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E는 4월9일 보안중심 인공지능(AI)기반 네트워크관리솔루션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HPE Aruba Networking Central)’을 확장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확장을 통해 클라우드 민첩성을 요구하면서도 특정 데이터보안, 데이터제어 또는 규제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는 고객을 위해 가상프라이빗클라우드(VPC) 환경과 클라우드와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한 온프레미스옵션을 추가했다. 이를 통해 HPE는 업계 가장 포괄적인 첨단 네트워크관리역량을 제공한다. △고객 VPC △온프레미스 △퍼블릭SaaS △네트워크서비스(NaaS) 등 다양한 옵션을 통해 클라우드네이티브 AI운영을 제공하는 유일한 공급업체로 자리 잡았다.
정부기관용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 온프레미스(HPE Aruba Networking Central On-Premises for Government)는 정부 보안요구사항 충족을 위해 FIPS 140-2인증을 받은 서버하드웨어를 포함한 새로운 배포옵션을 제공한다. 또한 폐쇄망(air-gapped)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기반 VPC옵션을 통해 더 높은 제어를 요구하는 AI 데이터수집, 학습 및 추론 같은 새로운 용도에 대한 기업효율성을 향상시킨다. 퍼블릭클라우드 및 VPC 배포옵션은 HPE 그린레이크 클라우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여러 지역에서 현지 클라우드서비스를 제공한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 '올웨이즈온 자동화 네트워크 AI옵스(AIOps)'는 또 다른 혁신기능이다. 이는 유무선 네트워크운영을 지속 모니터링해 네트워크성능을 최적화하고 성능문제를 감지한다. AI 어시스턴트 패브릭은 네트워크 아키텍트 역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수집해 진단 및 권장사항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존 용량과 성능을 확장하고 보안취약점을 보완한다. 또한 네트워크운영에 영향을 미치기 전 구성오류를 식별해 예방할 수 있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은 강화된 IT모니터링솔루션을 통해 이기종 네트워크환경과 주요 IT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풀스택 네트워크옵저버빌리티와 데이터레이크 텔레메트리기능을 확장한다. 새로운 에디션에는 옵스램프(OpsRamp) 기반 1년 구독형서비스를 통해 타사장비 모니터링을 지원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 같은 실시간애플리케이션 가시성을 높여 음성 및 화상통화 품질을 대폭 개선하는 등 기능이 포함된다.
이번 업데이트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배포 유연성 확대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은 클라우드기반 SaaS 외에도 VPC, 온프레미스, NaaS(Network as a Service) 등 업계에서 가장 다양한 배포옵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엔터프라이즈 및 정부기관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이나 금융산업규제국(FINRA) 같은 규제준수 및 표준요건 만족을 지원한다.
AI 기능 또한 강화됐다. '상시 온라인(Always-on)' AI기반 자동화 네트워크 어시스턴트는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 AI옵스 역량을 확장해 성능문제 발생 시 최적화 알림을 제공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업계 최대규모 데이터레이크다. 현재 520만대 이상 디바이스 관리 및 20억개 이상 네트워크장치 지원 규모로 확장됐으며 전년대비 각각 30%, 100% 연간성장률을 기록했다. 이 데이터레이크는 고유하고 익명화된 텔레메트리데이터를 제공해 센트럴 어드밴스드AI 기능과 예측분석 및 추천모델을 강화한다. 또한 여러 생성형AI(GenAI) 대형언어모델(LLM)과 안전한 통합도 지원한다.
연결성과 옵저버빌리티 기능도 향상됐다. 클라우드기반 센트럴의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라우팅 보장을 위해 미국, 캐나다, 유럽연합, 중동 및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및 중국 등 전 세계 글로벌 PoP(Point of Presence) 위치를 늘렸다. 또한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 옵스램프 익스텐션(OpsRamp Extension) 라이선스 1년 구독형서비스 출시로 시스코(Cisco), 아리스타(Arista), 주니퍼 네트웍스(Juniper Networks) 등 타사벤더 디바이스 네이티브 모니터링 지원을 확대했다. 엔드투엔드 텔레메트리를 통한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 경험품질(QoE) 향상 기능도 추가됐다. 네이티브 팀즈통합은 실시간 음성 및 화상통화 품질모니터링, 문제해결, 서비스품질(QoS) 향상 기능을 강화하고 최적화된 사용자경험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광범위한 통합 API를 통해 풀스택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컨텍스트를 엔터프라이즈 IT툴과 공유하고 AI기반 텔레메트리 인사이트를 제공해 센트럴을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주요 데이터 정확도 원천(Source of Truth)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필 모트럼(Phil Mottram) HPE 아루바 네트워킹 총괄부사장 겸 매니저는 "기업은 데이터주권을 점점 더 중요하게 여기면서 미션크리티컬 IT솔루션을 위한 지역 및 로컬차원 운영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번 혁신을 통해 HPE는 기업, 비영리조직, 정부기관이 직면한 가장 시급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뛰어난 네트워크관리 배포유연성을 제공한다"라며 "AI, 보안, 연결성분야 지속적인 혁신과 함께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은 시장에서 가장 강력하고 다재다능한 네트워크관리 애플리케이션이며 기업보안, 프라이버시, 제어 요구사항 충족을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은 2014년 출시 이후 유무선 근거리통신망(LAN), 광역통신망(WAN), 사물인터넷(IoT) 전반에서 네트워크구성, 관리, 모니터링, 문제해결기능을 지속 강화해왔다. 이를 통해 인프라운영 전 수명주기에 걸쳐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노부호텔(Nobu Hotels)과 네덜란드 로열 야르뵈르스(Royal Jaarbeurs) 같은 고객들은 HPE 아루바 네트워킹 센트럴 차별화된 배포유연성을 활용하고 있다. 이는 연간 구독형서비스로 제공되고 파운데이션(Foundation)과 어드밴스드(Advanced) 2단계 라이선스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HPE 채널파트너를 통해 제공되고 매니지드서비스 공급업체(MSP) 모델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