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신재생에너지원의 균형발전을 위해 미이용 산림바이오에너지 산업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기위해 지난 3월29일 ‘미이용 산림바이오에너지 산업화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은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가 주최한 행사였다. 이날 종합토론 좌장을 맡은 한규성 충북대학교 교수를 만나봤다. 한 교수는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의 전신인 한국펠릿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해 평가한다면우리나라의 총 1차에너지 및 총발전량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재생에너지는 지난 2008년 녹색성장정책이 시행되며 전기를 마련했다. 총발전량은 지난 2012년 시행된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 도입을 계기로 전환점을 맞이했다. 우리나라의 2015년도 총발전설비용량은 2014년년대비 5.8% 증가한데 비해 재생에너지보급용량은 1만3,177MW로 2014년대비 1만1,697MW대비 12.7% 증가해 가파른 상승세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태양광 1,134MW(76.5%), 풍력 208MW(14.0%), 바이오에너지 90MW(5.9%)가 신규 설치됐다. 이러한 성장기조에도 불구하고 정책과 시장의 불안정성이
지난 2006년부터 시행된 ‘저NOx버너 설치지원사업’이 2016년에는 1,590대가 보급됐으며 2017년도 이와 같은 수준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저NOx버너 설치지원사업’의 2017년 예산을 지난해와 같은 115억4,500만원으로 편성하고 올해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2015년부터 시행을 시도했지만 예산 미확보로 무산됐던 ‘가정용 저NOx보일러 보급사업’은 올해부터 시작돼 관련시장 활성화와 대기오염물질 감소효과, 나아가 사용자들의 에너지비용 절감효과까지 기대된다. 서울·경기지역 중심 소용량 위주 보급우선 중소사업장에 저NOx버너 교체비용을 지원하고 있는 ‘저NOx버너 설치지원사업’은 국비 83억4,600만원과 32억9,800만원의 지방비 총 115억4,500만원으로 지난해와 동일한 예산을 확보하고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대기오염 우심지역의 대기환경 개선 및 저NOx버너를 설치하고자 하는 중소사업장의 경제적 부담경감을 위해 중소기업, 비영리법인‧상업용 건물 등에서 운영 중인 보일러·냉온수기·건조시설의 일반버너를 일정 수준 이상의 NOx저감효율을 갖는 저NOx버너로 교체 시 설치비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보일러, 냉온수기, 건
전세계적으로 냉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냉매가 최대 이슈 중 하나다. 냉매 규제에 따른 새로운 냉매에 대한 관심과 함께 냉매 압력에 따른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터보냉동기용 냉매는 압력에 따라 저압과 고압 냉매로 나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저압냉매는 R-123이며 고압냉매는 R-134a다. 저압냉매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지만 고압은 그렇지 않다. 반면 저압냉매의 단점은 전세계적인 환경이슈였던 오존파괴지수인 ODP(0.02)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2004년 이후 LG전자, 신성엔지니어링, 센추리 등 국내 냉동기 제조사들은 정부지원금이나 자체 신규 개발자금을 이용해 대체냉매인 R134a(HFC냉매, ODP ZERO)를 사용하는 냉동기를 개발했다”라며 “이는 ODP가 있는 기존에 사용하던 R123 냉매의 사용량을 줄이고 정부의 환경정책에 적극 부응하기 위한 전략이었다”고 밝혔다. 선진국에서는 1987년 ODP규제를 명시한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라 이미 1996년을 기점으로 CFC 소비 중지, 2004년 HCFC 소비량 35% 감축(2009~2010년 HCFC 생산 및 소비량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제도는 고효율제품의 기술개발 촉진 및 보급확대를 위해 국가에서 일정 기술기준 이상 제품에 성능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한국에너지공단이 1996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열회수형 환기장치, 산업·건물용 보일러, 원심식·스크류냉동기 등 48개 품목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인증제품에 대해서는 고효율기자재 마크를 부착, 소비자들에게 품질에 대한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다. 에너지공단이 최근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2015년 기준 고효율 기자재 인증업체 수는 총 2,672개, 모델 수는 1만9,586개가 등록됐다. 세부적으로보면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52개 업체, 724개 모델 △산업·건물용 가스보일러 12개 업체, 219개 모델 △원심식·스크류냉동기 6개 업체, 72개 모델 △난방용 자동온도조절기 22개 업체, 48개 모델 △직화흡수식 냉온수기 10개 업체, 196개 모델 △기름연소 온수보일러 2개 업체, 9개 모델 △산업·건물용 기름보일러 2개 업체, 10개 모델 △항온항습기 17개 업체, 74개 모델 △가스히트펌프 4개 업체, 38개 모델 △가스진공온수보일러 4개 업체, 65개 모델 △중온수식 흡수식냉동기 7개 업체, 33개 모델 등
