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국 대성마리프 부사장은 2013년 3월5일부터 현재까지 대형물류창고 및 한국농수식품유통공사 비축기지 5개 구축에 냉동·냉장장비 설계, 제조에 참여, 신기술 및 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특히 대형 물류창고 및 농수산물 비축기지사업에 참여해 냉동장비 제작 설치에 앞장섰다. 이 부사장은 냉동·냉장시스템 성능개선과 관련 관할 연구소를 통해 13건의 특허를 취득했으며 저온저장고의 온도 및 습도의 임의 제어가 가능한 간접냉각시스템을 개발, 물류창고 및 물류기지의 저장제품의 신선도 유지를 통한 제품 유통기간을 연장하는데 많은 기여를 했다. 또한 대형물류 창고 및 농수산물 비축기지에 적용되는 대형 냉동기 제품은 해외에서 완제품 수입제품이 적용됐으나 대성마리프에서 개발한 Bitzer Multi System 제품을 개발, 적용해 수입대체효과에 따른 국내산업의 비용 절감에 기여했다. 특히 대성마리프 공장촐괄 임원으로서 재직 중에 제품기능 향상 및 국내기술발전을 위해 13개 특허출원 등록을 완료했으며 냉매의 과열도를 이용한 제상감지시스템 및 저온저장고의 온도 및 습도의 임의제어가 가능한 간접냉각시스템 특허기술을 적용해 저장물의 신선도를 장기
2009년 1월 2일부터 현재까지 전국의 기계설비건설공사 중 설비설계 및 생산분야에 참여해 온 양경삼 삼양발브종합메이커 대표는 전국에 산재한 각종 건축물의 설비설계 및 제품생산을 통해 국가정책에 따른 에너지절감 기조에 따라 관련 기술을 적극 적용하고 설비기술자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양 대표는 새로운 제품 제조와 책임있는 사후관리로 에너지절감형 기계설비시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삼양발브종합메이커의 최근 3년간 2019년 181억원, 2020년 184억원, 2021년 158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매출액이 감소했지만 신용평가는 BBB-로 안정적인 경영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양 대표는 2022년 현재 ‘BIM 연계 에너지절약형 통합 수배관시스템 계산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한국산업기술평가원에 주관하는 부품소재개발에 관한 국책과제도 수행한 바 있다. 국내 밸브를 외국에 100만불 수출을 달성했으며 생산공정을 협력업체(약 20여개사)와 함께 분배해 상생경영을 도모하고 품질책임 생산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양 대표는 안정적인 에너지운영과 관련 건물의 냉동공조,
김은기 삼화에이스 대표는 30여년간 재직하면서 HVAC 시스템산업분야 전반에 품질혁신 및 기술개발을 통한 신제품, 신기술, 신공법을 개발해 탁월한 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김 대표는 특히 ‘회사는 가치있는 제품으로 사회에 기여해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본이념을 가지고 있으며 불공정거래를 철저히 배격하고 기업활동의 공정성 및 납세의 투명성, 환경·근로조건·노사관계의 우수성을 통한 기업활동의 윤리성 및 이해관계자들의 가치 상승을 위한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사회적 책임과 공헌의 중요 실천방향으로 채택해 실천해 오며 기계설비산업발전에 기여했다. 김 대표는 최근 3년간 평균 매출 780억원(수출 42억원 포함)을 달성한 데 이어 상시근로자수 약 200여명 고용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 전체매출 중 관급 매출비중 약 13%를 달성했다. 또한 MES, PDM, ERP시스템을 활용한 업무효율성 및 생산성 제고는 물론 △제안활동 및 소집단 활동을 통한 불량률 감소 △주·월별 불량사례 회의 및 개선 적용 통한 품질 개선 등을 통한 품질혁신 활동 유지관리 및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매출액대비 평균 5%를 R&D비
김민성 중앙대 교수는 1996년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1998년 동대학원 기계공학과, 2002년 기계항공공학부에 각각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 과정에서 에어컨, 히트펌프 등 기계설비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했다. 이후 세종대학교 연구원, 2003년 미국 국립표준연구소를 거치면서 공조설비의 고장진단, 동적특성해석, 연계 실험 등을 수행해 전문성을 축적한 이후 2007년부터 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효율연구본부에서 산업용 고온히트펌프, 동시냉난방 모듈형 히트펌프, 가스엔진 열병합발전시스템, 지열히트펌프 등 기계설비와 히트펌프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2015년부터 중앙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로 전직해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부활동을 통해 국가정책 개발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김 교수의 전문활동은 대한설비공학회에서 이뤄졌다. 1996년 6월부터 현재까지 총 25년9개월간 학생회원으로 시작해 냉동부문위원회, 에너지부문위원회, 히트펌프전문위원회 등 다수의 기술분야 위원회 활동과 e-서비스위원회, 국제협력위원회 등 상설위원회 활동을 수행해 학회 활성화에 기여했다. 현재 총무이사를 역임 중이다. 경력기간 동안 주요
