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약품 냉장고 전문업체인 ㈜지엠에스(대표 윤근진)는 실험실용 초저온냉동고(Deep freezer/Ultra Low Temperature Freezer)에 온도가 상온에서 –80℃까지 최단시간에 도달하는 이중구리관을 적용한 기술을 높이 인정받아 조달청으로부터 우수조달제품으로 지정됐다. 조달청 우수제품으로 선정된 초저온 냉동고는 -80℃ 이하의 초저온 상태로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는 장비로 동물, 식물, 미생물 등의 냉동보관이나 혈청, 조직 등 생체시료의 냉동보관 및 시약의 장기 보관에 다양하게 사용돼 병원, 의·약학 연구소, 생명과학 및 식품연구 등의 필수 장비다. 특히 지엠에스가 실험실용 초저온냉동고에 구현한 국내 최초의 ‘이중구리관’ 기술은 냉동고의 빠른 온도하강속도와 더불어 핵심부품이 고장이 나도 내부의 온도를 -80℃로 유지시키는 온도 안정성으로 외국제품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빠른 온도하강과 안정성 강점 이중구리관을 이용해 냉동사이클의 고온 고압의 액 상태인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 외부에 저온 저압의 가스상태의 냉매가 흐르는 가스관으로 감싸고 서로의 흐르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해 냉동사이클이 반복될수록 급격히 냉매의 온도를 초저온으로 낮추는
유럽과 미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배관 마감재인 ‘화인커버(Fine Cover)’가 우수한 품질과 특장점으로 국내에서도 인기몰이하고 있다. 냉동공조 포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아이데카(대표 한홍석 www.ideca.co,kr)가 출시한 신개념 배관인 ‘화인커버’는 20년 전 미국에서 개발된 U-PVC재질의 배관마감재다. 세련된 디자인과 향상된 품질, 안정성과 편리함을 갖춘 특성을 앞세워 미국, 유럽, 중국 등 각종 단열배관 및 덕트 마감재로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도 마산 메트로시티, 울산근린상가, 파주 한소망교회 등 다양한 시공사례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11월 새로 증축된 충북 청원군 녹십자 오창공장에 화인커버 설치를 시공했다. 최고 –30℃인 혈액보관실 및 천정, 실내 내부의 각종 배관라인(직관·탱크·밸브 등)에 적용돼 외관과 실용성을 한 층 업그레이드 했다.화인커버는 모든 단열재를 사용하는 배관이나 설비에 적용하는 신개념 보온마감재로 기존에 사용하는 마감테이프, 함석, SUS 등의 마감재와 비교할 때 뛰어난 편리성을 제공한다. 난연성의 U-PVC 재질로 위생, 청결, 내구성에 있어서 매우 우수하고 직관, 엘보우, 티(Tee),
110년을 이어온 냉동공조산업의 선두기업 오텍캐리어(회장 강성희)는 2016년을 맞아 오텍캐리어만의 인버터 기술로 에너지절감을 실현한 △일체형 급탕 보일러 △V4+ 멀티 에어컨 △V4+i 미니 멀티에어컨 등의 판매를 본격화한다고 전했다.현재 일체형 급탕보일러는 온수를 자주 사용하는 피트니스 클럽, 다용도실 등에, V4+ 멀티 에어컨은 복합 쇼핑몰, 숙박시설, 학교 등 대형건물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있다. 오텍캐리어는 최근 정부가 기후변화정책을 강화하며 에너지절감 제품에 대한 시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일체형 급탕 보일러오텍캐리어의 일체형 급탕 보일러는 실외 온도에 따라 히트펌프와 히터를 자동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제품이다. 영하 20℃부터 43℃의 환경에서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며 환경 친화 냉매인 R-134a 냉매를 사용해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했다.냉매 배관 없이 배수관만 연결하면 운전이 가능해 설치가 간편하며, 공기 토출 압력이 25Pa로 덕트 길이가 최대 10m까지 가능하다.수조 내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이 수조 외벽을 감싸는 구조로 설계됐다. 또한 물의 온도를 65℃ 이상으로 높여 수조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라
통합배관을 SK에너지의 계열사인 위례에너지서비스에서 최초로 도입, 가능토록 제도화해 설계자와 시공자, 시행자 및 입주예정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는 가운데 대전지역의 열공급을 수행하는 대전열병합발전에서도 공급규정 수정작업이 추진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건축설비에서 난방배관과 급탕배관(4배관)으로 분리, 운영되는 것을 난방배관(2배관)으로 공급열원을 통합하고 난방배관을 통해 난방과 급탕을 동시에 공급하는 방식이 통합배관시스템이다.지역난방 및 중앙난방 등 공동난방을 사용하는 아파트, 호텔, 오피스텔, 연수원, 기숙사, 콘도 등 다양한 건물에 적용돼 에너지절약과 투자비 절감,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특히 합리적인 열요금 산정 및 청결한 급탕공급도 가능한 만큼 우리나라 급탕문화의 새로운 변화를 주도해 저탄소녹색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대전열병합발전은 최근 ‘지역난방 열사용시설 기준’을 개정했다. 바로 통합배관시스템을 신설한 것이다. 먼저 통합배관에 대한 용어정의를 신설했다.신설된 용어정의에 따르면 통합배관시스템을 난방배관과 급탕배관으로 분리돼있는 4배관시스템을 난방배관을 이용해 급탕을 공급하는 2배관시스템으로 정의했다.열교환기설비의
