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스페셜리포트

[인터뷰] 정상진 ETRI 책임연구원

“데이터센터 표준화, 냉방·공조부문 적극 반영 제정”
그린데이터센터인증 시 PUE↓ 냉방·공조 포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명준)1976년 신가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 신시장 개척 등을 통한 국력신장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 정보통신을 포함한 광범위한 디지털 혁신기술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1988년부터 기술기준 연구, 1989년부터 정보통신표준 및 적합성시험도구 개발연구에 착수했고 정보통신표준화 연구기능 강화를 내용으로 하는 정보통신표준화 추진체계 구축()’을 마련했다. 198910월 정보통신표준연구센터(PEC: Protocol Engineering Center)를 설립해 본격적인 정보통신기술 표준화 연구를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정보통신 표준기술에 대한 핵심 연구조직으로 국내 및 글로벌 표준화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정상진 ETRI 책임연구원은 데이터센터 및 통신망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JTC1, ITU-T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그린데이터센터인증제에 인증지표로 반영해 국내 ICT산업의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정상진 책임연구원을 만나 데이터센터표준화 필요성 및 향후 방향에 대해 들었다.

 

표준화 활동은

2003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본부에서 표준화 업무를 시작했으며 IPv6 및 미래인터넷 그린 ICT 데이터센터 ESS(에너지저장장치) IoT(사물인터넷) 등 분야 표준개발 과제에 과제책임자·참여연구원으로 참여해 수십건의 국제 및 국내표준을 개발해왔다.

 

또한 IEC TC120(ESS) ITU-TSG5(기후변화) ITU-T SG13(미래네트워크) ISO/IEC JTC1/SC39(데이터센터) OCF(사물인터넷) IETF(IPv6) 등 다양한 국제표준화 기구의 표준화 그룹에서 표준 에디터로 표준개발을 주도하고 ITU-T SG5 Q11(기후변화 완화 및 스마트에너지)의 라포터를 수임해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 관련 국제표준화를 총괄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스마트에너지·환경 통신망 응용 IECTC120 TC57(전력시스템) JTC1/SC39 전문위원회 한국ITU연구위원회 사물인터넷융합포럼 스마트그리드 표준화포럼 등 다양한 표준화기구에서 국내표준을 개발하고 국제표준 보급 등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 국립전파연구원으로부터 ITU-T 우수 연구위원상을, 2015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로부터 표준화 공로상을 수상한 바 있다.

 

데이터센터 표준화 수행은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PUE(Power Usage Effectiveness)는 미국의 단체표준과 같은 개념이지만 모든 나라에서 사용하는 공적표준, 국제표준을 만들기 위해 ISO/IEC JTC1 산하에서 데이터센터 표준을 담당하는 그룹인 SC39에서 진행되던 아이템을 가져온 것이다.

 

지난 201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효율 측정에 대한 국제·국내 표준 개발과제를 공고한 바 있다. 이 과제를 맡아 PUE 표준 제정에 참여해 미국, 중국, 독일 등과 함께 작업을 진행했다.

 

해당 과제는 2015년 종료됐으며 후속과제를 위한 노력을 했지만 정부정책에 따른 R&D 예산분배 순위가 높지 않아 연기되고 있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기후변화 대응 이슈와 정부의 탄소중립 2050 발표에 따라 많은 IT설비가 모여있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효율 향상이 부각돼 관련표준 개발 필요성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번 표준화의 초점은

이전 연구에서 다뤄진 PUE는 데이터센터 전체의 에너지효율 측정기준이기 때문에 냉방, 공조 등 세부설비의 효율을 측정할 수는 없었다.

 

이에 따라 이번 표준개발은 이러한 냉각, 공조, 랙 집접성, 상면 효율성 등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현재 서버실에 들어가는 지점을 측정토록 돼있는데 분전반 등 기타설비가 사용하는 전력도 함께 집계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 수준을 높여 서버 앞에서 측정하거나 세분화를 해야 한다.

 

PUE는 미국이 주도해 만든 표준이니 국내 실정과 거리가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의 상암동에는 지역냉방을 사용하는 데이터센터들이 있는데 PUE 측정방법에는 이러한 냉수사용 시 변환방법이 없어 국내 상황에 맞춘 변환방법 등도 포함될 예정이다.

 

특히 공조설비의 효율 측정지표를 만들어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데이터센터의 내부공간 효율개선을 위한 측정방법도 개발할 방침이다.

 

이번 과제는 냉방부문에 가장 큰 초점이 맞춰진 만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랙쿨링 등에 대한 측정방법도 다뤄질 예정이다.

 

현재 연구과제를 기획 중이며 2022년 공고 및 사업착수에 돌입할 수 있도록 목표를 잡고 있다. 과제는 3년간 진행되며 2022년 착수하면 2024년 말까지 국제표준 제정까지 진행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짤 계획이다.

 

실제로 데이터센터를 설계하는 방법이 나라마다 비슷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가 국제표준을 주도할 시 국내기업의 강점이 부각될 수 있다. 표준개발을 만들 때 삼성SDS, LG CNS, KT, SKT 등 데이터센터 관련기업의 담당자들이 협의체에 참여토록 해 초안을 함께 검토하고 국내 업계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그린데이터센터인증은

2012년 과제 당시 만들어진 표준을 국내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표준의 성격 상 국내기업들을 강제할 수는 없었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 그린데이터인증을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KDCC)와 함께 만들었고 PUE를 평가지표로 넣어 인증을 받을 때 함께 사용토록 유도했다.

 

하지만 그린데이터센터인증을 획득해도 얻을 수 있는 혜택이 적어 참여 데이터센터가 적은 것은 아쉽다. 정부에서 전기요금 할인, 세제혜택 등을 주면 좋겠지만 이러한 인센티브가 빠지다보니 국내 160여개 데이터센터 중 20여개에서만 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인증을 받고 이를 계속 유지시키려면 비용이 필요한데 인증을 가지고 있을 때 메리트가 적다보니 한번 받고 다음해에는 인증유지를 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번 데이터센터 표준화 과제가 만들어지면 당연히 KDCC와 함께 진행할 예정이며 그린데이터센터인증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지원책과 평가지표 등을 개선할 계획이다.

 

현재 탄소중립이 주요이슈로 작용하고 있어 전력량을 대규모로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효율화 필요성을 강조하면 정부로부터 지원책을 이끌어내기 충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재 그린데이터센터인증 평가지표 중 PUE80점가량을 차지하는데 이번 과제결과를 반영해 PUE 점수를 낮추고 냉각·공조설비 등을 포함시킬 예정이다.

 

장기적인 연구방향은

전자통신연구원은 정보통신분야의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며 융합표준연구실은 ICT를 활용한 표준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표준연구도 진행하고 있으므로 데이터센터 측정지표 외에도 배출권거래 등 다양한 아이템을 다룰 예정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