2001년 LG전자에 입사한 이래 20여년간 건축물의 쾌적한 환경조성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기조화시스템을 구축하고 발전시키는데 이바지하고 있는 권민호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 시스템에어컨 엔지니어링실 총괄책임자(실장)가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권 실장은 멀티전기히트펌프, 냉동기, 시스템보일러, GHP 등 다양한 공조솔루션을 성공적으로 보급함으로써 국내·외 관련 산업 발전의 기반 구축에 기여하고 글로벌 공조시스템 아카데미 개설 및 운영을 통해 체계적으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세계수준의 엔지니어링 툴(Tool) 활용으로 냉난방공조 품질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국내시장의 다양한 건축물에 고효율 시스템에어컨 보급으로 관련시장 성장의 기반을 구축하고 최적운영을 위해 전력분배시스템 적용을 통한 에너지절감 및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했으며 시장품질 조기확보로 고객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국민 삶의 가치향상 제고에 앞장서 왔다. 또한 국내 유일 국산 가스냉방기기인 GHP보급 확대를 통해 하절기 전력피크 감소로 국가 전력수급 안정화에 기여하고 기계환기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 등 다양한 IAQ(Indoor Air Quality) 솔루션을 통한 실내공기질 개선으
대한기계설비단체총연합회(회장 강용태)는 7월21일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제7회 기계설비의날 기념식을 개최하며 기계설비인들의 화합과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 대한기계설비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하고 국토교통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후원한 이번 기념식에는 김상훈 의원, 박덕흠 위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참석해 기계설비인들을 격려했다. 또한 정달홍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회장, 김철영 한국설비기술협회 회장, 강성희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 회장, 변운섭 대한설비설계협회 회장, 이용규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이사장, 유호선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원장, 김회률 한국기계설비기술사회 회장, 이상태 한국종합건설기계설비협의회 회장이 참석해 기념식을 축하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기계설비산업은 200조원 규모의 건설산업에서 21조원 가량 차지하는 산업이며 2만명의 기계설비 유지관리인은 건설현장에서 건물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등 빠른 속도로 성장해나가고 있는 분야”라며 “국토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250만호 주거공급, 산업단지 강화, GTX 등을 차질없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계설비산업의 도움과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
에이블에너지(대표 김홍욱)는 건물에너지 컨설팅기업으로 2017년 창립이후 지금까지 건물에너지절감과 관련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 ETO의 독점판매권을 기반으로 건물에너지 모니터링에 필요한 측정장비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린리모델링(GR) 현장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 SHGC 측정장비 컨설팅 및 SHGC 저감기술 컨설팅, 한국·독일 공동연구과제 수행 등을 통해 고객들의 니즈에 맞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복층유리 루버삽입기술 ‘차별성’에이블에너지는 SHGC와 관련해 독일 레트로솔라(RETRO SOLAR)의 차양 및 블라인드 판매권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 반사루버 블라인드는 실내로 들어오는 열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블라인드를 닫힌 상태로 유지할 경우 시각적 요소가 전달되지 않아 외부조망이 불가능하다. 또한 하단 루버에 의해 반사된 태양열이 실내로 유입돼 열부하저감 효과를 상쇄하게 된다. 레트로솔라의 레트로플렉스(RETRO FlexⓇ)는 포물선 모양의 슬랫에 작게 쪼갠 거울을 붙이는 방식의 마이크로프리즘(Microprism) 거울을 적용해 기존 블라인드의 단점을 해소했다. 루버의 앞면은 세밀하면서 미세한 구조를 구현해 시각적 요소를 전달