한국냉매관리기술협회(회장 김동호)가 본격 출범해 냉동공조업계 권익향상의 창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단법인 한국냉매관리기술협회는 1월2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협회 창립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오일영 환경부 기후변화대응과 과장, 안양기 한국환경공단 기후변화대응처 과장, 박병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Non-CO₂사업단 사무국장, 송형섭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 이사 등 산‧학‧연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냉매관리기술협회는 프레온 냉매의 회수, 재사용 및 관리에 필요한 냉동공조 관련 기술자들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정부정책이 원활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냉동공조인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됐다. 지난해 11월27일 환경부로부터 정식 사단인가를 받아 대기환경 보존 및 관련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로 거듭났다. 협회는 프레온냉매의 취급기술 및 시스템을 연구개발해 관련 기술인들과 공유하고 교육을 실시, 기술력 향상에 기여할 방침이다. 특히 냉동공조기술인들의 침목과 화합을 도모해 ‘냉동공조기술인’이라는 평생 직업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주고 대기환경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2016년 주요
2013년 기준 가스보일러의 전세계 시장은 연간 1,300만대로 유럽시장 820만대, 비유럽 480만대로 나뉜다. 이중 영국이 단일규모 최대인 160만대 시장이 형성돼 있으며 뒤를 이어 우리나라(120만대), 터키(100만대), 중국(100만대), 이탈리아(100만대), 러시아(80만대) 순이다. 유럽시장은 고효율, 친환경 제품인 콘덴싱보일러가 8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영국을 콘덴싱보일러 보급을 법제화했다. 중국은 2013년 기준 100만대 수준이지만 지난해 시장규모로 보면 150만대로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2020년에는 500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돼 전세계 보일러기업이 각축전이 치열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글로벌 보일러기업인 바일란트, 보쉬, BDR 등은 중국 내에 대규모 생산시설을 설립하고 중국시장을 선점한 상황이다. 이처럼 가스보일러시장은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높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고효율 제품 개발 및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친환경마크 인증제도 강화되고 북미에서는 에너지가이드라벨 부착, 유럽은 ECO Design 규제를 통한 저효율제품(EEI≤0.23) 판매
전기식 히트펌프를 열원 구동 흡착식 히트펌프로 대체한 흡착식 하이브리드 제습냉방기술이 개발된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대영 도시에너지연구단장은 에너지기술평가원으로부터 최근 ‘증기압축식 대비 25% 에너지절감 흡착식 하이브리드 제습냉방 기술개발’ 연구용역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의 연구참여기관은 국민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다.□ 왜, 흡착식 하이브리드 제습냉방인가2014년 1월 확정된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기존의 전력공급 확충 중심에서 수요관리중심으로 정책 대전환을 예고했다. 기본계획의 큰 중심은 전력수요의 15%를 감축하고 분산형 발전의 비율을 15%까지 증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력수요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전기기기의 효율 향상과 함께 전력에너지사용을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다.하절기 전력수급 불안정의 주요원인으로 지적되는 것이 냉방전력으로 2014년 기준 하절기 국내 냉방전력수요는 19GW로 추정돼 최대전력의 26%를 차지했다.2012년 국가총에너지소비 2억8,000만TOE 중 전기에너지비중이 14%인 반면 25%의 에너지가 폐열로 버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열원을 이용해 냉방전력을 대체할 경우 전력피크 감축과
EU, 일본에 이어 중국이 공기열원 히트펌프를 신재생에너지로 분류키로 해 CO₂저감에 히트펌프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공기열원에 대해 신재생에너지원 지정에 반대목소리가 높아 향후 우리나라 정부의 선택이 어떻게 진행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中 정부, 첫 인정중국 정부의 도농개발과주택부(MOHURD) 산하인 건축물 에너지보존과 기술 사업부는 최근 ‘공기열원 히트펌프를 신재생에너지 범주로 분류 기술 공정 연구와 분석’ 프로젝트를 최근 승인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MOHURD산하 과학기술진흥센터 △상해 Jiao Tong대학 △장수성 메인엔지하이텍 △상해 국제구리협회 △광동성 미디아 HVAC 장비 주식회사 △수쪼우성 에머슨 크라이미트 테크놀로지 △산동성 리누오리터뉴에너지 등 7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했다.프로젝트 승인서에서는 공기열원 히트펌프는 이미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된 지열에너지기술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의 개발과 활용은 히트펌프의 기술에 달려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공기열원은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는 것을 추천한다고 결론을 내고 있다.이는 MOHURD가 공기열원 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의 원천으로 인식
