처 기반 태양열 산업공정열 공급플랜트 핵심기술 개발 등이 있다. 

연료전지분야는 △인산형 연료전지용 대형 분리판 국산화 기술 개발 △분산 발전용 고 신뢰성 SOFC 스택 제조 기술 개발 △선박 안전항해 유도 시스템용 고신뢰성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MCFC 스택 수명 향상을 위한 핵심 소재 기술 개발 △음이온 교환막 기반 수전해 핵심 소재기술 개발 △연료전지 효율 향상을 위한 복합발전 시스템 개발 △연료전지 열화 원인 분석을 통한 내구성 향상 기술 개발 △연료전지 보급확대를 위한 핵심부품 가격 저감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됐다. 

신재생융합분야에는 △신재생에너지 융합을 통한 에너지 자립형 친환경 하수처리장 모델 개발 △신재생에너지 발전-ESS 연계를 통한 운송수단 운영 기술개발 및 실증 △태양에너지-지열 융합 스마트 냉온열전력 생산 시스템 상용화 기술 개발 △발전소 폐열 활용 해양복합온도차 발전 실증 △신재생에너지 열원 융합 폐열회수형 축열시스템 개발 △신재생에너지-물 자립섬 구현을 위한 지능형 플랫폼 개발 등이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