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VAC를 중심으로 한 종합 엔지니어링 전문기업 미션크리티컬엔지니어링(대표 류영현, 이하 MCE)이 10월19일 ‘AI 기반 에너지 절감 솔루션’을 주제로 개최된 기술교류 세미나에서 플랜트 운영을 위한 HVAC 토탈엔지니어링 방안을 소개하며 주목받았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MCE는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 로크웰오토메이션, 젬스와 울산지역 산업플랜트 및 4차 산업혁명,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에 발맞춘 HVAC 시스템 공급방안에 대해 상호 교류하고 협업방안 모색했다. MCE는 2015년 설립 이래 짧은 기간 동안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며 HVAC 토탈엔지니어링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Daikin Applied 한국대리점, EVAPCO 산업부분 한국대리점을 맡아 고성능·고효율 및 에너지절감 설비를 공급하며 국내 산업발전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MCE는 ESG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물절약(water saving) 제품을 활발하게 공급하고 있다. EVAPCO사의 eco제품을 국내에 보급해 일정온도 이상에서는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건식운전을 통해 물절약 및 겨울철 백연현상을 완전히 제거하고 있다. 또한 사업장의 안전한 운영에 기여하기
에너지컨설팅 전문기업인 에너지닥터(대표 박기수)가 국내 에너지산업의 트렌드를 보여주는 ‘제40회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부스를 개설해 참관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에너지닥터는 건물 및 산업시설에서 에너지가 낭비되거나 개선해야 할 부분을 조사하고 에너지손실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감축을 통해 에너지최적화를 실현한다. 고객이 필요로하는 기술을 개발해 보급함으로써 기업의 성장과 고용창출을 통해 건전한 사업에 기여하고 있다. 에너지닥터는 Energy Doctor Servic를 통해 △무료 기술지도 및 에너지컨설팅 △정부지원사업 매칭 △고효율설비 교체지원금(50%) △투자비 최소화 △운전비 30% 감소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탄소배출권 등록 △탄소배출권 10% 환급 등을 통해 중소기업 에너지최적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있어 최저 자부담으로 스마트FEMS를 구축하고 있으며 △컨설팅 △계측인프라 △에너지관리 시스템 구축을 원스톱으로 서비스하고 외부사업 등록까지 진행시켜주고 있다. 특히 에너지부문 정부지원사업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을 제공해 에너지 최적화를 고민하는 기업에 이정표 역할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10월13~15일 일산 킨텍스에서 ‘제40회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제1회 탄소중립 EXPO)’를 개최했다. 이번 에너지대전은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탄소중립 엑스포와 함께 열렸다. 탄소중립 엑스포는 전 세계적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탄소중립 흐름에 대응해 친환경·저탄소 경제로 이행을 위한 우리 산업의 현주소와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로 올해 처음 개최됐다. 13일 개막식에는 박기영 산업부 차관을 비롯해 △이재승 삼성전자 사장 △권순황 LG전자 사장 등 참가기업 대표 △진옥동 신한은행 은행장 △김창섭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이낙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등 유관기관 주요인사 16명이 참석했다. 박기영 산업부 차관은 축사를 통해 “이번 행사를 통해 지난해 말 탄소중립 선언 이후 산업계의 탄소중립 노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신경제질서로 EU, 미국, 일본 등 전 세계 138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구체적인 실행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얼마나 선제적, 능동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따라 우리 경제, 사회의 미래가 좌우될
