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계연구원은 올해 초 연구원 조직개편을 통해 탄소중립기계연구소 내에 히트펌프연구센터를 신설했다. 히트펌프연구센터는 △고효율 친환경 히트펌프시스템 기술 △히트펌프 핵심 기자재 기술 △히트펌프 응용 및 열에너지네트워크 기술 △에너지시스템의 열공정 및 고성능 에너지 변환기술 등의 연구를 통해 ‘히트펌프 기술 혁신으로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열에너지 토탈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히트펌프연구센터장은 맡은 송찬호 박사는 MCE 현장에서 만나봤다. ■ MCE 참관 배경은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솔루션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중 히트펌프 및 냉동공조분야가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MCE 참관 직전에 독일 DLR연구소와 고온 히트펌프에 관한 워크숍을 수행했다. 유럽은 이미 히트펌프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고 많은 기업에서 관련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 전과 비교해 현재 업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 연구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참관하게 됐다. ■ MCE 전시회 키워드는 전시회 트렌드는 몇 개의 메이저 회사 부스를 찾아가면 쉽게 파악된다. 5, 7관에 주요 냉난방 기업들의 전시돼 있었다. 가장 눈에 띄는
벨리모는 빌딩공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센서, 댐퍼구동기 및 제어밸브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시장과 고객 요구에 맞춰 성장하는 파트너가 되기 위해 1975년 스위스에서 설립돼 현재 전 세계 주요국에서 임직원 약 2,200명과 함께하고 있다. 1995년 스위스 증권거래소(SIX)에 상장돼 지난해 기준 전 세계 매출액 약 1조2,000억원을 달성했다. 2010년 설립된 벨리모서울은 한국시장에서 독점판매권을 가지고 있다. 에너지(Energy), 안전(Safety)을 모토로 ‘Together to the top(고객과 함께 최고를 향해)’라는 경영철학하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한다. 제품개발, 기술지원, 영업지원, 현장지원, 서비스 등에 집중하고 있으며 제품 종류에 따라 총판과 대리점을 통해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고객과 신뢰를 최우선 가치로 하고 있으며 빠른 납기, 철저한 품질관리, 신속한 사후관리, 완벽한 기술지원 등을 통해 이러한 가치를 지켜오고 있다. 이번 MCE를 참관한 임태섭 벨리모서울 대표를 만나 2024 MCE에서 소개된 전 세계 냉난방공조업계 트렌드에 대해 들었다. ■ 올해 MCE 참관배경은코로나 이후 유럽에서 개최되는 전시회를 처음으로
승일일렉트로닉스는 1987년 설립돼 냉동공조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Micom Controller를 비롯한 인버터, 중앙 제어시스템, 전자 전극봉식 가습기, 센서 트랜스미터 등을 개발, 공급하고 있다. 냉동공조분야에서 부품을 공급하는 역할이지만 단순히 제품만 공급한다는 생각보다는 고객과 함께 성장한다는 마음으로 기술 컨설팅 및 지원을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 유승엽 승일일렉트로닉스 대표를 MCE 현장에서 만났다. ■ 이번 MCE 참관 배경은유럽은 코로나19 및 러시아-우크라이나간 전쟁을 겪으면서 에너지문제를 크게 경험했다. 물론 예전부터 에너지효율을 올리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기업들을 규제하고 단계적으로 기술적인 성장을 이끌어내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피부로 느껴지는 정도가 다른 것 같아 변화된 트렌드를 경험해보고자 참관하게 됐다. ■ 전시회 주요 트렌드는친환경 냉매가 이슈가 되면서 Low GWP 냉매로의 전환이 완전히 이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지난해 ISH에서는 R290, R32 등의 냉매를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보여졌다면 이번 MCE에서는 참가하는 모든 기업이 이미 Low GWP 냉매인 R290, R744를 적용했으며 컴프레서
트루만은 냉동공조장비 공급 및 에너지절감 관련 엔지니어링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2010년 5월 가압식변풍량(VAV) 바닥공조시스템을 기반으로 설립했다. 2018년 미국 Plasma Air International사와 Plasma Air Ionization Solution을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에너지절감과 실내공기질(IAQ) 향상솔루션을 연구개발 및 보급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중 특허인증 예정인 무선제어(Wireless Control) 및 최적의 실내공기질(IAQ)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바닥공조시스템으로 미래지향적인 친환경 바닥공조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MCE 전시장에서 정성진 트루만 대표를 만나봤다. ■ 이전 MCE 전시회와 달라진 점은이번 전시회를 통해 시대의 이슈를 반영한 새로운 솔루션 및 제품들을 직접 볼 수 있었다. 특이한 트렌드 변화는 MCE 참여기업 구성이다. 이전에는 참여기업이 주로 유럽기업 위주였다면 이번 전시회는 비유럽기업 특히 아시아기업이 많이 눈에 띄었다. ■ 인상깊은 출품제품과 소감은항상 해외전시회를 가면 그 해 EXCELLENCE AWARDS 수상제품을 확인한다. 이번 전시회에서도 59개 제품이 선정됐다. 이 중
