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건설사 신기술·공법 적용 시 인센티브 제공

설계VE 관련 시행령·지침 개정…비용절감액 70% 지급

건설사가 새로운 기술·공법을 적용해 설계·시공질이 향상되거나 공사비 절감효과를 얻는 경우 절감액의 70%를 인센티브로 지급받게 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가 시공사가 보유한 건설기술 역량을 자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이하 설계VE)’ 제도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설계에서 시공·유지관리까지 시설물의 전 생애에 걸쳐 최대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발주청이 주관하는 설계VE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설계VE는 시설물의 기능 및 성능, 품질을 향상을 위해 원설계의 최적대안을 창출해 내는 체계적 절차를 말한다. 설계내용에 대한 경제성 및 현장적용 타당성 등을 기능별, 대안별로 검토해 시설물의 기능,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절차다.


그간 건설공사에 대한 설계VE는 발주청에서 초기공사비 절감을 위해 활성화된 반면 2011년 지침에 도입된 시공사 주관의 설계VE는 구체적인 검토절차 등이 없어 실적이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10년간 3,060건의 설계VE 수행을 통해 약 10조원의 예산 절감했지만 이는 총공사비 대비 3.73%에 불과하다.


이번 제도개선은 시공사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노하우를 설계VE를 통해 시공 중에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VE 절차 및 방법 등을 정비하고 건설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먼저 시공사가 경영상 판단에 따라 설계VE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시공사가 도급받은 건설공사에 대해 단순 시공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노하우를 해당 공사 시공에 자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시공사가 주도하는 설계VE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기계·전기·통신 등의 분야에 대해서도 VE 검토를 할 수 있는 근거가 지침에 명시될 전망이다. 다만 시설물의 성능과 기능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 설계변경을 위한 설계VE를 지양하기 위해 발주청과 사전 협의해야 한다.


또한 시공사가 주도하는 설계VE에 대한 검토절차 마련 및 인센티브 제도가 도입된다. 시공사는 설계VE 검토를 위해 설계VE 전문가, 소속직원 등을 대상으로 검토조직을 자율적으로 구성하고 채택된 제안에 대해서도 수정설계를 할 수 있다.


해당 시설물 공사를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기존의 신기술·신공법을 적용해 시설물의 성능개선 또는 기능향상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시공사에 인센티브(공사비 절감액의 70%)를 지급한다. 다만 현재 ‘기술개발보상제도(건설기술진흥업무 운영규정)’에 의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공사비 절감, 공기 단축의 효과를 낸 경우에만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또한 하수급인이 원도급사가 주관하는 설계VE 검토조직에 참여해 대안을 제안한 경우에는 하수급인도 공사비 절감에 따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발주청이 수행하는 설계VE 대상을 확대했다. 실시설계가 완료된 후 공사발주까지 수년이 걸려 사업예정지역의 개발에 따른 지형·지물로 주요 내용을 변경해야 하는 건설사업이 설계VE 대상에 추가된다.


현재는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시공 중에 총공사비 또는 공종별 공사비가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에만 설계VE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번 시행령 및 지침개정안은 오는 9월23일까지 20일간 행정예고와 10월13일까지 40일간 입법예고 및 관계기관 협의, 법제처 심사, 국무회의 등을 거쳐 2020년 1월중 공포·시행될 예정이다.


개정안 전문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 ‘정보마당/법령정보/입법예고’ 및 통합입법예고센터(http://opinion.lawmaking.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개정안에 대한 의견은 통합입법예고센터에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 우편, 팩스 또는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를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