시스템에어컨(VRF: Variable Refrigerant Flow)시장은 에어컨시장과 마찬가지로 글로벌 경기흐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요 시장에서 정체 또는 침체를 겪고 있다. 2015년 전기구동 VRF 세계시장규모는 실외기 기준으로 1,200만대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세계 VRF시장은 처음으로 2.8%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중국시장은 2015년 69만5,000대를 달성했는데 이는 글로벌 수요의 절반 수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다. 세계시장 위축에도 불구하고 도시화가 급격히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Mini-VRF가 전년대비 11.8% 성장해 인기를 모으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15년 3만5,000대를 기록하며 8.6% 성장을 보였으나 부분적으로는 학교와 같은 공공기관에 대한 투자감소로 성장률이 둔화됐다. 유럽시장은 2015년 기준 전년대비 4.4% 성장했는데 12만2,000대를 기록하고 있다. 상위 3개 시장인 터키, 영국, 프랑스시장이 유럽 전체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은 2015년 VRF 실외기 대수로 12만7,000대를 선적했다. GHP 판매는 4년 연속성장 후 전년대비 4.3% 감소해 3만800대를 기록했다. 2016년
2015년 세계 에어컨 수요는 약 1억180만대로 전년대비 3.7% 떨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012년 이후 가장 큰 감소를 나타냈다. 중국, 미국, 라틴 아메리카와 같은 주요 에어컨시장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보여줬다. 중국시장은 거시경제의 통제와 나쁜 날씨로 인해 전년대비 8.7% 감소해 3,810만대로 줄었다. 미국의 경우 2015년에 1만4,510만대로 전년대비 약간 감소했다. 유니터리 에어컨의 판매는0.6% 감소한 반면 mini-split은 11.6% 성장했는데 이는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였다. 불리한 날씨 조건으로 창문형 에어컨시장은 위축됐다. 중간급 규모의 에어컨시장은 동남아시아에서 전년대비 10.5% 성장을 보이며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시장규모는 890만대 수준이며 이 가운데 베트남시장은 RAC 수요가 39.3% 증가해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다. 시장규모는 170만대 수준인데 이는 태국시장을 능가하고 인도네시아 시장과 거의 비슷한 규모다. 인구의 증가와 글로벌 공장을 위한 새로운 엔진으로 떠오른 ASEAN지역은 보다 큰 수요를 불러일으켰다. 불안한 정치적 환경에도 불구하고 건물투자 등으로 중동지역은 4.4% 증가했다. 라틴아메
한국에너지공단이 발표한 ‘2015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에 따르면 지열에너지는 2015년까지 총 누적 85만2,907kW/y가 보급됐다. 지난 2011~2014년까지는 큰 증가를 보이지 못했지만 2015년 한 해에는 17만4,347kW/y가 보급됐으며 전년대비 40%가량 급증한 수치다. 이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라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적으로는 경기(2만4,581kW/y), 세종(2만4,409kW/y), 전북(2만1,901kW/y)이 가장 많은 보급량을 보였다. 특히 세종시는 전년 8,041kW/y에서 200% 급증한 수치를 보인 것이 눈에 띈다. 용도별로는 공공시설이 9만1,508kW/y, 교육시설 3만6,751kW/y가 가장 많았고 가정용은 2만7,671kW/y였다. 특히 700kW/y를 초과하는 설비가 전체 60%를 차지하고 있어 대규모 시장이 활성화된 것을 알 수 있다. 품질·성능 보장, 신재생설비인증 지열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보급정책은 사용자에게 우수한 성능과 품질을 보장하고 제조업체에 관련기술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설비 KS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에너지공단은 신재생에너지의 보급확대와 산업육성 지원을 위해 200
한국전력이 실시하고 있는 수요관리는 부하관리(DR: Demand Response)와 효율향상(EE: Energy Efficiency)으로 나뉜다. 부하관리는 피크를 억제하고 심야수요를 증대시킴으로써 최대부하와 최저부하간 차이를 감소시켜 부하평준화를 도모하고 전력공급설비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효율향상은 전기의 이용효율 향상을 통해 전력수요(kW 및 kWh)를 절감시켜 에너지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을 보전하는데 목적이 있기에 고효율기기 기술개발 및 보급 촉진을 통해 효율향상을 유도하는 사업이다. 현재 한전은 △축열식 냉난방설비 △축열식 히트펌프보일러 △고효율 항온항습기 등을 수요관리사업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오는 7월부터 ESS식 냉난방설비 보급을 준비하고 있다. 전력피크 분산 핵심 ‘축냉설비’ 여름철 낮에 일시적으로 집중되는 전력수요를 심야시간대로 분산시키면 설비투자비 절감은 물론 전력수요가 적은 심야시간대의 수요가 증가해 전력설비 이용률이 향상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를 위해 한전이 수행하고 있는 수요관리설비가 바로 ‘축냉설비’다. 축냉설비는 심야시간(23:00~09:00)대에 전기를 사용해 얼음이나 냉·온
