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 및 자동화분야 디지털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권지웅)은 5월14일 개최되는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EPTK 2025)’에 참가해 전력인프라 효율성과 안정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DC(직류) 전력솔루션을 선보인다.
최근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BES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및 DC기반 전력인프라가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기존 교류(AC) 중심 보호시스템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기술적 과제들이 대두된다. 대표적으로 △과부하 보호 비효율성 △보호장치간 비조정구간 발생 △설치공간확보 어려움 △차단기 용량부족 등이 있으며 이는 BESS시스템 신뢰성과 효율성을 저해하는 주요요인으로 지적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러한 시장변화와 요구에 발맞춰 직류 배전인프라 구축에 최적화된 DC전력기기 제품군을 다양하게 보유 중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최대 1500VDC를 지원하는 DC MCCB 브레이커 ‘ComPact NSX DC EP’ △고신뢰 DC 스위치 디스커넥터 ‘EasyPact DC Switch Disconnector’ △차단 및 분리기능을 통합한 복합스위치 ‘EasyPact Combined Switch’ △고전압 ACB 디스커넥터 ‘EasyPact MVS DA1’ △기중차단기 ‘EasyPact MVS T3’ 등이 있다.
또한 AC‧DC 겸용 MCB와 과전류 안정적인 차단을 지원하는 △‘CVS DC NE 2P’ 차단기 △1500VDC를 지원하는 고전압 퓨즈 ‘FR E2D/E5D’ △세라믹 및 에폭시 기반 고전류용 DC 릴레이 ‘Tesys Giga’ △고전류용 AC 컨택터 ‘Tesys LC1F Contractor’ 등 다양한 응용분야를 커버할 수 있는 솔루션도 함께 제공한다.
해당 제품군은 고전압 및 대용량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전력변환 손실을 줄여 최대 10% 에너지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변압기 및 수변전설비 등 관련 인프라소형화로 약 30% 이상 설치 공간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 보호장치로는 커버가 어려웠던 900A~2.5kA 구간에서도 신뢰성 있는 보호가 가능하며 2P기반 간편한 연결구조를 통해 설치 편의성과 작업안정성을 동시에 실현한다. 이 밖에도 국내외 고객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CCC, CE, UL 등 다양한 글로벌인증을 획득했으며 공간효율성과 확장성까지 갖췄다.
김은지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파워 프로덕트사업부 본부장은 “최근 BESS를 포함한 전력시스템이 고전압 및 대용량화됨에 따라 기존 보호기기로는 다양한 현장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슈나이더 일렉트릭 DC 전력솔루션은 이러한 산업현장 고충을 해소하며 고신뢰성과 설치유연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세대 전력보호기술로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한 전력망구축을 위한 최적해법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