엠글라스(대표 문정환)는 2020년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건축 단열필름 및 차량용 틴팅필름을 연구개발하고 유통 및 시공하는 전문기업이다. 엠글라스는 태양열에너지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필름의 일종인 일사조절 차폐필름을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다. 건축물 유리로 유입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유발하는 냉방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제품으로 열차단 필름은 창유리에 부착해 건축물의 태양열취득에 대해 뛰어난 성능을 구현하고 있다. 창유리를 적용한 상업용 오피스건물 및 주거용 아파트·타운하우스·주택 등의 모든 생활공간에 열차단필름 설치가 가능하며 제품이 설치된 건물은 여름철 에너지효율을 높여 냉방부하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엠글라스의 열차단필름은 KS L 2016(창유리용 필름) 규격서를 기준으로 하는 태양열취득계수(SHGC) 주요 성능데이터 중 열적외선 장파장 영역에 대해 2,500nm까지 적외선 차단율 99%를 확보했다. 실제 태양열을 반사할 수 있는 VLR(Visible Light Reflection: 가시광선 반사율), VLT(Visible Light Transmittance: 가시광선 투과율)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금속 원재료를 적용함으로써 SHGC
멀티필름코리아(대표 배정혜)는 건축물에 유입되는 빛과 열을 밸런싱하고 제어하는 전문기업이다. 구조를 보강해 외부시야를 확보하면서 빛·열을 차단하는 플리팅 기법을 활용한 투명 블라인드형 열차단 필름을 국내 최초로 공급하고 있다. 멀티필름이 공급하는 제품브랜드인 ‘데어슈츠(DERSCHUTZ)’는 ‘the Protection’이라는 뜻의 독일어로 실내온도 상승, 직달일사에 의한 눈·피부건강 위협, 외부시선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직사광선에 따른 눈부심 및 쾌적한 조도환경 저해 등으로부터 재실자를 보호하고 냉난방부하 저감을 통한 에너지절감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해 자연을 보호한다는 의미가 있다. 최대한 맑은 창을 유지하면서 가시광 및 적·자외선이 실내에서 에너지화되기 전에 유리투과가 가능한 에너지형태로 외부로 돌려보낸다. 최대 88% 태양열에너지를 외부로 반사하는 방식으로 차단하며 최대 75% 냉방에너지 절감, 43% 난방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필름이다. 반사형 일사조절장치로서 단파복사에너지가 열형태의 장파복사에너지로 변환되기 전 거울처럼 반사해 건물 밖으로 배출하는 원리다. 태양에너지는 외부에서 차단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여러 여건상 외부차양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 실내
한국중소벤처무역협회(KOSTA, 공동회장 송재희·정난권)는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혁신성장과 수출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18년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경제단체 1호로 설립됐다. 중소벤처기업의 수출애로 해소에 주력하고 있는 KOSTA는 최근 탄소중립 이슈에 대응해 건물에너지 절감기술기업 육성을 통해 하이테크, 고부가가치 산업에 혁신 중소벤처기업을 배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냉난방부하 저감을 위한 태양에너지 차단 유망기술을 확보한 열차단필름 중소기업의 성능검증을 지원하기 위해 협회건축물을 시험공간으로 제공키도 했다. 이남희 KOSTA 전무를 만나 협회의 역할과 건축물 에너지효율향상 중소기업 육성의 필요성에 대해 들었다. ■ KOSTA의 역할은KOSTA는 중소기업을 판로확보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은 주된 애로사항인 △자금 △판매 △인력 등 크게 3가지 분야를 중점으로 이뤄진다. KOSTA는 이중 판매분야를 총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수출을 중점지원하는 기관이다. ■ 열차단필름 시험공간을 제공했는데건물에너지절감은 매우 중요한 이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수단을 활용해 왔지만 KOSTA가