신성이엔지는 1977년 설립된 클린환경 및 재생에너지 산업기술을 선도하는 클린룸, 공조, 태양광장비 전문기업이다. 산업용클린룸인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청정산업에 최적화된 시스템 테크놀로지솔루션을 제공해 국내외 산업현장에 시공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클린룸 핵심장비인 FFU(Fan Filter Unit) 국산화에 성공하며 최첨단 공기제어 기술력으로 고객 맞춤형 장비를 생산하고 있다. 과천본사, 용인 스마트팩토리, 증평 공조장비공장, 김제 태양광공장 등 국내사업장과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8개 법인, 2개 지점 등의 해외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신성이엔지 기술혁신본부에서 공조·환경 관련 연구개발 및 기술프로젝트 자문과 산학연계프로젝트 연결을 담당하고 있는 금종수 기술고문을 만나 MCE 전시회 트렌드와 인상깊게 본 제품 등을 들었다. ■ 이번 전시회 참관배경은글로벌시장에 대한 이해와 이번 MCE 주요전시분야인 냉난방분야 히트펌프의 최신기술과 트렌드를 파악하고자 참관했다. ■ 전시회 전반적인 분위기와 눈에 띄는 제품은냉난방시스템 측면에서 보면 화석연료 사용축소와 에너지공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친환경을 위한 자연냉매
김종현 폴리텍대학(정수캠퍼스) 교수는 지능형에너지설비과에서 열유체역학,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지도를 지도하고 있다. 또한 재학생들과 공공 및 기업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이론과 실습뿐만 아니라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글로벌 기술인재를 육성 중인 김종현 교수를 MCE전시회에서 만났다. ■ 이번 전시회 참관배경과 유럽시장 트렌드는지난 1월 일본 HVAC&R 전시회를 참관했다. 다이킨, 미쓰비시, 히타치 등 대기업에서 중소기업까지 많은 기업의 기술과 제품을 견학하며 일본의 최신 공조분야 트렌드와 기술정보를 수집했다. 이를 수업과 프로젝트시간에 학생들에게 소개해 많은 흥미를 유발했다. 이번 MCE 전시회 참관배경도 전공관련 최신 정보수집과 융합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아이템 발굴이다. 지능형에너지설비과는 관련 이론과 실습도 진행하지만 1학년때 배관, 용접 등 설비기초실습도 진행한다. 이번 MCE 전시회에서 냉난방공조, 위생, 소방, 배관 등 설비관련 다양한 분야 제품과 기술트렌드를 확인하며 수업과 융합프로젝트에 반영할 예정이다. MCE전시회는 냉난방공조 관련 전시분야가 많은 만큼 분야별 트렌드도 다양했다. 실내공조분야는 단순 환기장치가 아닌 환기+에어컨(히트펌프)
삼성이엔지는 삼성전자 B2B 스타파트너사로 냉난방기 및 전자제품 도소매 전문기업이다. 삼성전자 AS 및 유지보수 지정점으로 냉난방기 설계납품시공뿐 아니라 제품 라이프사이클 전반의 토탈서비스를 제공한다. 기계설비공사업, 냉매회수업, 기계설비성능점검업, 근로자파견업 등의 면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가족친화형 인증, 경영혁신형중소기업인증, 품질경영시스템인증(ISO 9001), 환경경영시스템인증(ISO 14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인증(ISO 45001)을 취득했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성과공유기업 확인서 발급을 받음으로써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ESG실천기업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중소기업혁신바우처 수행기관으로 탄소수준진단컨설팅 및 고효율냉난방시스템 및 시설구축을 담당하며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및 RE100 실천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023년부터 삼성이엔지 전북지사는 기계설비성능점검업에 신규진출해 충청남도 및 주변지역에 더욱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이엔지 전북지사를 맡고 있는 윤용희 지사장을 만나 눈에 띄는 제품과 향후 사업방향 등을 들었다. ■ 이번 전시회 참관배경과 전체적 분위기는 유럽 냉난방기시장의 흐름을 파악해 미리 대비하고자 참여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지난 3월12일부터 15일까지 Fiera Milano에서 열린 MCE(Mostra Convegno Expocomfort) 2024는 산업, 주거 및 상업부문 HVAC+R, 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등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전시회였다. 