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안전관리원(원장 김일환, 이하 관리원)은 7월1일 서울시 남대문로 비즈허브 서울센터에서 국가철도공단, 공항철도, 서울교통공사의 건축물 및 토목구조물 담당자가 참석하는 ‘철도건설법에 따른 정밀진단 및 성능평가 세부지침 개선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내년부터 실시될 예정인 ‘철도건설법’에 따른 정밀진단 및 성능평가 보고서에 대한 등급산정을 앞두고 마련됐다. △적정 △미흡 △불량 △매우 불량 등 등급산정 결과에 따라 정밀진단 및 성능평가업체에 대한 과태료 부과 등 행정처분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철도시설관리자별로 정밀진단 및 성능평가 세부지침이 상이해 정밀진단·성능평가 대행업체의 혼선 및 부실보고서 작성이 우려되는 현실이다. 관리원은 제도 시행과 관련한 이러한 문제점을 공유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개최했다. 관리원은 이날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세부지침 개선방안을 구체화해 올 하반기에는 전체 철도시설관리자(24개 기관)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김일환 관리원 원장은 “철도시설 관련 부실보고서 방지를 위해 각 시설관리자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에너지관리 및 자동화분야 디지털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대표 권지웅)은 7월1일 엔비디아(NVIDIA)와의 협력을 통해 대규모 AI팩토리 구축을 위한 인프라개발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유럽연합(EU)의 AI인프라 비전과 ‘인베스트(Invest) AI이니셔티브’에 부응하는 전략적 협력으로 양사는 전력, 냉각, 제어시스템, 고밀도 랙 인프라 등 AI 데이터센터(DC) 핵심요소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R&D)을 본격 추진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와 엔비디아는 특히 EU 집행위원회의 ‘AI대륙 액션플랜(AI Continent Action Plan)’ 실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해당 플랜은 유럽전역에 최소 13개의 AI팩토리와 최대 5개의 AI기가팩토리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양사는 지속가능한 AI인프라 설계 및 구축을 통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올리비에 블룸(Olivier Blum)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CEO는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엔비디아는 단순한 협력 그 이상으로 차세대 AI팩토리를 위한 인프라를 공동 개발하며 글로벌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라며 “양사가 함께 구축한 전력 및 액체냉각기반의 차세대 DC솔루션
에너지 IT기업 해줌(Haezoom, 대표 권오현)은 7월1일 최근 재생에너지 예측제도에 참여하고자 하는 발전사업자들이 급증하는 가운데 오는 7월에도 전력중개사업(VPP)자원을 추가등록해 참여기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재생에너지 예측제도는 태양광 및 풍력발전소의 발전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그 정확도에 따라 인센티브형태의 예측정산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발전량을 정교하게 예측할수록 수익이 높아지는 구조로 최근 장마와 출력제어로 인한 수익 저하를 완화할 수 있는 대응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제도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전력중개사업자를 통한 자원등록이 필수적이며 예측정확도가 수익성과 직결되는만큼 정교한 VPP기술을 보유한 사업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숙련된 전력중개사업자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해줌은 다양한 기상변수와 실시간 데이터를 반영하는 고도화된 자체 VPP기술로 높은 예측정확도를 입증하며 신뢰할 수 있는 전력중개사업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예측제도는 참여시점에 따라 수익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빠른 제도진입이 수익극대화의 핵심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예측제도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자원구성요건을 충족하고 평
포스코이앤씨가 태국에서 1조5,000억원 규모의 ‘Gulf MTP(Map Ta Phut) LNG터미널’ 건설프로젝트를 수주하며 글로벌 LNG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6월30일 태국 방콕에서 태국 걸프 디벨로프먼트(Gulf Development)와 25만m³용량의 LNG탱크 2기와 하역설비, 연 800만톤의 기화송출설비를 건설하는 국가차원의 에너지인프라사업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태국 방콕에서 130km 떨어진 마타풋 산업단지에 건설되는 Gulf MTP LNG 터미널은 태국 굴지의 에너지부문 민간투자사인 걸프 디벨로프먼트와 태국 최대 국영 에너지기업인 PTT의 자회사인 피티티 탱크 터미널(PTT Tank Terminal)이 공동 발주한 사업으로 태국 최초의 민·관합작 LNG터미널 건설사업이다. 포스코이앤씨는 2002년 이래 태국에서 석유화학·오일&가스·발전플랜트 등 20여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현지 건설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입증해 왔다. 이번 사업수주는 포스코이앤씨가 국내 광양·제주 애월·삼척 LNG터미널과 태국 PTT·파나마 콜론 LNG터미널 등 국내·외 다수의 프로젝트를 완벽히 수행한 실적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국토안전관리원(원장 김일환, 이하 관리원)은 7월1일 공동주택 하자분쟁을 보다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교육을 11월30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와 관리원이 실시하는 ‘공동주택 하자분쟁 해결을 위한 관계자교육’은 대다수 국민의 주거시설인 공동주택의 하자분쟁을 줄이기 위해 매년 무료로 실시하고 있다. 올해 교육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 유튜브채널(www.youtube.com/@국토교통부하자심사)을 통해 오는 11월30일까지 5개월간 실시되며 관심있는 국민이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교육내용은 공동주택의 하자분쟁해결을 위한 △제도 △관련법령 △하자 판정기준 △주요사례 안내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올해는 하자판정 이후에도 보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을 위해 ‘하자심사 결과에 대한 의무사항 및 미이행에 따른 처분안내’ 과정을 새로 추가했다.