한국태양에너지학회(회장 김현구)는 태양에너지를 연구개발하는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모여 1977년 창립한 이후 45년된 역사깊은 학술단체다. 국제표준인 ISO에서 SHGC측정을 다루는 TC163 WG17에도 김홍욱 태양에너지학회의 기획부회장이 참여해 이광호 고려대 교수, 채영태 가천대 교수와 함께 글로벌 표준을 주도하고 있다. 김홍욱 부회장은 태양에너지학회 활동과 더불어 건물에너지 컨설팅기업 에이블에너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ISO TC163 WG17과 WG22 등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양대 건축환경 석사, 베를린공대 박사를 졸업했으며 독일기술자협회 정회원으로 소속된 글로벌 전문가다. 김홍욱 부회장을 만나 국내·외 표준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해 들었다. ■ SHGC의 중요성은에너지절약형 건축물 구현을 위한 기술 중 건축부문 에너지저감 전략으로 건물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창면적비 조정, 차양, 고성능 단열재, 고효율 창호 등 기술로 건물외피부하를 최소화해 효율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중 고효율 창호는 단열뿐만 아니라 창유리를 통한 냉방부하 증가를 막기 위한 SHGC 성능 향상이 중요한 요소다. ■ 국내 SHGC관련 제도는국내 인증기관들은
국내 SHGC 관련제도는 정립돼가는 단계로 걸음마 수준이지만 글로벌 SHGC 기준정립 역시 역사가 오래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우리나라가 SHGC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 2017년 ISO 19467-1(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and Doors-Determination of Solar Heat Gain Coefficient Using Solar Simulator: 창호 및 문의 열성능-솔라시뮬레이터를 활용한 SHGC 측정)이 처음으로 제정됐으며 지난해 말 ISO 19467-2(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and doors-Determination of solar heat gain coefficient using solar simulator Part2: Centre of glazing: 창호 및 문의 열성능-솔라시뮬레이터를 활용한 SHGC 측정 파트2: 대형창호시스템의 중앙부)가 출판됐다. SHGC 국제표준 제정에 국제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이광호 고려대 교수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광호 교수는 2011년 ISO에서 SHGC 측정에 관한 워킹그룹인 ISO TC163 WG17 설
최근 에너지다소비형 건물을 포함해 공공건물, 상업용, 주거용 등에서 동계 난방에너지뿐만 아니라 하계 냉방에너지 수요와 소비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건물부문은 비용대비 에너지절약 효과가 가장 큰 부문으로 정부에서는 건물에너지 설계기준 강화 및 각종 인증제도 의무화를 통해 에너지소비를 절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건물부문에서 에너지손실·취득이 가장 많아 중요하게 고려되는 창호의 성능기준은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건물에너지설계기준의 강화 및 창세트 에너지효율등급 운영 등을 통해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있다. 건물에너지에 관련되는 창호성능은 크게 2가지 요소로 나눈다. 온도차에 의한 손실열량을 나타내는 열관류율(U-value)과 태양에너지의 광학적 투과특성에 따른 일사획득량을 나타내는 일사획득계수(SHGC: Solar Heat Gain Coefficient)다. 현재 창호의 열관류율값을 결정하는 이론적 계산방법 및 실험방법과 측정장치는 정립돼 운영되고 있으나 SHGC의 경우 비교적 최근에 측정방법이 마련돼 폭넓은 논의가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김홍욱 한국태양에너지학회 기획부회장은 “현재 SHGC관련 의무적 인증제도는 운영되고 있지 않으며 많은 우리나라 연구자들
케이웨더(대표 김동식)가 ‘실내·외 공기질 빅데이터 플랫폼 및 환기청정기’로 2022년 환경부·중소벤처기업부의 ‘그린뉴딜 유망기업’에 선정됐다. 해당 기술은 실시간 공기데이터 분석을 통한 빅데이터 기반의 AI 환기청정기를 통해 실내공기질 개선은 물론 건물에너지 부하저감에 효과적인 기술이다. 케이웨더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중 환경부가 선정하는 ‘녹색혁신기업’으로 지정됐으며 향후 3년간 기술개발·사업화에 최대 30억원의 정책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스마트시티 기술정합성 높아이번 기술은 △실내·외 공기질측정기 및 통합플랫폼 △실내공기질(IAQ) 분석·관리플랫폼 ‘AIR365’ △환기청정 제어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실내·외 공기질측정기는 환경부 1등급인증을 취득한 측정기로 IoT기능을 탑재해 1분단위로 공기질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습도, PM10, PM2.5를 기본으로 측정하며 추가적으로 실내공기질 측정기의 경우 CO, CO₂, VOCs, 소음, HCHO, NO₂, O₃, 라돈 등을, 실외공기질 측정기의 경우 풍향, 풍속, 강우량, 조도, 자외선, 폭염지수, H₂S, NH₃, NO₂, SO₂, O₃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공기질측정기는 전국 6대 광역시 등