가스온수기 수출량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으나 1억달러 벽은 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반면 가스보일러는 러시아 경제위기로 인한 리스크를 넘지 못하고 전년대비 15% 감소했다. 본지가 국세청이 집계한 가스보일러와 가스온수기 수출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수출액은 2억8만7,000달러로 전년(1억9,673만7,00달러)대비 1.7% 증가했다. 역대 최대 수출액을 기록했으며 2012년대비 무려 44%나 증가했다. 특히 눈에 띄는 변화는 미국이 가스온수기에 이어 가스보일러도 최대 수출국으로 등극했다는 것이다. □ 역성장 기록한 가스보일러보일러업계의 최대 수출품목은 가스보일러인 것은 당연하지만 최근 상황을 보면 가스온수기에 추월당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수출액은 1억963만2,000달러였으며 전년(1억2,917만4,000달러)대비 15% 감소했다. 최근 4년간 가스보일러 수출액은 10%대 성장을 지속 유지하고 있던 상황에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는 가스보일러 최대 수출국인 러시아가 2014년말 터진 경제위기로 인해 보일러업계에 리스크로 작용했기 때문이다.이틈을 노려 미국이 가스보일러 수출액 2014년 2위, 2015년 1위 국가로 부상했다. 2012년 수출액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냉난방공조 전문기업들이 북미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공조대표기업 LG전자와 삼성전자, 보일러대표기업 경동나비엔과 대성쎌틱은 지난 1월25일부터(현지 시각) 27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오렌지 카운티 컨벤션센터(Orange County Convention Center)에서 열린 북미 최대 냉난방설비박람회인 ‘2016 AHR EXPO(Air-Conditioning Heating Refrigerating Exposition)’에 참가했다.AHR EXPO는 미국냉동공조학회(ASHRAE)의 주최로 열리는 냉난방설비 전시회로 올해 86회째 열렸다. 냉난방분야의 최신 기술과 제품 동향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북미 최대 규모의 냉난방설비 박람회다.우리나라 냉난방공조 전문기업인 LG전자와 삼성전자는 차세대 시스템에어컨을, 경동나비엔과 대성쎌틱은 콘덴싱보일러와 온수기 신제품을 대거 출품하며 참관객의 관심을 받았다.먼저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건물의 크기, 특징, 용도 등에 따라 최적의 냉난방을 구현하는 △멀티에프 맥스(Multi F Max) △멀티브이 에스(Multi V S) △하이드로 키트(Hydro Kit) △
산업용보일러 대표기업 대열보일러(대표 신국호)가 이탈리아 코스모가스(COSMOGAS)사와 수입협약을 체결한 마이덴스(MYDENS) 가스온수보일러 시리즈에 대해 고효율기자재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마이덴스 가스온수보일러는 초고효율 산업용 모델로 △6만200kcal/hr △12만400kcal/hr △18만600kcal/hr △24만800kcal/hr 등 4개 용량으로 라인업돼 있다. 유럽 등 국제기구로부터 최고 품질 및 안전인증등급을 받은 연소제어 시스템이 적용돼 있으며 전 모델에 ‘EGM(Eco-Green Management)’ 기술을 적용, 배기가스 중 O₂와 NOx 배출량을 크게 줄였다. 배기가스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시켜 저위발열량기준 107%의 초고효율을 달성했다.또한 설치공간을 고려한 콤팩트한 설계로 기존 온수보일러 동급용량대비 70%의 공간절감이 가능하며 부족한 보일러의 용량은 보일러를 병렬로 연결해 원하는 만큼의 용량 조정이 가능하다. 멀티 열교환 보일러 마이덴스-T 시리즈는 단위출력 6만kcal/hr(70kW/hr)의 316Ti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작된 1~4개의 R.V.C(Radial Variable Circulation) 열교환 모듈로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고 있는 진천 친환경 에너지타운 공사현장에 국산제품 사용 원칙이 배제된 채 입찰과정이 진행되고 있어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미래부는 환경 및 에너지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방안으로 충북 진천‧음성 혁신도시 내 진천 하수처리장 및 인근 복합타운을 대상으로 친환경에너지자립 실증단지를 구축하는 친환경에너지타운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주민 기피시설에 청정기술을 적용해 에너지공급과 실질적 주민혜택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안으로 관련업계와 사회의 큰 관심을 모았다.