환기가전 전문기업 힘펠(대표 김정환)은 7월1일 화성종합경기타운 주경기장에서 재단법인 화성FC와 공식후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힘펠이 화성FC의 공식 후원파트너로서 광고협력과 지역사회 기여 활동에 함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힘펠은 △화성FC 홈경기장 광고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회공헌활동 참여 △구단인지도 향상을 위한 광고·홍보협력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힘펠은 이번 후원을 통해 지역밀착형 스포츠마케팅을 강화하고 지역민과의 소통확대 등 스포츠를 통한 사회적 책임도 다할 계획이다. 1989년 설립된 힘펠은 환기가전분야에서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욕실 환풍기와 시스템환기청정기를 전문적으로 개발·제조해온 기업이다. 올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안하는 슬로건 숨쉬는 집을 앞세워 B2C시장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힘펠은 환기, 제습, 드라이, 온풍기능의 욕실 환기가전 ‘휴젠뜨’와 냉방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환기청정기 등 다양한 환기가전을 선봬고 있다. 힘펠의 관계자는 “화성FC와 협력을 통해 브랜드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건강한 실내환경의 중요성을 더 많은 분들께 알릴 수 있어 뜻깊다”라며 “이번 시즌이 팬들과 기업 모두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는 지난 6월30일 서울 서부지역 약 13만 세대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핵심기반시설인 목동플랜트에서 재난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천연가스 누출화재대응 종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모의훈련은 재난발생 시 공사의 즉각적인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과 양천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합동대응체계를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훈련은 서울 서남권에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해 지상에 노출된 천연가스 배관이 파손되며 미상의 점화원 접촉으로 화재가 발생한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해 진행했다. 이번 훈련은 황보연 서울에너지공사 사장 총괄지휘아래 △초기상황 전파 △현장 긴급대응 △보일러 긴급 정지·NG밸브 차단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본사 지원체계 구축 △양천소방서와의 합동진화 등 실제상황 전과정을 훈련했다. 또한 가스누출 직후 자체 소화전을 활용한 초기진화와 비상소집 및 현장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냉난방 차질 최소화 방안을 마련했으며 시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위기대응체계를 점검했다. 화재확산 방지를 위해 양천소방서가 현장에 도착해 합동진화를 실시하고 화재가 완전히 진화된 이후에는 시설물 복구계획과 열공급 재개방안에 대한 언론브리핑도 진행됐다. 이
◆보직 △오성훈 부원장
SK에코플랜트는 6월30일 올해 상반기 총 12개의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2,900명이 넘는 임직원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SK에코플랜트 전체 임직원의 85%를 넘는 숫자이며 총 참여시간은 2만950시간에 이른다. SK에코플랜트는 소외된 이웃과 지역사회 그리고 미래세대를 위한 상생과 나눔의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임직원 및 협력기관이 동참하는 '에피봉사단(에코피플 자원봉사단)‘을 운영 중이다. 올해는 지난 3월 환경정화 봉사활동을 시작으로 △생명나눔 헌혈봉사 △조손도손(취약계층 조손가정) 주거환경 개선 △선덕원 아동복지시설 봉사 △찾아가는 안전교육 △취약계층 의료봉사 △행복한 안전교실 등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지난 5,6월에는 의료봉사 협력기관 열린의사회와 함께 경기도 이천 등 의료취약지역을 찾아 어르신들을 위한 의료봉사활동을 진행하는 한편 협력기관이 운영하는 의료봉사 프로그램 ‘더 건겅한 버스’에 기부금을 지원했다. 미래세대를 위한 사회봉사도 눈에 띈다.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아동복지시설 선덕원과는 지난 2022년부터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도 노후시설 수리 및 환경개선공사를 비롯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6월에는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인근 초등학교 환경개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화재확산방지 및 피난‧소화성능 향상을 위해 마감재료의 화재확산방지 기술을 개발하고 피난시설 통합 성능검증시설을 구축하는 ‘건축물 화재확산방지 및 피난‧소화성능 향상 기술개발(2025~2029, 230억)’에 본격 착수한다. 