냉매는 사람의 혈액과 같다. 하지만 냉매의 역사는 규제의 역사와 함께 해 왔다. 이미 많이 들어봐서 알고 있는 몬트리올의정서나 교토의정서에서는 냉매의 특성을 감안한 규제안을 담고 있다. 몬트리올의정서에서 오존파괴지수(ODP)를, 교토의정서에서는 지구온난화지수(GWP)를 규제하는 것이다.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라 ODP규제가 집중되면서 자연스럽게 ODP가 높은 CFC와 HCFC 규제가 본격화됐으며 이들의 대체물질로 HFC계열 냉매들이 개발되고 냉동공조기기에 적용됐다. 대표적인 냉매가 바로 R134a, R410A 등이다. 2013년 6월 유럽의회에서 기후변화방지를 위한 불소가스(F-gas) 사용 규제로드맵을 시행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2020년까지 F-gas사용 완전 금지, 2030년까지 수소불화탄소(HFCs) 사용을 2009년 12월대비 16% 감축계획 일정을 제시했다. 미국냉동공조협회(AHRI)에서도 Low GWP냉매 프로그램인 AREP(AHRI Alternative Refrigerant Evaluation Program)을 2011년 시작해 38개 대체냉매 후보들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미국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에
북미에서 사용되는 자발적 제품인증제도인 AHRI(Air-Conditioning, Heating and Refrigeration Institute)는 미국을 중심으로 인접국인 캐나다와 멕시코 일부 회사가 참여하는 북미 최대의 냉동공조기기 인증제도다. AHRI는 북미에서 생산된 주요 공기조절장치와 상업성 냉동장비의 90% 이상의 제조업자를 대표하는 국제무역협회이기도 하다. 또한 AHRI는 산업제품에 대한 기술규격을 개발하고 제정하며 제정된 기술규격에 의해 제품을 균일하게 평가해 구매자와 사용자가 특정 적용에 바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시장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다시 말해 AHRI인증은 AHRI가 운영하는 성능인증 프로그램으로 제조사의 제품을 독립 시험기관에서 규격에 따라 시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조사가 표기한 품질에 대해 인증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총 6 부분 104개의 기술표준(Standards)과 17개 지침서(Guidelines)를 개발해 사용하고 있으며 매년 15~20개의 기술표준이 개정되고 있다. AHRI 기술표준은 성능인증사업의 기준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AHRI 기술표준 중 대부분은 미국국가규격(ANSI: American National
기존 건물의 수배관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공기열원히트펌프 칠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히트펌프 칠러에 대한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및 소비효율등급제 등록이 안 돼 있어 보급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열원 히트펌프 칠러는 냉매배관을 통해 냉매가 직접 실내기에 공급되는 EHP와 달리 칠러 내 판형(냉매-물) 또는 Shell tube(냉매-물) 열교환기가 내장돼 실외기인 칠러에서 직접 냉온수를 생산해 냉난방 수배관을 통해 실내 FCU 또는 AHU 냉수 코일에 냉수나 온수를 공급해 냉난방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냉각탑과 칠러로 냉각수 라인을 구성하는 수냉식 스크류 칠러시스템대비 냉각탑 위치에 공기열원(공랭식) 스크롤 칠러를 설치해 직접 냉온수를 부하측에 공급함으로써 초기 투자비와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냉수만을 공급하는 타 칠러시스템과 달리 온수공급을 위한 별도의 보일러가 필요 없고 자연에너지인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해 난방 시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난방 운전비가 가장 경제적인 고효율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다. 공기열원 히트펌프 칠러는 대용량의 산업용 또는 공조용 터보냉동기 시스템대비 중소용량에