고종원 캐리어냉장 전무가 정온유지 개선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등 연구개발에 적극 참여해 국내 바이오 콜드체인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한다. 고종원 전무는 코로나19 백신의 안전한 수송을 위한 냉동·냉장탑차 출시와 –90℃까지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며 보관이 가능한 초저온 냉동고 개발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이를 통해 캐리어냉장은 기존 신선식품 보관 및 운송은 물론 바이오 제품까지 포괄하는 완벽한 콜드체인시스템을 구축하게 됐으며 고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공기유로 및 모니터링을 탑재해 외기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온유지가 가능한 냉동·냉장탑차를 개발했다. 바이오 냉동·냉장탑차는 차량 내부를 –20℃에 맞게 설정할 수 있으며 백신용 특수포장 용기를 사용, -70℃로 보관운송이 가능하다. 특히 공기유로시스템을 구축, 탑차 내부 어디든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온도편차 폭을 기존 제품대비 50% 이내로 줄였다. 혹서기 및 혹한기에 관계없이 4계절 내내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천후 수송차량이다. 의약품 및 백신 보관창고로부터 소비처까지 운송에 완벽한 정온유지 솔루션을 제공하며 냉동·냉장을 포함한 수송용 패키징 박스를
그린리모델링을 필두로 기계설비시공, 신재생에너지, ESCO 및 에너지진단분야의 선도기업인 린텍(대표 김한지)이 가상 골프플랫폼 ‘GOLFLEX(골플렉스)’를 기반으로 신개념 융·복합 놀이문화를 선보인다. 골플렉스는 230만 화소 초고화질 비전센서를 활용해 스크린골프와 스윙분석기는 물론 △고음질·고화질의 대형 디스플레이와 파워풀한 생생한 영화감상 △아싸 노래 반주기로 즐거운 노래방 △대형 스크린과 디지털 서라운드 입체음향으로 신나게 즐기는 게임방 △모임PT △스포츠방송 청취 △파티 등 각종 행사 등을 즐길 수 있어 세대를 초월한 남녀노소에게 즐길거리를 선사한다. 230만화소 초고화질을 자랑하는 대형스크린은 63비트 엔진으로 제작돼 생생한 3D 입체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 지역적 여건을 고려해 주변경관을 모델링했으며 골프장 18홀 전체 및 주변을 실제 골프장과 똑같은 형태로 제작했다. 초고속 카메라센서는 볼과 클럽의 순간동작을 촬영해 방향, 속도, 높이, 스핀 등 모든 요소를 인식, 실제와 필드에서 공을 치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 골플렉스는 세계 각 지역의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계절별 90여개의 골프코스에 바람에 흔들리는 움직임까지 3D 오브젝트로
(10월2일자)△신용민 산업정책실 소재융합산업정책관전자전기과장 △손호영 무역투자실 무역정책관 수출입과장 (10월8일자)△황수성 산업혁신성장실장 △김영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정책보좌관
정부의 에너지복지사업이 소외계층의 난방공급에 집중돼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이 한국에너지공단과 한국에너지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에너지복지사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하계냉방용 예산은 동계난방용 예산의 10.4%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절별 질환의 경우 여름철(5월~9월) 더위로 인한 질환(온열질환)이 겨울철(12월~다음해 2월) 추위로 인한 질환(한랭질환)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예산과 현실적 필요 사이에 괴리가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응급실이 있는 전국 의료기관의 신고를 받아 집계한 온열 및 한랭질환 발병통계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발생한 온열질환 건수는 1만1,145건이었고 한랭질환 건수는 2,210건으로 온열질환이 한랭질환보다 약 5배 많았다. 사망자 수도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96건인데 반해 한랭질환은 35건으로 나타나 약 2.7배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도에는 온열질환이 4,526건 발병한데 반해 한랭질환은 404건만 발병해 11.2배 차이가 났고 사망자 수도 온열질환 48건, 한랭질환 10건으로 온열질환이 4
한국에너지공단(상임감사 임상경)은 10월14일 울산 혁신도시 내 7개 공공기관과 함께 공공부문 보조금 부정수급에 대한 투명성 확보 및 공공재정환수법에 관한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했다. 지난 10월6일부터 14일까지 SNS를 활용해 진행된 ‘소중한 나랏돈 올바르게 쓰일 수 있도록!’ 피켓 캠페인은 공공재정환수법 시행 초기 법·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유도하고 공공부문 보조금 부정수급에 대한 투명성 확보 필요가 필요하다는 7개 기관의 논의 끝에 마련됐다.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은 공공재정지급금을 허위 또는 과다 청구하거나 목적 외로 사용할 경우 최대 5배까지 제재부가금이 부과되고 고액부정청구 행위자에 대해서는 홈페이지에 명단이 공표된다. 