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도리(대표 박문수)는 친환경에너지기업으로 열회수형 환기장치(ERV: 공기순환기) 등 공조설비를 제조하는 전문기업이다. 또한 엔지니어링과 용역업으로 광해 감리업, ESCO, 시설물 및 기계설비유지관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전문건설업으로 기계설비공사, 전기공사 등과 정부기관의 R&D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 과제로 충적대수층 계간축열(ATES)과 하천수, 히트펌프를 이용해 0.3ha 규모의 연동형 원예시설에 냉난방을 공급, 에너지자립화 플랫폼을 구축하는 과제를 수행하며 전문 기술기업의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 박문수 센도리 대표를 만나 이번 MCE 2022에 참관을 바탕으로 향후 주력사업분야 발전계획에 대한 비전을 들었다. ■ MCE참관단 참여배경·목적은MCE는 세계 4대 냉난방공조기술 및 신재생에너지 전시회로 꼽힌다. 이번 전시회에 참여해 현재 시장의 글로벌 트렌드와 방향을 읽고 HVAC분야에서 센도리의 제품과 타사 제품의 비교분석을 통해 기술을 더 발전시켜 나가고자 참가했다. ■ MCE참관을 통해 파악한 글로벌 기술트렌드는이번 MCE 2022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4년만에 열리는 박람회였다. 일상의 회복과 신재생에너지의 확산으로 미래를
2015년 설립된 인터텍은 기계설비 제조업, 빅데이터솔루션을 기반으로 신재생열에너지, 환경, 빅데이터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인터텍은 풍력과 태양광 중심으로 보급이 이뤄지고 있는 제주도 신재생에너지시장의 문제점과 출력제한, 탄소배출 저감 등에 대응하기 위해 창립초기부터 열에너지 및 수열원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0년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에 선정됐으며 수열원활용기술 및 특화기술을 바탕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통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했다. 최근에는 제주도의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에 따라 발생하고 있는 출력제한에 대응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을 이용한 P2Heat 기술개발’에 참여해 ‘저탄소 열에너지 생산·공급시스템 및 고효율 열교환기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출력제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확대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종우 인터텍 CTO를 만나 MCE 참관을 통해 파악한 글로벌 냉난방공조 트렌드와 향후 사업계획에 대해 들었다. ■ MCE를 통해 본 글로벌 냉난방공조 트렌드는MCE는 유럽 최대 냉난방공조 전시회로 인터텍은 유럽의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신재생에너지 관
김태성 성균관대 교수는 대한설비공학회의 e-서비스위원회 위원장, 총무이사 등을 역임하며 홈페이지 개편, 논문투고시스템 개선 및 학회업무의 전체적인 조율을 통해 업무효율 향상에 기여했다. 또한 지하철 역사 환기설비 개선, 열차터널 내 입자거동 연구, 바이오에어로졸을 제거할 수 있는 주거용 환기설비 연구개발 등 설비기술 고도화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김태성 교수는 터널 내 입자거동 예측평가 연구를 통해 열차가 터널을 지나갈 때 입자거동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발생된 입자를 열차풍 및 터널 환기구를 이용해 제거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에너지절감과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기술을 개발했다. 또한 냉동·냉장차고 도크에너지 유출량 검측시스템 설계 및 검측과제를 통해 대규모 냉동 및 냉장창고에서 냉장·냉동차량들이 물건을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에너지를 좀더 정확하게 검측해 새롭게 설계된 시스템의 에너지유출 저감량 측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게 했다. 특히 해외 각국 기계설비건설업계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 조사연구를 통해 기계설비건설업계에 적용될 수 있는 관련기술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비 방안을 마련했다. 2017
에이피엠엔지니어링(대표 윤관훈)은 오는 10월18~21일 일산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 대표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인 ‘제16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2)’에 참가해 대기환경측정장비를 선보인다. 초미세먼지측정기(PMM-320)는 실시간 대기,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를 측정해 도로 및 공사현장, 미세먼지 배출사업장의 부지경계를 모니터링한다. 스마트히터 기능으로 50% 이상의 습도조건에서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장시간 사용 가능한 저전력 펌프로 1만 시간 이상 작동한다. 나노입자계수기(TSI 3789)는 수나노 입자를 측정해 입자생성 및 성장, 공정과정을 모니터링 한다. 2.2nm까지 측정가능하며 물을 사용한 CPC 기술로 클린룸 등 각종 공정과정의 입자를 측정할 수 있다. 1/10초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가진다. 에이피엠엔지니어링은 국내 대기환경측정 및 분석분야의 선진화에 일조하고자 1994년 3월 설립 후 28년 동안 국내 대기환경측정분야 발전을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ToF-AMS와 PTR-ToF-MS 등의 최첨단 장비를 국내에 보급 및 교육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PM2.5 Sequential Sampler의
