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3 (토)

  • 맑음동두천 17.3℃
  • 구름조금강릉 11.2℃
  • 구름많음서울 15.9℃
  • 맑음대전 20.4℃
  • 맑음대구 22.9℃
  • 맑음울산 22.4℃
  • 구름많음광주 22.7℃
  • 구름조금부산 20.0℃
  • 구름조금고창 20.9℃
  • 구름많음제주 17.8℃
  • 구름조금강화 16.2℃
  • 맑음보은 19.4℃
  • 맑음금산 20.3℃
  • 구름많음강진군 20.0℃
  • 맑음경주시 23.5℃
  • 구름조금거제 22.0℃
기상청 제공

커버스토리

[스마트시티 선도기업] GS건설

스마트시티 디벨로퍼 추진
지속가능 글로벌기업 도약
도시 에너지효율화·거래인프라 구축 강점

GS건설은 인프라, 건축, 주택신축판매, 플랜트, 전력 및 해외종합건설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국내 대표 건설사다.

GS건설은 국내 건설시장의 성장한계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글로벌기업(Sustainable Global Company)’으로 도약하기 위해 제조업 등 ‘탈건설사업’을 비롯한 신성장동력 발굴 및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신재생에너지사업 △2차전지 재활용사업 △스마트홈사업 △디지털플랫폼 개발 등에 진출·투자하고 있다.

또한 기존 사업영역에서는 단순 시공사업에서 벗어나 해외개발사업, 투자제안사업 등 사업기획부터 설계, 조달, 시공, 자금조달까지 종합적으로 담당하는 디벨로퍼(Developer)사업을 추진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지속가능성 실현의 장
스마트시티는 도시화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수단으로 지속적인 시장성장이 예상된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의 완벽한 구현을 위해서는 인프라, 플랫폼,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돼야 하며 이러한 연계를 위해서는 설계·시공단계부터 향후 서비스까지 전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GS건설은 기존에 가지고 있는 EPC역량과 신사업분야를 활용해 프로젝트 전 과정을 전담하는 디벨로퍼로서 스마트시티시장에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박시삼 GS건설 박사는 “스마트시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에너지”라며 “신재생에너지 및 분산전원을 기반으로 에너지를 최적화하고 거래하기 위해서는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부터 이를 고려한 인프라 및 설비의 최적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인프라플랫폼을 활용하면 에너지 최적운영 및 거래가 가능하며 이것이 에너지효율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GS건설은 기존의 건설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EPC능력과 더불어 국내·외 신재생에너지사업, 2차전지 재활용사업 투자, 스마트홈사업, 디지털플랫폼 개발 등에 참여한 경험을 갖추고 있다.

기존 통신사 및 SI 위주의 스마트시티에서는 데이터적인 요소의 강점이 있을 수 있으나 에너지·자원인프라 구성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으므로 인프라, 플랫폼,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동작하는 스마트시티 건설 측면에서는 GS건설이 차별화됐다는 평가다.

GS건설은 국가스마트시티 시범도시인 부산 에코델타시티(EDC)의 에너지분야 기본설계를 수주해 완료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인 ‘Smart ZEC(Zero Energy City)’를 통해 에너지거래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 국책과제인 ‘저탄소 에너지효율화기술 기반 에너지공유커뮤니티 구축기술 개발’ 과제에서는 부산 EDC ‘스마트빌리지’의 상세설계를 완료했다.

스마트빌리지의 1차사업 대상인 19세대(주거)와 커뮤니티센터(비주거) 모두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1+++ 예비인증과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인증 1등급 예비인증을 취득했다. 이는 각 인증제도의 최고등급이다.

또한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을 나타내는 녹색건축 인증에서도 최우수(그린1등급) 예비인증을 획득했다. 향후에는 스마트빌리지의 에너지 공유 리빙랩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박시삼 박사는 “스마트시티의 국내·외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단기적인 성과확산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플랜이 필요하다”라며 “일관성 있는 법적·정책적 지원과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사업모델의 개발을 통해 자생적 시장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로서는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에너지에 대한 대국민 수용성 부족, 정부정책의 일관성 유지, 관련 에너지사업의 경제성, 분산에너지원 확대에 따른 신규 에너지사업 모델 확보 등 선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들이 산재해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박시삼 박사는 또한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및 실증사업에 적용할 예정인 규제 샌드박스의 활용을 통한 다양한 사업모델의 실증으로 수익창출이 가능한 신규 에너지사업모델을 발굴해야 한다”라며 “이와 함께 제도개선, 자생적 시장확장이 가능한 새로운 에너지생태계 구축 등 정부의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플랜을 바탕으로 한 일관성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