지엔원에너지(대표 최근화)는 ‘수열에너지 이용 고효율 복합열원 냉난방시스템’기술로 환경부·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 추진하고 있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사업 중 환경부 녹색혁신기업으로 지난 2020년 선정, 3년차를 맞이하고 있다. 지엔원에너지는 2002년 코텍엔지니어링으로 설립돼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이하는 국내 지열에너지업계 선도기업이다. 2004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이 시행되면서 지열에너지사업에 진출해 미국 WaterFurnace, 독일 Viessmann 등 글로벌시장을 이끌어가는 지열에너지 선도기업과의 기술제휴를 통해 국내에 설계, 시공, 유지관리기술 등 첨단 지열기술을 도입, 전파하고 있다.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서울시 신청사 △인천공항 제3청사 △세종시 정부청사 △나주 한전 신사옥 △롯데월드타워 등 국내 대표 지열프로젝트를 수행해오고 있다. 지열·수열 냉난방시스템 상용화 기대 지엔원에너지의 관계자는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수십년 전부터 하천수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기술을 적용해오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수열에너지가 재생에너지로 편입되면서 수열에너지 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그린뉴딜 100대 유망기업’으로 선정된 엔트(대표 김영남)는 액체식 제습기술 전문기업으로서 해외기술에 의존하던 기술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했다. 안전하고 쾌적한 삶을 위해 엔트는 핵심기술인 액체식 제습냉난방시스템을 이용해 폐열을 적용한 제습냉방과 에어워싱에 의한 공기청정·세정·제균이 가능한 ‘올인원 청정공기조화기’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엔트는 에너지사용을 줄이고 실내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는 현열과 잠열을 분리, 제거하는 스마트 탄소저감 올인원 공조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액체식 제습기술을 사용해 상황에 맞도록 현열과 잠열 분리제거가 가능해 기존 에어컨시스템처럼 온도위주 냉방이 아닌 쾌적도 중심(온도+습도)의 냉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실내의 온도가 적정하고 습도가 높을 시 습도만 효율적으로 제습하며 온도와 습도가 모두 높을 시 온도와 습도를 모두 제거할 수 있어 냉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압축기에서 버려지는 열을 재활용해 추가적인 에너지절약도 가능하다. 또한 IAQ관련 모든 요소를 하나의 장비로 관리하는 최적솔루션이며 미국 등 선진국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중앙식 공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장비로 냉난방
삼화에이스(대표 김학근)는 1984년 설립 이후 공조기, 항온항습기, 칠드빔시스템, 클린룸시스템,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성장해왔다.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분야와 저소음, 에너지절약기술을 접목한 공조기 전문기업으로 전문성과 기술적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에너지절감형 공조기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공조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공조분야에서는 저소음·고효율 공기조화기, 제습공조, 바닥공조, Built Up 시스템을, 항온항습분야에서는 히트펌프 항온항습기, 데이터센터 외기냉방, Built Up 항온항습기 등을 제공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는 바이오매스보일러, 지열히트펌프 등이 있으며 반도체 제조라인 및 수술실 등 청정도를 필요로 하는 클린룸시스템, 칠드빔·복사냉난방시스템 등 관련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특히 국내 30곳 이상의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사업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센터 쿨링인프라와 관련해 총 3회의 국가 R&D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200kW급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을 검증할 수 있는 test mock-up 설비를 보유해 많은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다. 15kW급 RDHx시스템 구축이번 과제에서는 RDHx(Rear Doo