WIKA Group의 한국지사 비카코리아(대표 이덕우)는 오는 10월18일부터 21일까지 일산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대한민국대표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인 ‘제16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2)’에 참가해 냉공조에 공급되는 압력·온도계측기 및 어플리케이션 솔루션 등을 선보인다. WIKA 제품군 중 특히 A2G(Air2Guide) 제품군은 환기 및 공기조화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측정 기기다. 차압계(A2G-10), 출력신호가 있는 차압계(A2G-15), 트랜스미터(A2G-50) 등은 환풍기 모니터링에 사용할 수 있다. 에어플로우미터와 기류속도 트랜스미터는 에어덕트와 공기조화시스템 내 기류와 공기속도를 측정한다. 서리 방지 써모스탯을 함께 사용하면 공기의 온도를 모니터링해 열교환기에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디지털 환기덕트 온도센서와 상대습도, 온도용 환기덕트센서는 환기 및 공기조화시스템 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기계식 차압계와 차압스위치를 함께 사용하면 필터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용 에어퀄리티센서와 CO₂ 센서는 공기 중의 탄산가스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밖에
동후인터내셔널(대표 김호성)은 오는 10월18일부터 21일까지 일산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대표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 ‘2022년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2)’에 참가해 독일 HERMETIC의 냉동기용 CANNED MOTOR PUMP 제품을 선보인다. 1983년 창립한 동후인터내셔널은 2021년 90억원의 매출실적을 기록하며 코로나19 팬더믹 상황에서도 높은 기술 및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어려운 시장상황을 극복해낸 저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냉동기용 펌프는 유체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관리와 효율면에서 우수한 밀봉된 원심펌프를 선호하고 있다. HERMETIC 냉동기용 펌프는 소형 디자인을 기본으로 쉬운 설치와 높은 작동안전성 및 매우 낮은 소음수준, 낮은 수명주기 및 합리적인 비용이 특징이다. 동후인터내셔널의 관계자는 “많은 EPC기업들과의 협업을 토대로 파워플랜트, 정유, 석유화학, 화학, 냉동기 및 선박사업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국내 고객들에게 Canned Motor Pump 외에도 안전밸브, 감압밸브, 컨트롤밸브, 스팀트랩 등
강화영 삼우엠이피컨설턴트 부장이 에너지절감시스템 도입 및 설계로 기계설비업계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강화영 부장은 12년여간 기계설비산업에 종사하면서 기계설비시스템 발전에 기여해왔다. 그간 국내 기계설비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했으며 특히 베트남 프로젝트를 담당하면서 기계설비 설계부터 시공·감리까지 전 공정에 참여, 국내기술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도왔다. 또한 기계설비분야 전반적인 전문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총괄적인 시스템설계 및 도입을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력 및 브랜드가치 상승에 기여했다. 이와 함께 데이터센터 등 에너지다소비 건물의 에너지효율화 및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 자연에너지 사용을 적용함으로써 최소·최적에너지 소비계획을 수립키도 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업무수행을 통해 국내 전기사용량 절감을 실현했으며 기계설비인으로서 국가적 탄소중립 정책에 기여해왔다. 강화영 부장은 이번 국토부장관상을 통해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을 달성한 공로도 인정받았다. 최초 콘셉트 설계단계에서 시공성의 효율화와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공기증가 리스크 제거 등에 힘씀으로써 공기단축을 위한 치밀한 기술계획을 솔선수범해 실천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정홍구 현대건설 건축주택설비팀장은 1997년부터 25년여간 기계설비산업에 종사하면서 건설사업 수행 및 신기술 개발업무를 담당해왔다. 