하지만 국산제품사용을 원칙으로 한다는 미래부의 ‘진천 친환경 에너지타운 조성 마스터 플랜’ 지침과 달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공항시설관리(주)의 입찰공고에는 국산제품에 대한 평가기준이 배제돼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지난해 4월6일 미래부가 발표한 ‘진천 친환경 에너지타운 조성 마스터플랜(기본계획)’에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요구조건 및 설치비용’에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인증한 설비로 국내 개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테스트베드로의 활용을 감안, 국산제품 중심으로 설치’라는 문구가 규정돼 있다.과제의 사업수행기관으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항시설관리(주)가 선정됐고 2015년 12월31일 공항시설관리(주)에서
신재생에너지보급사업이 해가 갈수록 축소되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지난 13일 홈페이지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보급사업 예산을 발표하고 사업신청자 모집공고를 냈다.올해 신재생에너지보급 주택지원부문의 지원규모(설치확인비용 제외)는 418억4,200만원으로 △태양광 202억4,000만원 △태양열 72억7,800만원 △지열 97억600만원 △소형풍력 3억원 △연료전지 43억1,800만원이다.이는 지난해 467억5,800만원에 비해 약 49억원 삭감된 금액이다. 또한 2014년 549억2,000만원 예산이 배정됐던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감소세를 엿볼 수 있다. 3년새 24%가량 감소했다.태양열분야는 2014년 113억원에서 40억원가량 줄어들어 72억7,800만원이, 지열은 156억원에서 58억원가량 줄어 97억600만원이 배정됐다.용량별 보조금 지원기준은 태양열부문은 올랐지만 지열부문은 감소했다.태양열 평판형‧진공관형은 7.0m² 이하, 7.0m²~14.0m², 14m²~20m²별로 m²당 1만원에서 8만원까지 올랐다. 지난해 신설된 자연순환식 온수기는 대당 보조금지원 262만원, 도서지역지원 314만원으로 동일하다.지열 수직밀폐형은 10.5kW 이하는
국제수준에 부합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가스보일러 설치 안전기준이 개발됐다.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은 지난 2013년 12월1일부터 미래에너지기준연구소와 시작한 ‘가스보일러 설치 안전기준 실증연구에 관한 기술개발’ 연구용역을 최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배기가스로 인한 중독사고를 줄이기 위해 정부와 가스안전공사는 많은 인력을 동원해 특별안전점검 및 집중 홍보 등을 시행하고 있으나 사고감축의 한계에 직면해 있다. 가스보일러 연소폐가스인 일산화탄소(CO)로 인한 중독사고의 인명피해는 최근 4년간 전체사고의 1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CO중독사고가 근절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배기시스템에 관한 설치기준이 미흡하고 연통인증제도, 배기시스템 검사제도 등이 없거나 불합리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를 총괄책임자인 최경석 박사는 “이번 연구는 도시가스사업법 및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법에 따르는 가스사용시설기준 중 가스보일러 설치기준을 개발하는 것으로 금속재 및 플라스틱 연통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재료기준, 제조기준, 표시기준, 안전성 확인기준 등 연통제조의 전반적인 기준을 정했다”라며 “이와 함께 보일러 배기방식, 배기시스템 구성요소별 설치기준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열린 파리기후협약 당사국총회에서 2030년까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BAU대비 37%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은 각 분야마다 각자의 방식대로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을 실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적인 에너지사용모델이 정부의 온실가스감축목표달성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화석연료 가 아닌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거나 화석연료를 쓰더라도 기기의 효율을 높여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또한 외부로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사용에너지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이외의 부처에서도 이러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는데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및 산림청 등은 새로 만들거나 그동안 계속해오던 에너지효율화 관련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제로에너지하우스, 농어촌 히트펌프 및 목재펠릿 보급사업, 저온유통체계 구축사업 등 부처별 다양한 사업의 성과와 향후 추진방향을 알아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