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2050년 신재생E 90%’ 시나리오 제시

환경운동聯, “태양광·풍력 등 484TWh 가능”
정부정책 반영 및 타산업 반발 해소 ‘과제’



2050년까지 전체 전력의 9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기 위한 시나리오가 발표됐다. 이 자리에서는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확보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는 평가도 있었으나 실제 정책반영이 가능한가에 대한 현실성 및 역량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환경운동연합은 11일 서울 프란치스코회관에서 ‘100퍼센트 재생에너지 전환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이번 시나리오는 파리기후협약의 책임 있는 이행을 위해 지구온도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고 위험성이 높은 원전을 장기적으로 폐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파리기후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국제사회는 지구온도상승을 2℃ 이내로 억제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하고 1.5℃ 이내가 되도록 노력한다고 합의한 바 있다.


시나리오는 원전과 석탄을 대폭감축하면서도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발전으로 전체 발전량 90%를 충당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향후 전력수요증가율은 0.3%로 전망했다. 2042년 원자력발전소 제로화, 2046년 석탄발전소 제로화가 가능하며 현재 신재생에너지의 확산속도를 고려하면 2050년까지 90%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력수요 전망은 ‘세계에너지전망(World Energy Outlook) 2016’의 연평균 발전량 증가율을 따랐다. 이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40년까지 세계 발전량증가율은 1.4%로 전망되지만 OECD 평균은 0.3%로 예측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우리나라가 2017년 이후 생산인구 감소, 2030년 이후 총인구수 감소, 건물 단열성능 강화, 냉난방기기 등 에너지다소비기기 효율화 전망에 따라 이를 충족할 것으로 봤다.


원전·석탄 발전은 추가건설을 최소화·백지화하고 설비수명을 고려해 추정했다. 원전은 건설 중 원전을 보류 또는 취소하고 수명연한 30년을 고려하면 2042년 탈원전이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석탄은 신규건설이 결정된 신보령2호기 이후 추가건설하지 않고 수명연한 30년을 감안하면 2048년 제로화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의 추세를 고려하면 2050년 484TWh를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력발전량증가율 0.3%를 적용한 2050년 전체발전량비중의 90%에 달하는 수치다. 우리나라 2015년 신재생에너지 전력공급 비중은 6.6%로 전년 4.8%에 이어 원활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예측에는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2014년 제시한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고려됐다. 보고서는 현재 수준에서 설비용량기준 태양광 114GW, 육해상 풍력 59GW를 보급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태양광의 경우 2030년 이후 ‘건축자재 일체형설비(BIPV)’가 저렴하게 보급돼 잠재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나리오가 실현되면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시스템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저탄소 고효율 에너지정책을 지속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중심 전력믹스를 구축하면 분산형 에너지시스템이 정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분야 산업 육성, 일자리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는 물론 슈퍼그리드 및 스마트그리드 등 기술 고도화도 가능할 전망이다.


다만 발표회에서는 유럽 등 선진국사례처럼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도 시나리오대로 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한 지리적 여건이 유럽과 다르고 인접국가와 전력선이 연결되지 않은 독립계통 국가여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태풍 등 태양광·풍력발전이 이뤄질 수 없는 특정상황에서 블랙아웃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이성호 전북대학교 교수는 “뉴질랜드, 덴마크 등 유럽에서도 약 90%를 자체국가 전력망에서 관리하고 있고 주변국과의 송배전망을 활용하는 것은 10% 남짓”이라며 “변전소 단위로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프로슈머 개념을 실현해 전체 시스템안정이 가능하며 ESS, 전기차 배터리 등을 통해 수요를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재묵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도 “기술이 없어서 100% 재생에너지 시나리오를 추진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라며 “정책적 의지와 국민적인 인식확산이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관련 문제가 정책에 반영되지 않는 현실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발표회에 청중으로 참석한 ㈜지오에너지의 관계자는 “이 자리에서는 ‘100% 신재생에너지’를 말하고 있지만 사실상 정부에서 발표한 ‘2차 에너지기본계획’에는 2035년 11%를 목표로 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향후에는 정부 및 원자력발전 관계자과 함께 토론해 실제 정책으로 반영되고 반대논리를 펴는 쪽과 합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