국토부는 6월30일 오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에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사업시행기관과 함께 연구개발(R&D)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세부사업내용과 추진계획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국토부와 소방청이 참여하는 이번 사업은 건설연이 주관 연구기관으로 수행하고 이를 통해 화재확산방지 기술개발 및 2029년 통합 성능검증시설 실증운영을 목표로 추진한다. 사업비는 공공 230억원(국토교통부 185억원, 소방청 45억원), 민간 9억원으로 총 239억원이다. ‘건축물 화재확산방지 및 피난‧소화성능 향상 기술개발’은 크게 4가지 중점과제로 구성된다. 먼저 마감재료 화재안전성능 향상 기술을 개발한다. 지하주차장 천장 배관보온재, BIPV 등 화재확산 방지 기술을 개발하고 시공매뉴얼 및 성능평가지표를 개발한다. 또한 피난시설의 화재안전성능 평가를 위한 통합 검증시설을 구축한다. 대피공간 대체시설 등 피난시설의
국내 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 에이치앤파워는 최근 원격관제시스템 ‘VI(Virtual Inception)’를 기반으로 한 도심형 미니 수소발전소 구축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도심형 미니 수소발전소’란 건물에 설치된 여러 연료전지시스템을 하나의 통합된 전력공급시스템처럼 제어-운영하는 기술적 개념이다. 건물용 연료전지는 1차적으로 자가건물에 필요한 열과 전기를 직접 생산하며 잉여의 전력은 도심 내 예비전력(balancing capacity)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일본 오사카가스(Daigas)가 대표적 성공사례다. 2021년 가정용 연료전지 3,600대를 원격제어해 1MW 예비전력을 도시에 공급했다. 현재는 일본 전체 연료전지 50만대 중 20만대를 운영하며 연간 37만톤의 탄소배출을 줄이고 있다. 에이치앤파워는 ‘도심형 미니 수소발전소 통합관제시스템 VI’ 구축을 완료하고 다수 현장의 연료전지 발전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VI는 2023년 과기정통부 ICT R&D 혁신바우처 사업으로 개발한 시스템으로, ICT와 수소연료전지기술을 융합한 전력 생산-거래 플랫폼이다. 전력중개사업자 브이젠과 공동 개발했으며 VI시스템을 활용한 특허
◆보임 △김성국 감사실장 △배창호 마케팅기획처장 △김영기 대전충청지역본부장 △김기호 광주전남지역본부장 △이재훈 가스연구원장 △박철웅 법무실 국내법무부장 △신승섭 법무실 해외법무부장 △서용원 감사실 감사총괄부장 △전주열 감사실 사무감사부장 △한용운 전략기획처 투자평가부장 △황민경 경영관리처 내부회계관리부장 △설강국 경영지원처 노사협력부장 △오진형 재무처 세무부장 △김종원 재무처 국제금융부장 △양진실 상생협력처 동반성장부장 △한성희 마케팅기획처 요금제도부장 △정봉훈 해외사업기획처 해외사업개발부장 △선현구 해외사업기획처 유라시아사업부장 △김길훈 LNG사업처 호주인니사업부장 △고유성 기술기획실 기술기획부장 △김영균 가스연구원 유량측정연구팀장 △신종민 건설설계처 계전설계부장 △김성환 건설사업단 충북안전건설사무소장 △강경구 서울지역본부 안전부장 △성기표 인천지역본부 설비보전부장 △주봉철 경기지역본부 분당지사장 △김진형 강원지역본부 설비운영부장 △김동규 대전충청지역본부 설비운영부장 △한영철 전북지역본부 설비보전부장 △정인호 전북지역본부 관로보전부장 △이학수 광주전남지역본부 관리부장 △도진현 대구경북지역본부 안전부장 △양희범 부산경남지역본부 울산지사장 △김용섭 평택기지본부
지멘스 스마트 인프라는 최근 이탈리아 부동산 투자·개발 및 자산운영 전문기업 코이마(COIMA)와 협력해 밀라노 포르타 누오바(Porta Nuova)지역의 상징적 건물 ‘피렐리 35(Pirelli 35)’를 스마트하고 에너지효율적인 빌딩으로 탈바꿈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헤리티지 건축물의 보존과 첨단 기술의 융합이라는 측면에서 도시 재생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밀라노 포르타 누오바지역에 위치한 피렐리 35는 연면적 4만5,000m², 11층 규모 상업용 건물로, 건축된 지 65년이 지난 헤리티지 건축물로 약 40여개사가 입주해 있다. 이번 리노베이션을 통해 약 60%의 에너지절감 효과를 실현했으며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약 2,000톤 줄이는 등 친환경 성능을 입증하고 있다. 이같은 성과의 핵심에는 지멘스의 통합 빌딩관리시스템인 ‘Desigo CC’가 있다. Desigo CC는 냉난방공조(HVAC), 조명, 빌딩자동화, 방재, 전력관리 등 건물 내 모든 운영기술을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하며 높은 수준의 사이버보안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설 관리자는 운영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시스템의 신뢰성과 장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LG전자(대표 조주완)가 ‘LG 스마트코티지(LG Smart Cottage)’로 모듈러주택의 ‘에너지효율’과 ‘안전’ 기준을 제시한다. 최근 LG 스마트코티지는 모듈러주택을 포함한 모든 프리패브(Pre-fabrication: 사전 제작)방식의 건축물 중 국내 최초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최고 등급인 ‘ZEB 플러스(Plus)’를 획득했다. 