히트펌프는 비교적 적은 구동에너지를 사용해 공기열, 폐열, 수열, 지열, 해수열 등 저온의 열원으로부터 고온의 열을 생산하는 경제적인 열변환기기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열과 해수열에 대해서만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고 있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열 등을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는 법률안 개정안이 발의돼 주목받고 있다. 함진규 의원이 대표발의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따르면 제2조제2호아목에 ‘수열 등을 히트펌프(Heat pump)를 사용해 변환시켜 얻어지는 에너지로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로 명시했다. 다시 말해 수열, 공기열 등을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한다는 것이다. 함진규 의원실이 밝힌 개정이유에 따르면 히트펌프는 가정용뿐만 아니라 상업용,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사용범위가 매우 넓어 초고층 빌딩과 상업용 건물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과 중국 등은 히트펌프에 대한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수열 등을 히트펌프로 사용해 변환시켜 얻어지는 에너지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김경원)가 에너지수요관리를 위해 대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 바로 지역냉방이다. 지역냉방은 소각로, 열병합발전 등 대규모 열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온수를 활용해 흡수식냉동기 등으로 냉방을 구동하는 시스템이다. 지구온난화 및 삶의 질 향상에 욕구로 인해 국가적 에너지이용효율이 높은 지역냉방 보급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돼있다. 지역냉방은 중온수를 공급해 사용자측에서 흡수식 냉동기 등을 사용, 냉수로 변환해 냉방하는 간접방식과 공급자측에서 냉수를 제조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직접방식이 있다. 흡수식 냉동기를 사용하는 간접방식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1993년 처음으로 평촌전화국에 흡수식냉동기 250RT를 설치한 이후 건물 및 공동주택 등 800여개 건물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증된 냉방시스템이다. 전력수요관리에 대응할 수 있으며 운영비가 전기식 냉방기기대비 20~30%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냉수 직공급식 냉방도 이뤄지고 있는데 간접방식에서 사용자측에 설치된 개별 냉방설비를 한 곳에 모아 냉수를 제조한 후 공급자가 직접 냉수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보내준다. 직접공급방식은 사용자측 초기투자비가 절감되고 유지관리를
피크 냉방부하 해결에 가스냉난방을 활용하면 전력산업 측면에서는 하절기 냉방에 의한 전력피크수요와 전력예비율 하락에 따른 전력수급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하절기 냉방부하를 해소하기 위한 발전소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송배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전력요금 인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전력부하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냉방수요를 천연가스를 이용한 냉방으로 대체하면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천연가스의 기저부하 향상을 통해 가스·전력간 상관설비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방용 에너지원이 전력에서 가스로 대체됨으로써 발전설비의 효과적 운영을 통해 국가 전체의 편익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2015년 우리나라 냉방전력수요는 1,890만kW로 하절기 최대전력의 24.6%를 차지했고 같은 기간 가스냉방 전력대체량은 145만kW로 500MW급 석탄발전소 약 3기 발전량의 최대전력을 대체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비상 걸린 가스냉난방 지난해 책정된 가스냉방 장려금 75억8,000만원은 7월말 기준 모두 집행됐으며 12월말 기준 미지급 장려금만 15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동안 미지급 장려금은 추경예산을 통해 거의 모두
오는 3월7일부터 10일까지 4일간 KINTEX 제2전시장 7·8홀에서는 냉난방공조산업의 글로벌 축제가 될 ‘제14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Heating,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and Fluid Exhibition-KOREA 2017)’이 열린다. 세계 냉동공조산업 수출 4위국인 한국에서 개최되는 국내 유일의 냉난방공조 전문전시회이자 세계 4대 냉난방공조 전시회로 꼽히는 HARFKO 2017은국내외 신시장 개척, 신기술 및 제품 홍보를 위한 최적의 무대로 평가받고 있다. ‘힘찬 대도약! 냉동공조산업기술 미래를 열다’라는 주제로 진행될 HARFKO 2017은 개최국인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캐나다, 미국, 이탈리아 등에서 250개사가 1,200부스 규모(2만2,580m²)로 참가한다. 특히 냉매압축기, 공기조화기기, 냉동냉장기기, 냉난방공조관련부품, 냉각탑, 작업공구 및 제어계측기기, 난방기기, 공기기기, 설비기자재, I.A.Q, 클린룸 등 냉난방공조분야 최신 트렌드와 미래 비전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가 크다. 국내 유일의 냉난방공조 전문전시회로 국제전시회 인증을 획득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 유망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