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 확대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기술 향상과 높은 완성도이며이것이 우리 회사의 경영방침입니다"김대욱 넥스트에너지코리아 대표가 밝힌 경영방침이다.이러한 경영방침이 있었기에 가정용 목재펠릿보일러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 기업이 될 수 있었던 배경이다.넥스트에너지코리아는 2002년 설립돼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개선방안에 관한 과제를 한국건설업협회와 공동으로 과제수행하며 폐열회수형환기스템을 개발, 1군 건설사에 보급하며 본격적인 사업활동을 개시했다.이후 2007년 저탄소 친환경 목재펠릿보일러를 개발해 산림청의 보급사업에 참여했다. 보급초기부터 소비자들로부터 제품에 대한 좋은 인식을 쌓아 가며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성장했다.초기 목재펠릿보일러시장은 제대로된 인증기준이 없어업체난립으로 시장위기까지 처했지만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 도입으로 인해 난립된 시장이 제자리를 찾았다. 넥스트에너지가 업계 1위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실제로 산림청이 집계한 가정용 목재펠릿보일러 보급현황 자료를 보면 신재생에너지 설비인증제도가 도입된 이후 넥스트에너지는 전체 시장점유율의 50% 안팎을 유지하는 압도적인 보급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업계 1위를 차지했으
독일은 꼼꼼한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1등 기업이 포진해있는 제조업 강국으로 널리 알려졌다. 현재 국내에 진출한 많은 독일 기업들은 고객들에게 고가의 ‘명품’들을 선보이고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자존심을 지켜내고 있다. ‘made in Germany’라는 문구가 소비자들에게 선사하는 의미는 무엇일까? 프리미엄 품질과 서비스를 보장받는다는 보증수표일 것이다.보일러부문에서 140년 전통을 이어온 독일의 바일란트 그룹이 한국 법인을 런칭하며 칼슨 보크란더(Dr. Carsten Voigtländer) 바일란트 그룹 회장이 한국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바일란트 그룹의 한국시장에 대한 관심과 국내 보일러업계에 던지는 선전포고를 의미하고 있다. ▷ 왜 한국시장인가한국과 독일 사이에는 공통점이 많다. 분단에 의한 평화과정이나 기후변화 면에서도 유사성이 깊다. 한국시장을 볼 때 성패를 가르는 것이 고품질과 안정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이다. 바일란트그룹은 이 세 가지 가치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경쟁력을 갖췄다.한국의 가정용 보일러시장규모는 연간 120만대로 조사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영국과 중국 다음인 세 번째로 큰 시장이기도 하다. 또한 현재 인구는 5,0
세계 프리미엄 보일러 시장의 선두주자인 독일 바일란트(바일란트그룹코리아 대표 손유길, kr.vaillant.com)가 유럽식 콘덴싱 보일러 기술을 앞세워 한국 보일러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바일란트 그룹은 1874년 설립돼 독일 산업발전의 주춧돌을 세운 일등공신이다. 1894년 세계 최초 욕조 온수용 가스보일러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고 이후에도 벽걸이형 온수기, 중앙식 가스보일러 등을 시장에 선보이며 보일러 제조명가로 성장했다.특히 1997년 태양열 온수기를 시작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에도 발을 넓히고 지열·공기열·지하수열 히트펌프와 태양열 집열판 및 소형열병합 발전기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제품을 자체 제작했다. 2010년에는 시장에서 전무후무한 제올라이트(Zeolite) 가스식 히트펌프를 개발하면서 업계 선도기업으로 자리를 굳혔다.바일란트 그룹은 100% 가족소유 기업으로 독일에 본사를 두고 전 세계 20개국 이상 지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75개국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140년간 전통을 이어온 난방 및 환기 기술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프리미엄 친환경 고효율 난방 및 환기 시스템을 전 세계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또한 연간 약 170만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