프리패브는 공장에서 건물을 사전 제작 후 현장으로 옮겨 조립·설치하는 건축 공법을 의미한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소요량을 최소화한 녹색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다. LG 스마트코티지는 1등급 기준인 100%를 뛰어넘어 에너지생산량이 소비량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인정받았다. LG 스마트코티지는 LG전자의 차별화된 AI가전과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냉난방공조)기술을 집약한 모듈러주택이다. 주택 내 사용하는 모든 에너지를 전기로 사용하며 지붕에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설치하면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다. LG전자는 미래형 주거모델로 주목받는 모듈러주택의 안전성을 강화, 품질 신뢰성을 높이는 데도 앞장
‘쾌적한 생활환경 파트너’ 경동나비엔은 6월24일부터 26일까지(현지시각 기준) 영국 버밍엄 국립 전시장에서 열린 영국 최대 규모의 설치·건축 관련 산업박람회인 ‘인스톨러 쇼 2025(Installer Show 2025)’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6회 연속 참가한 경동나비엔은 ‘고객에게 꼭 맞춘 최적의 생활환경 솔루션’을 주제로 영국시장 공략을 위해 준비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난방은 물론 빠르고 풍부한 온수를 제공하는 가스보일러 ‘NCB ON’과 높은 에너지효율과 친환경성을 갖춘 기름보일러 LCB700, 출시 예정인 기름보일러 LCB500도 공개했다. 또한 미국시장에서 큰 사랑을 받은 콘덴싱 온수기 NPE의 유럽형 모델을 이용해 호텔이나 병원, 빌딩 등에서 사용 가능한 상업용 온수기 솔루션 ‘NPE 캐스케이드시스템’ 제품을 선보여 현지 바이어와 엔지니어에게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최근 출시한 ‘가정용 히트펌프(PEM750)’도 전시했다. 이 제품은 친환경 냉매(R290)와 인버터 기술을 결합해 추운 날씨에도 효율적인 난방과 온수를 제공하는 제품으로 저소음 기술과 스마트터치 디스플레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해 사용자 편의성까지 확보했다. 이와 함께
LG전자(대표 조주완)가 오는 2030년까지 추진하고 있는 온실가스 저감 및 폐기물 재활용률 목표를 향해 순항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담은 ‘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6월30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자원순환 중점 추진 LG전자가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배출한 직접(Scope1) 온실가스와 간접(Scope2) 온실가스는 총 91만톤(tCO₂eq,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이다. 2030년 배출량 목표치인 87.8만톤과 근사한 수치다. 앞서 LG전자는 2030년까지 2017년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4.6%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생산공정 내 에너지 고효율설비 도입 및 재생 전력 전환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LG전자는 AI, 코어테크 등 고효율 기술을 확대하며 제품 사용단계(Scope3) 온실가스 저감에서도 목표 달성에 가까워졌다. 지난해 LG전자 7대 주요제품 사용단계 탄소배출량은 지난 2020년대비 19.4% 줄었다. 앞서 LG전자는 국내 가전업계 최초로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SBTi(Scien
국내 기후·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이 논의됐다.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위원회(위원장 위성곤)은 지난 6월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형 기후에너지 산업정책 방안’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기후·에너지 산업은 탄소중립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성장동력이다. 선진국들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관련산업을 적극 육성하며 제도정비와 대규모 투자를 병행하고 있다. 한국형 기후에너지 산업정책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내 기후에너지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며 실행력 있는 정책·제도기반을 논의하는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이재명 정부가 203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이 가능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가져야 할 것”이라며 “제도·관행·방식 등을 잘 구축해 기후위기 시대에 대한민국이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히트펌프, 이차전지, 그린수소 등의 부문에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라며 “탄소중립을 위해 집중해야 할 부분들과 포기해야 할 부분들을 잘 구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형
