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콘덴싱보일러는 일반보일러와 비교해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51% 정도(대당 연간 3.156kg) 저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보일러 1대당 연간 13만원 상당의 연료비까지 절약할 수 있는 제품이다. 환경부는 지난 2013년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가정용 저NOx보일러 보급사업을 2015년부터 시작하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당시 계획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기존 NOx 배출농도가 높은 가정용 일반보일러를 저NOx보일러로 교체키로 했다. 매년 약 10만대씩 보급키로 했으며 정부(8만원)와 지자체(8만원)가 공동펀드형식으로 보일러교체 시 16만원으로 지원키로 했다. 지원금 16만원은 일반보일러를 저NOx보일러로 교체할 때 추가되는 가격차를 보전하는 금액이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2015년도 예산에 가정용 저NOx보일러 보급사업 예산을 반영했지만 결국 기획재정부 예산심의 과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당시 환경노동위원회 국회의원들도 저NOx보일러 보급사업에 관심을 갖고 예산반영을 위해 노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결국 헛심만 썼다. 이렇다보니 가정용 저NOx보일러 보급사업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서울시만 자체적으로 예산을 마련하고 올
최근 국제유가 하락으로 가장 어려운 산업분야 중 하나가 ‘목제펠릿산업’분야 일 것이다. 특히 가정용 펠릿보일러업계는 사업특성상 산림청의 보급의지에 따라 보급수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사실상 산림청만 바라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에 따라 산림청에서 내년도 보급수량을 올해보다 50% 늘린 3,000대로 늘려잡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가정용 펠릿보일러업계에 숨통이 트였다.가정용 목재펠릿보일러는 2012년을 기점으로 시장이 나뉜다. 바로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제도가 시행되기 이전과 이후다.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제도가 도입된 이후 가정용 펠릿보일러업계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한때 50여개에 육박했던 가정용 펠릿보일러기업이 있었으며 A/S 등은 요즘말로 ‘아몰랑’하면서 펠릿보일러 보급을 담당하고 있던 산림청을 비롯해 기술력을 갖춘 기업까지 판매에만 몰두했지 고객만족을 모르는 기업으로 손가락질을 당했다.이때 산림청에서 꺼낸 카드가 바로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제도’였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서 한때 50여개에 육박했던 ‘아몰랑’ 가정용 펠릿보일러사가 거짓말처럼 사라졌다.특히 산림청은 ‘목재펠릿 사후관리모니터링 및 A/S전담반’ 운영을 통해 부도, 폐업처리된 보일러사가 전국에 설치한
정부는 2013년 3.5%대의 신재생에너지를 2035년까지 11% 로 확대, 보급하는 것을목표로 세우고 각종 정책추진을 계속하고 있지만 신재생열에너지는 아직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실정이다.국내 산업 각 분야가 CO₂ 저감이라는 하나의 임무를 짊어진 가운데이를 선봉에서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는 RHO제도 시행이 관련 업계의 주목받고 있다. 2014년 정부가 발표한 제4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에 따르면 RHO(Renewable Heat Obligation: 신재생열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시행에 대해 신재생에너지 열 관련산업의 공급능력 등을 감안, 세부 시행시기를 확정짓는다며 2016년 1월부터 시행한다는 당초 계획이 불투명해져버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RHO가 원활하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관련 산업이 새로 진입하는 제도를 뒷받침하기에 충분한 기술과 능력을 갖추는 것이 관건이다. 관련 산업관계자들과의 회의결과를 토대로 신재생에너지 열 산업의 공급능력 등 산업기반에 따라 세부 시행시기를 확정시킬 계획이다. 산업부의 관계자는 “2016년 1월에 시행하겠다는 계획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시행일정을 밝힌 적이 없고 현재는 RHO도입에 관한 업계의 의견을 취합하고 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