임상경 상임감사는 “이번 릴레이 캠페인을 계기로 울산혁신도시 공공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공공재정지급금이 부정하게 쓰이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냉동·냉장시스템 전문기업 캐리어냉장(회장 강성희)이 10월13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1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해 뉴 콜드체인 시스템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에서 뉴 콜드체인 시스템을 통해 캐리어냉장의 친환경, 고효율을 지속 선도하는 냉동·냉장 솔루션을 자랑했다. 이번에 캐리어냉장이 선보인 뉴 콜드체인 시스템은 △기존 식품의 안전한 저장·운송 △보관하는 토탈 콜드체인 시스템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바이오 콜드체인 △친환경 전기차 냉동기술 △중대형 인버터 솔루션까지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였다. 국내에서 유일한 토탈 콜드체인 기업으로서 업계를 선도했다면 이번 에너지대전을 통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미래지향적 친환경 고효율 제품을 선보인 것이다. 국내 최초 상업용 냉동·냉장설비에 인터버 제어를 적용한 캐리어냉장은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2~10마력의 소형 냉동기뿐 아니라 15·20마력의 중대형 냉동기까지 라인업을 확대, 냉동기 시장을 독보적으로 선도할 것을 선언했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20마력 인버터 냉동기는 전력소모와 제상 발생 횟수가 최소화됨으로써 획기적인 소비전력 절감이 가능하다. 기존의 2~10마력 인버터 냉동기를 넘어 높은 마력의 냉동기에
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황창화)는 10월14일 상생과 지역균형 중심의 일자리 창출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로부터 ‘일자리 창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한난은 ‘일자리로 행복한 세상을 이어주는 친환경 에너지 리더’라는 일자리 비전 하에 ‘4-ON(溫)’ 일자리 전략을 수립, 지역냉난방과 그린·디지털뉴딜 일자리뿐만 아니라 휴먼뉴딜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5년간 3만5,000개 양질의 일자리 창출목표를 설정해 추진하고 있는 점을 높게 평가 받았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등으로 일자리 양극화, 사회안전망 약화 등 사회문제들이 다양하고 심화되는 상황에서 고용취약계층에게 든든한 안전울타리를 마련하고자 민·관·공과 함께 지속가능한 맞춤형 일자리 모델을 만들어 사회문제 해결을 선도한 점도 인정받았다. 또한 일자리 창출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고용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마련된 ‘제4회 전국 일자리위원회 워크숍’에서 대표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협력을 통한 사회안전망 일자리 강화’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4가지 대표 성과를 발표했다. 첫 번째로 지난해 9월 여주시 등 7개 기관과 협업해 국내 1호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인 ‘푸르메여주팜’를 설립
일시: 10월21일 오전 11시00~50분장소: 온라인주최: 한국그런포스펌프신청: 홈페이지(https://register.gotowebinar.com/register/3514226496910119440?source=ACS&cmpid=&acsid=495bf1fa-1bac-4629-9a21-3b4499c1ec39&pkey=%40zCYf8qLkogoFsRrqEcig-KpiFAKuiXGJzajuKsuSQQs5F8PNgIVMSjJjf9lnB-TxaE2QoE_mAx-_1S0KAbllxb3i4_sH7n7dIQ3cFgDinKHWMslL&deliveryName=DM132975) 프로그램-인사말(권경화 팀장, Area Sales Manager)-식음료 산업변화, 산업내 제품 포트폴리오 & 적용사례(유인범 매니저)-Q&A(권경화 팀장, Area Sales Manager)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소장 이상훈)는 ‘공급인증서 발급 및 거래시장 운영에 관한 규칙’을 일부 개정하고 10월13일 시행을 시작했다. 이번 규칙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및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및 연료 혼합 의무화제도 관리·운영지침’(이하 RPS 고시)에 의한 공급인증기관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했다. 개정안은 지난 7월28일 개정된 RPS 고시 내용의 반영과 하위 세부기준 마련에 배경을 두고 있다. 규칙의 주요 개정내용은 태양광, 풍력 등 기존 발전부지의 우수한 입지여건을 활용하기 위해 RPS 고시 개정을 통해 도입한 ‘발전차액지원제도 전환설비’에서 가중치 적용을 위해 교체해야 하는 발전설비의 주기기 범위를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 바이오 등에너지원별로 마련했다. 또한 발전차액지원제도 전환설비의 안정적 수익창출을 위해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자 선정 참여조건을 일부 수정했다. 신재생에너지센터는 신재생 발전사업자가 설비확인서 발급내용에 따라 성실하게 운영하는지를 사후관리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사후관리 결과 건축물 용도대로 사용해왔음을 증빙하지 못하는 경우 미이용하기