이번 전시회에는 1,700여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12만1,000여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 ‘모든 생활 및 작업환경에서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최신 혁신 솔루션’을 뜻하는 'Beyond Comfort'라는 슬로건으로 개최된 이번 MCE 2024에서는 에너지효율성, 스마트빌딩, 재생가능 에너지, 전기 이동성, 빌딩 자동화, 에너지 커뮤니티 등 다양한 주제로 지속가능성의 방향을 제시했다. 유럽은 F-가스 규정으로 인해 High GWP 냉매를 단계적으로 Low GWP냉매로 전환해야 하는 의무로 인해 오래된 합성냉매시스템에서 프로판(R290), CO₂나 암모니아 등과 같은 자연냉매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ISH에서 R290를 적용한 히트펌프 신제품 출시가 가장 주목받았듯 이번 MCE 2024에서는 한층 강화된 냉매전환 트렌드를 보여줬다. 단순히 주거용 히트펌프뿐만 아니라 대용량 냉
설립 20년차 세계적 수준의 기술 선도기업 테크레인(대표 노용찬)은 오는 9월25일부터 27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4)’에 참가한다. 테크레인은 핵심사업인 터치키솔루션 및 LED드라이버(LED Driver), 모터컨트롤러(Motor Controller) 등을 바탕으로 하는 모터컨트롤 소프트웨어(BLDC‧PMSM Motor Control Software) 등 관련 기술을 선보인다. 특히 테크레인이 이번 HARFKO 2024에서 선보이는 부분은 자동차 및 산업용 모터컨트롤러사업으로 크게 BLDC‧PMSM 모터컨트롤 소프트웨어(one shunt Sensored or Sensorless FOC, HFI, MTPA)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자동차산업에서 차량제어 Failsafe와 Diagnostics를 활용해 차량시스템과 구성요소를 점검하며 문제발생 시 적절한 해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AN Boot-Loader를 사용해 컨트롤러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CAN, LIN, PWM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다양한 환경에서 구현된다. △인피니언(Infineon)
동양환기(대표 박정식)는 오는 9월25일부터 27일까지 고양 킨텍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국내 최고 냉난방공조전시회인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4)’에 참가해 주력제품인 ‘역풍방지캡’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양환기는 세계 최초로 1990년대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자연환기(배기)를 하는 고정식 환기구를 개발한 기업으로 관련분야에서의 혁신과 독창을 지속적으로 입증해왔다. 역풍방지캡은 이러한 혁신적인 전통을 이어가는 제품으로 미국, 중국, 일본, 한국에서 특허를 받은 독창적인 기술로 개발됐다. 이 제품은 강한 바람과 역풍으로부터 실내환경을 보호하고 소음감소에 탁월한 성능을 자랑한다.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듈화된 구조로 설계됐으며 쉬운 설치와 높은 호환성을 제공한다. 박정식 동양환기 대표는 “40년 이상 환기분야에 전념해온 동양환기의 경험과 노하우가 집약된 역풍방지캡을 HARFKO 2024에서 선보이게 돼 자랑스럽다”라며 “이 제품을 통해 사용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동양환기는 이번 전시회에서 역풍방지캡 외에도 다양한 신제품과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다이킨은 가정용부터 업무용, 산업용까지 공조기 전분야와 냉매 및 불소수지 관련 화학제품을 사업화하고 있으며 1924년 일본 오사카에서 창업해 올해로 100주년을 맞이하는 공조전문기업이다. 기업규모는 2022년 3월말 기준 매출 약 4조엔(약 35조4,000억원), 종업원 약 10만명이며 170개국 이상 국가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글로벌 생산거점은 110개소 이상이며 해외매출과 해외임직원 비율이 80% 이상인 글로벌기업이다. 또한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2020년을 제외하고는 2010년 이후부터 매년 매출과 순이익이 전년대비 성장하고 있다. 2023년 매출은 약 4조2,000억엔(약 37조2,000억원)으로 잠정집계됐으며 창업 100주년을 맞은 올해는 역대 최고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공기 대 물(Air to Water) 히트펌프 선도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다이킨은 최근 관련분야 불모지로 평가받는 북미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홍주태 다이킨 북미지역 총괄법인 주재원(Vice President)을 만나 다이킨 북미사업전략과 글로벌 히트펌프 동향에 대해 들었다. ■ 미국 히트펌프시장 진출배경은글로벌 공조시장규모는 2020년 34조엔(약 301조2,000억원)에