이번 기계설비의 날 기념식에서 우수하고 검증된 기계설비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절약 건축물 구현에 기여한 공로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정홍구 팀장은 건축기계설비 신기술 개발 노력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에너지절약적인 Green Smart 신기술을 다수 상용화했으며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대회 및 학회기술저널 등을 통해 해당 기술의 효용성을 업계에 전파하는 노력을 통해 기계설비 전반의 기술발전에 기여했다. 2010년에는 외기냉방겸용 폐열회수 환기유니트와 세대용 통합제어기기인 에너지·환경관리시스템을 개발해 공동주택 프로젝트에 선도적으로 적용을 시작했다. 외기냉방겸용 폐열회수 환기유니트와 세대용 에너지·환경관리시스템기술은 전자동 운전에 의한 에너지절약과 쾌적한 실내환경 구현 성능을 인정받아 환기분야 기술로는 국내 최초로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했다. 또한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H-MEG(Hyundai-Micro Energy Grid), 이후 2017년까지는 Smart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
남택중 현대건설 책임매니저는 2004년 1월부터 현재까지 약 18년간 건축기계설비 설계·시공업무에 임하며 시공과 설계를 접목한 복합적인 건축기계설비 설계·시공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냉동공조, 위생, 소방, 자동제어설비 등 전반적인 기계설비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남택중 책임은 선진 설계기술을 접목한 시공 및 유지관리 기술개발에 기여해 왔다. 기계설비 설계의 부하계산 기초부터 에너지절약적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세부적인 특수설비까지 모든 분야의 기계설비에 대해 설계품질을 향상시켰다. 또한 설계과정 중 습득한 기술들을 시공에 접목해 각종 현장의 에너지 절약적 VE방안을 도출하고 적용했으며 LCC분석을 이용한 건축물의 최적에너지 설계방법, MTP(Multi-trade Prefabrication) 시공, 광플라즈마 살균청정 환기시스템, Smart BEMS 등 건축물의 각종 에너지절약적 최적 설계기법 및 유지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등 기계설비 설계·시공산업 발전에도 기여했다. 남택중 책임은 또한 설비산업 발전을 위한 기계설비 설계·시공기술 전파 및 기술표준화에도 공로를 인정받았다. 축적한 설계·시공기술을 다수의 공공건물 및 민간건물 입찰제안에
김주석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소장이 기계설비설계의 표준화와 설계기준 정립에 협회·학회의 일원으로 참여해 성과를 올림과 동시에 BIM 도입과 활성화, 안전설계기준 정립 등으로 기계설비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김주석 소장은 15년여간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설비설계직에 재직하면서 기계설비 표준화, 설비설계 기준개정 및 보급에 힘써왔다. 대한설비공학회의 ‘설비공학 편람’ 개정에 집필자로 참여해 기계설비 표준 및 기술전파에 기여했으며 급·배수 위생분야의 국가건설기준 및 학회설계기준 개정위원으로서 기계설비 기준을 수립하고 표준화에 기여했다. 한국설비기술협회 편집위원 및 편집이사로도 활동하며 협회지 발간을 통한 기계설비의 신기술 전파와 보급 확대에 기여했으며 ‘KARSE 단체표준’ 제정 및 인증위원으로 설비기자재의 성능보증과 체계구축을 통한 고품질 기자재 보급촉진과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고 건전한 시장 조성에 기여했다. 또한 신기술 설계기법 적용 및 확대에 대한 공로도 인정받았다. 기계설비분야 BIM위원회 활동으로 초기 BIM도입과 교육 및 전파에 기여했으며 현재 BIM 활성화를 위한 단체협약을 통해 BIM표준화 제정에 앞장서고 있다. 이와 함
정재동 세종대 교수는 2001년 부임해 후진 양성 및 연구(최근 5년간 SCI 108편)에 탁월한 성과를 보였고 전문성을 인정받아 다수의 국제학술대회에 초청연사로 강연함으로써 기계설비산업 발전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아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정재동 교수는 1996년 8월 에너지분야 내용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후 대한설비공학회(차기회장), 대한기계학회(열공학부문 회장), 한국플랜트학회(부회장) 등 관련 기계설비분야에서 지속적인 활동을 펼쳐왔다.현재 대한설비공학회 차기회장으로서 갈수록 중요해지는 에너지위기 및 탄소중립시대에 설비인의 역할과 산·학·연의 조화로운 구성에 기여했다. 특히 대한설비공학회에서 탄소중립의 큰 축인 에너지저장 관련 분과위원장을 맡으면서 정기적인 한·중·일 축열전문가 포럼구성으로 국내·외 인프라 구축에 기여했다. 저온설비·콜드체인 부문위원장을 맡으면서 국제학술대회 ICSERA를 성공적으로 개최했고 아시안 콜드체인학회(ACCC) 창립에 기여하며 설비분야의 국제적 위상확립에 높은 공을 세웠다. 정재동 교수는 2001년 세종대 교수로 부임하며 후진양성에 노력했고 최근 5년간 국제 학술지 (SCI)에 108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관련분야의 전문성을