대한전기협회(회장 정승일)는 오는 10월26일부터 29일까지 나흘간 강원도 정선 하이원 그랜드호텔(컨벤션타워)에서 ‘2021 KEPIC-Week’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하는 KEPIC-Week는 전력산업계 종사자들이 화합과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대표적인 소통의 장이다. KEPIC(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전력산업기술기준)은 전력설비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설계, 제작, 시공, 운전, 유지정비, 시험·검사 등에 필요한 기술·제도적 요건(기준)을 국내 산업실정에 맞게 방법과 절차를 규정한 전력산업계의 민간단체표준이다. 국내·외 기술변화에 따른 정보교류와 제도 및 기술요건 개선을 위한 의견수렴 등 전력산업계 전반적인 기술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2003년부터 개최돼왔으며 전력산업계 최대 행사로 자리 잡았다. ‘신뢰받는 글로벌 표준화 리더, KEPIC’이란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전문분야별 160여편의 논문이 발표되며 KEPIC 유지관리 활성화를 위한 위원회와 세미나, 워크숍 등이 개최된다. 또한 합동강연, 기념식 행사 및 유공자 포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다만 코로나19 상황을 고
에너지관리 및 자동화분야 디지털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기업 슈나이더일렉트릭(한국대표 김경록)이 디지털화되고 스마트한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연구보고서 ‘디지털 경제와 기후 영향(Digital Economy and Climate Impact)’를 발표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이 발표한 리포트는 2030년까지 IT부문 관련 전력수요가 5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전기시스템이 탈탄소화되면서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6% 이상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슈나이더일렉트릭 지속가능성 리포트 협회(Schneider Electric Sustainability Research Institute)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완화하기 위해 구성요소 및 시스템 레벨에서 IT 및 에너지효율을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번 보고서는 전력사용효율(PUE) 관점에서 시스템이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보다 덜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엣지컴퓨팅이 어떻게 특정초점을 필요로 하는가를 강조한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연구보고서 발표 외에도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제품과 IT기술을 소개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이 발표한 기술은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
대한설비공학회(회장 김민수)는 2022년도 차기회장으로 정재동 세종대 교수를, 선출직 부회장으로 송두삼 성균관대 교수와 장영수 국민대 교수를 선출했다. 이번 차기회장 및 선출직 부회장 선거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준수를 위해 10월12~13일 전자투표를 통해 진행했다. 정재동 차기회장 당선인은 당선소감을 통해 “후보출마 과정 중 보내주신 많은 격려와 조언을 가슴깊이 새기며 맡은바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도록 하겠다”라며 “오랜기간 동안 학회의 다양한 일을 수행했지만 이번 출마를 통해 보다 깊은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선배 회원님들이 이뤄 놓은 학회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 다양한 분야에서 학계, 연구소, 산업계가 서로 협력하며 발전하고 있는 모범적인 학회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송두삼 선출직 부회장 당선인은 “설비공학회가 창립 50주년이라는 영광스러운 시간을 맞이하고 있는 현재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급격한 기후변화에서 인류생존을 지켜나가기 위해 2050 탄소중립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사회 전반에 걸친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라며 “선출직 부회장으로 우리 설비공학회가 국내 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