어썸레이(대표 김세훈)가 올해 탄소나노튜브(CNT), 극자외선(EUV)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환기장치의 인증제 진입 등 정책·제도 대응과 공공조달·해외시장진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는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환경부 ‘그린뉴딜 유망기업’의 녹색혁신기업으로 선정된 이후 기술개발 및 사업화지원사업의 연차별 목표에 따른 것이다. 앞서 어썸레이는 1차연도인 2020년 스마트환기장치의 미세먼지 제거, 살균, 바이러스 제거 등 성능성적을 확보하고 실증사업 및 시제품 제작을 진행했으며 시장조사, 마케팅을 거쳐 사업화의 토대를 닦았다.이어 2차연도인 2021년 그린리모델링(GR) 건축물에 적합토록 제품을 개선하면서 GR사업자로 등록했다. 또한 신기술(NET), 신제품(NEP)인증 추진을 위한 사전조치로 CE인증을 획득하고 지속적인 마케팅활동을 수행했다. 녹색혁신기업 3차연도 ‘졸업’올해는 의무화 또는 인센티브 적용이 가능한 정책·제도에 적용 및 가점획득이 가능토록 관련조치를 추진한다. 현재 국회에서 다중이용시설 환기시스템인증을 새롭게 도입하는 기계설비법 개정안이 지난해 발의돼 소관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해당 개정안에는 다중이용시설 등에 설치되는 기계환기설비의 설치 및 유
가뭄 등 기후위기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해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탄소중립이 나날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가능케 하는 녹색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녹색산업이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대체하고 에너지와 자원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재화생산과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탄소중립을 이루고 녹색성장을 촉진하는 산업이다. 세계적으로 녹색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은 녹색기술과 4차 산업기술을 주요 산업분야에 접목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세계 녹색시장은 1조1,977억달러 수준으로 매년 4%가량 성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녹색산업 세계시장 점유율은 2% 수준으로 주요국대비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한국판뉴딜 종합계획,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미래 기후변화·환경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녹색기술을 보유한 유망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 30개 기업을 시작으로 2021년 31개사, 2022년 30개사를 선정하며
최근 탄소중립 필요성과 함께 ‘에너지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동시에 신재생에너지로 인한 전력계통 문제로 출력제한과 잉여전력이 손꼽히고 있다. 간헐성과 변동성이 높은 재생에너지(VRE) 확대로 출력제한(curtailment)이 빈번해지면서 전력계통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섹터커플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섹터커플링은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발전-난방(Power-to-Heat), 발전-수송(Power-to-Mobility), 발전-수소(Power-to-Hydrogen) 등 효율적인 에너지 흐름체계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이중 P2H기술은 탄소중립을 이끌 에너지전환의 핵심기술로 추대되는 동시에 출력제한과 전력계통 불안정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에너지효율 극대화가 가능함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 전력계통과 글로벌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스터-Key 역할이 기대할 수 있다. 글로벌 P2H 진행 현황은 P2H는 지역냉난방,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축열시스템, 전력이용 냉난방 등이 널리 보급돼 있어 어느 정도 기반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추가적인 인프라 투자를 최소화하면서도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