임준순 한길이앤씨 대표는 28년간 재직하며 기계설비 설계, 감리분야에서 다수의 설계 및 감리를 수행했으며 후학양성 및 기술지도, NCS 개발 등 기계설비 선진화 및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이와 함께 다수의 정부관련 기관의 심의, 기술위원으로 국가발주 공사의 품질향상에 기여함에 따라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임준순 대표는 기계설비분야에서 설계, 시공, 감리업무를 두루 경험하고 현재는 건축기계설비 설계사인 한길이앤씨 대표로서 다수의 관발주 또는 민간발주의 프로젝트를 성실히 수행하고 청년층 취업지원을 위해 전문대학 졸업생의 채용으로 업계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NCS 개발위원으로 1년여 동안 냉동공조분야 NCS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며 교재개발에도 검토위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공조냉동 NCS 수정보완 작업과 함께 냉동공조분야 NCS개발 시 그 실적과 성과를 인정받아 보일러 안전관리분야 NCS개발에도 검토위원으로 참여하며 NCS가 기업 및 전문대학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특히 대한설비공학회에서 주관한 설비공학편람 2018편 재판 집필에 참여해 에너지절약형 냉동공조분야 시스템과 관련된 제1권 기초편 제9장 에너지절약 설비계획을 집필
이송우 우원엠앤이 부사장은 32년간 건물 에너지절감 설계기법과 기술발전을 위한 연구개발로 건물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보급해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국토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송우 부사장은 국내 전체 소비에너지의 90%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태를 벗어나기 위해 국내 에너지소비의 30%이상을 차지하는 건물 에너지분야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다. 건축물의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절약 설계기법을 도입해 국내 최초로 충남도청 신청사 건축물에 에너지효율 1등급설계를 수행했으며 △세종시정부청사 △고척동 스카이돔구장 △국회전자도서관 △무주태권도공원 조성공사 △제주월드컵경기장 △세종시청사 △수원컨벤션센터 △산업은행데이타센터 △물산업클러스터조성 사업 △창원경상대학교병원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등 주요 국책사업의 책임기술자로 건물에너지절감기법을 적용, 기계설비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특수시설 건축물의 업무과정 중 습득한 설계 경험을 학회, 대학교, 관공서, 시공전문회사 등에 최신설계기술과 도입효과에 대한 강의 및 교육, 사례발표, 논문발표 등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왔다. 이를 통해
윤석진 신일이엔씨 대표가 7월21일 개최된 기계설비의날 기념식에서 42년간 기계설비업종에 종사하며 공동주택의 발전을 위한 기획, 설계, 감리, 시공, 관리 등 기계설비 전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윤석진 대표는 42년간 기계설비 공사업에 종사해 오면서 다져온 현장실무 경력을 바탕으로 1998년 신일이엔씨 대표를 맡아 23년의 사업영위기간 동안 총 공사 400여건 이상을 시공하며 2,665억7,231만원의 사업실적을 쌓아왔다. 2000년 공주대 기숙사 증축 설비공사 등 총 400건 이상의 민간, 학교, 공공기관 등 일반설비와 공동주택 공사를 맡아왔다. 임직원 및 모든근로자의 인건비와 자재, 장비 납품업체의 대금은 현금으로 지급하고 불가피한 경우 신용보증금을 통한 전자결재로 대금을 못받는 일이 없도록 시스템구축 등 상호협력과 상생경영을 위해 노력해왔다. 외국의 제도분석을 통한 제도개선 방안을 강구하고 워크숍 참여와 발표로 제도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며 건설단체, 유관기관, 교육기관 등과 MOU를 통한 협약 및 소통으로 제도개선에 기여했다. 또한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하는 경영과 근로자 중심의 근로시간 조정 및 휴식시간 보장을 강력히
김동우 대림대 교수는 건축기계설비 교육을 통해 많은 인재양성과 국가 유관단체의 봉사활동으로 기계설비 기술확산과 설비산업체의 발전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아 국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김동우 교수는 공기조화설비, 냉난방 열원설비, 자동제어설비 등 18년간 교육을 통해 1,5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며 전반적인 기계설비의 기술자양성과 기계설비설계 및 시공의 인력보급과 기술향상에 이바지해왔다. 교육부의 산업체수요 맞춤형교육(LINC+)를 5년간 실시해 150여 명의 학생과 30여개의 협약기업이 만족하며 기술자의 중도 이탈 없이 근무할 수 있는 산학교육의 적용과 확대에 앞장서왔다. 특히 한국설비기술협회의 제품 및 기술표준의 전문위원과 편집위원의 활동을 비롯해 국가 공조 및 냉동(TC86) KS 심의위원, 국토부 중앙 설계심의, 조달청, 한국환경공단, 경기도, 한국주택토지공사(LH) 등 10년 이상 심의위원으로 활동해왔다. 국가정책의 에너지절감이 가능한 기계설비 설계기술 적용 및 확대를 위한 노력과 설비제조회사, 건설회사 등에 설비교육, 사례발표 등을 통해 에너지절약 기술을 널리 전파했다. 또한 교육부 최초의 전문기술석사과정(마이스터대학원) 인가를 통한 대림대 B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