경동나비엔 미국법인은 2006년 북미 난방시장 진출을 위해 설립돼 현지 콘덴싱보일러와 온수기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경동나비엔이 처음 북미에 제품을 출시했던 2008년 당시 콘덴싱온수기 시장규모는 약 2만대에 불과했지만 콘덴싱온수기의 높은 에너지효율과 친환경성이 입소문을 타면서 2022년 약 80만대 규모로 크게 성장했다. 이중 절반 가량은 경동나비엔 제품으로 현재 콘덴싱온수기부문 독보적인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존 시장에서의 점유율 경쟁에서 우위를 점한 데 이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낸 전략은 매출로도 증명된다. NPE를 출시한 2012년 3,790억원이었던 매출은 지난해 1조2,043억원까지 성장했다. 주목할 점은 북미시장 매출이다. 2021년 국내 매출을 넘어섰으며 2022년에는 전체 매출의 56% 수준까지 증가했다. 최근 미국, 중국, 영국, 우즈베키스탄 등에 이은 8번째 해외법인으로 멕시코법인을 설립한 경동나비엔은 남미시장으로 수출영역 확대에 나서고 있다. 북남미시장 확대의 첨병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이상규 경동나비엔 북미법인장을 만나봤다. ■ 이번 AHR EXPO 출품제품 중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가 눈에 띄는데 북미 난방시장은 가스를
매년 미국 ASHRAE에서 개최하는 겨울학술대회가 1월20일부터 1월2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됐다. 대한설비공학회 회장자격으로 ASHRAE의 초청받아 이번 학술대회에 참가한 최준영 설비공학회 회장을 만나봤다. ■ 전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어땠나최근 열린 전시회 중 가장 많은 인원과 전시기업들이 참여한 것 같다. AHR 공식발표로 총 4만8,034명이 참관했으며 1,875개 기업이 전시에 참여해 신제품, 신기술, 기술학습 및 시연을 포함해 관련 업계의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다.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북미 건설시장이 매우 활황이며 관련 업계 성장이 매우 고무적이어서 ASHRAE 행사에서 각 기업의 후원도 매우 활발하게 이뤄졌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의 흥미로운 점은 Podcast Pavilion을 만들어 업계 전반에서 일어나는 최신 주제를 다루는 20여명의 팟캐스터를 호스팅해 직접 전시부스를 찾았다는 것이다. 업계 종사자, 여성 및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이벤트 및 모임을 주최해 흥미로운 콘텐츠 제작과 네트워킹 기회를 가졌다. 이러한 네트워킹은 해당분야 전문가와 제품 및 기술을 개발하는 제조사 사이에는 진정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향후 관련산업 발
2024년 1월20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메리어트 마르퀴스 호텔(Marriott Marquis hotel)에서 개최된 2024 ASHRAE 동계 컨퍼런스에는 약 3,800명의 학계,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가해 성황리에 진행됐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458개 위원회 회의, 125개 기술세션, 다양한 친교행사 및 활동이 포함됐다. ASHRAE 동계 컨퍼런스는 탈탄소화(Decarbonization), 기후변화(Climate Change),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등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지침을 제시하는 한편 보다 주목해야 할 기술분야에 대한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ASHRAE 컨퍼런스와 함께 인근 맥코믹 플레이스(McCormick Place)에서 개최된 AHR 엑스포에서는 344개 해외기업을 포함해 총 1,860개 이상 기업이 참가해 최첨단 HVAC&R기술, 제품 및 서비스를 공개했다. 시카고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1 AHR EXPO가 취소된 악몽이 있다. 이러한 아쉬움을 반영하듯 AHR EXPO는 해마다 규모를 키우고 있다. 올해 5만㎡ 거대한 전시공간에서 1월21~23일까지 3일간 진행된
SK에코플랜트가 연료전지 신시장 개척에 앞장서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018년부터 이어온 글로벌 수소연료전지기업 블룸에너지와 합작을 통해 세계 최고 효율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기술을 확보했다. SK에코플랜트는 블룸에너지와 함께 한국에서만 380MW 규모의 연료전지 수주실적을 확보하는 등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국산화 노력의 일환으로 합작법인 블룸SK퓨얼셀을 설립하며 경북 구미공장에서 생산이 진행 중이다. SOFC는 기존모델대비 발전효율이 높고 필요면적이 작아 도심형 분산전원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SOFC는 설비용량 기준 이미 전 세계에 1GW 이상 설치돼 운영 중이며 글로벌 연료전지시장에서 대세로 꼽힌다. SK에코플랜트의 관계자는 “SK에코플랜트는 블룸에너지와 협업을 기반으로 SOFC와 고체산화물수전해기(SOEC)를 비롯해 수소생산‧저장‧활용 등 밸류체인 전반에서 경쟁력을 확보했다”라며 “SK에코플랜트가 수소 르네상스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연료전지 신시장개척 박차SK에코플랜트는 최근 △미국 북동부 코네티컷 스탬퍼드 병원 △툴리보건소 등 2곳에 총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