ABB가 차세대 데이터센터(DC)에 대한 설계 및 운영사인 어플라이드 디지털(Applied Digital)과 미국 노스다코타 주에 위치한 400MW 규모의 신규 DC 캠퍼스의 전기인프라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빠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에너지효율이 뛰어난 솔루션을 개발해 급속히 발전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요구사항에 대응한다. 장기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첫 번째 계약을 2024년 4분기와 2025년 1분기에 수주했으며 상세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 파트너십의 핵심은 ABB의 HiPerGuard 고압(13.8kV)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를 활용한 새로운 고압전력 체계이다. 업계 최초기술인 HiPerGuard 솔루션은 AI DC 내 전력밀도를 높이고 전기설비 설치면적을 줄여 에너지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이번 협력은 신규 DC부지에서 대규모 AI시설 효율성과 복원력을 개선하도록 최적화된 전기인프라 전체 설계 및 개발을 포함한다. 기존 DC의 경우 저압(380V) UPS와 배전시스템을 사용했으나 ABB HiperGuard를 적용한 AI DC는 고압(6.6~24kV) UPS시스템과 고압배전으로 전환해 △낮은 전력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대표 권지웅)이 급증하는 데이터처리량과 AI 워크로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인 ‘이지모듈형 데이터센터 올인원(Easy Modular Data Center All-in-One)'을 공개하며 미래 데이터센터(DC) 인프라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최근 생성형AI 기술과 고성능 컴퓨팅(HPC)의 확산은 DC 역할과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하지만 365일 24시간 운영되는 DC는 막대한 에너지를 소비하며 AI 워크로드는 일반적인 데이터 트래픽보다 훨씬 더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DC 구축 방식으로는 급변하는 시장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슈나이더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C구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이지 모듈형 DC 올인원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 솔루션은 전력, 냉각, IT 인프라를 통합한 모듈을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뒤 현장에서 빠르게 설치하는 방식으로 기존 DC 구축방식 대비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구조는 필요에 따라 용량을 손쉽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변화하는 IT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
데이터센터 전문기업 데우스(DEUS)는 반도체장비 전문기업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GST)와 고성능·고밀도 데이터센터(DC)를 위한 액체냉각기술 공동개발 및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DC 에너지효율성과 열관리를 강화하는 데 핵심인 D2C(Direct to Chip) 또는 DLC(Direct Liquid Cooling) 방식과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 등 다양한 액체냉각(Liquid Cooling: 리퀴드쿨링) 기술을 공동개발하고 국내·외 DC 실증사업에 본격 적용할 계획이다. DEUS는 DC설계 및 운영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외 주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협업기회를 확대하며 GST는 축적된 열제어기술을 바탕으로 고발열 환경에 최적화된 냉각장비를 개발하고 프로젝트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최근 DC는 무중단 운영과 고집적 랙 구성이 일반화되면서 발열문제 해결이 운영효율성의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공기냉각 방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액체냉각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액체냉각은 냉각효율이 높고 전력사용량을 줄일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고장률을 낮추고 수명을 연장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