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하수열E 이용, 관심 급증

김시헌 전무‧정운 부장, 하수열E 활용 위한 정책대안 제시

하수열에너지 이용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육성산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정부는 보급사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신재생에너지원의 종류를 관련법령에 명시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아직 인정하지 않은 신에너지, 재생에너지 중에서도 많은 열에너지가 잠재돼 있는 에너지원이 많은데 이를 미활용에너지로 통칭하고 있다. 공기열, 수열, LNG냉열 등 다양한 미활용에너지들 중에 도심에서도 풍부한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어 사용처에 공급이 수월한 하수열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하수열은 지난 8~11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6 에너지대전’에서도 관련세미나를 개최,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어모았고 11일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서울시가 개최한 ‘하수처리 에너지 신기술 세미나’에도 물재생센터 에너지자립화 목표 해결방안으로 제시됐다.

수열에너지는 하수, 하천수, 해수, 지하수, 발전소 온배수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지만 지난해 정부는 해수의 표층수만 신재생에너지로 편입했다. 나머지 대다수의 수열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외의 에너지를 통칭하는 미활용에너지로 분류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해수 표층수 외에도 여러 형태의 수열원 활용방안을 개발, 하수관에 열교환기를 설치해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거나 가정 내에서 샤워 후 버려지는 물의 열을 회수해 보일러와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사용하는 등 실생활에 적극 적용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하수처리장 안에 열회수시스템을 사용하던 기존방식에서 벗어나 최근 하수관로 내 설치형 하수열회수 시스템을 개발, 도입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다. 이는 건설비용과 열반송 시 손실을 줄임으로써 한층 더 발전된 수열에너지 활용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수열에너지의 국내 활용사례로는 임실군농업기술센터의 지하 표층수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난방, KT 방학지사의 지하수 이용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탄천물재생센터의 하수열 열회수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미활용에너지를 활용한 냉난방시스템은 에너지절감목표를 부여받은 공공기관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태양열, 태양광, 풍력, 지열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원들과 비교해도 낮은 설치비와 짧은 투자비회수기간, 높은 에너지절감효과가 장점이다. 지열 냉난방의 경우 kW당 126~145만원의 설치비가 필요하지만 수열 냉난방은 60~135만원이다. 투자비 회수기간 역시 지열보다 2년가량 짧은 3~8년이며 냉방 25~40%, 난방 40~50%의 높은 에너지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계통에 따른 제약이 단점으로 꼽힌다.


수성엔지니어링의 정운 부장은 ‘2016 에너지대전’에서 ‘지하 용출수(수열)를 이용한 히트펌프 공급’ 발표를 통해 수열에너지의 국내‧외 적용사례와 활용가능성, 미활용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정운 부장은 “에너지절감효과와 낮은 설치비용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수열에너지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수열을 ‘물의 표층 열’, ‘해수’ 등으로 한정한 관련법령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라며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조금 지원, 녹색기술 등 인증범위 추가, 공공기관 설치 의무화 등 정부의 재정적‧제도적 지원근거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세협기계의 김시헌 전무는 ‘하수처리 에너지 신기술 세미나’에서 ‘하수열에너지 기술동향과 정책과제’를 발표, 일본에서 활발하게 지뤄지고 있는 하수열에너지 활용을 설명하며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춥기 때문에 같은 설비를 설치하더라도 효율이 더 잘 나온다고 설명했다.

김시헌 전무는 “정부가 내걸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미활용에너지로 분류돼있는 공기열, 수열 등에 관심을 둬야 한다”라며 “신재생에너지로의 지정보다는 선시공‧후지원 등 다양한 제도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