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하고 건강하며 지속가능한 빌딩을 구현하는 글로벌 리더 존슨콘트롤즈인터내셔널(이하 존슨콘트롤즈)이 구축한 빌딩관리 디지털에코시스템 ‘OpenBlue’ 플랫폼을 도입할 경우 3년간 최대 155%의 투자수익률(ROI)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존슨콘트롤즈는 5월14일 OpenBlue 플랫폼의 총경제적효과(TEI: Total Economic Impact)와 주요이점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포레스터 컨설팅(Forrester Consulting, 이하 포레스터)의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포레스터는 다양한 산업에 속한 OpenBlue 고객들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경험을 종합해 복합조직(composite organization)을 모델링한 뒤 이를 바탕으로 경제적 효과를 분석했다.
OpenBlue는 다양한 솔루션과 서비스를 연결한 AI 최적화 스마트빌딩 생태계로 고객이 건물과 업무환경의 성능을 실시간에 가깝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강화된 AI를 바탕으로 OpenBlue는 건물사용량 및 날씨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에너지절감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운영비용을 줄이au 보다 자율적인 건물운영으로 나아가도록 돕는다. 현재 OpenBlue는 FM:Systems 솔루션과도 통합돼 실시간 데이터가시성을 확장하고 고성능 업무환경 조성 및 부동산 전략수립에 있어 더욱 명확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번 연구의 가상 기업모델을 통해 확인된 주요효과는 최대 10% 에너지 절감으로 전반적인 효율성 향상 및 냉각기 유지보수 비용 최대 67% 절감으로 3년간 약 150만달러(약 20억5,500만원) 절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대료 프리미엄이 7% 증가해 3년 현재가치 기준으로 320만달러(약 43억8,400만원)의 추가수익을 낼 수 있다.
비제이 산카란(Vijay Sankaran) 존슨콘트롤즈 최고 디지털 및 정보책임자는 “이번 연구결과는 존슨콘트롤즈의 OpenBlue와 FM시스템즈 솔루션이 운영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효율성을 극대화함을 명확히 보여준다”라며 “존슨콘트롤즈는 에너지효율 향상과 탄소배출 절감을 통해 고객들의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돕고 수익성 개선에도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글로벌기업들이 시간과 비용절감의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존슨콘트롤즈의 솔루션은 환경적, 재무적 성과를 동시에 실현하는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한 고객은 OpenBlue 도입 이후 에너지비용을 최대 10%까지 절감할 수 있었다며 이를 위해 다른 노력도 있었지만 OpenBlue는 영업시간 외 조명사용으로 건물 층당 연간 약 1만7,000달러(약 2,415만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인사이트가 없었다면 해당 비용과 에너지낭비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고객은 존슨콘트롤즈는 냉각기, 화재 및 보안 시스템, 자동화 설비 등 시설관리의 핵심기반요소를 공급할 뿐 아니라 그 위에 관리레이어를 더해 일관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존슨콘트롤즈의 140년에 걸친 혁신 역사를 다시 한번 입증한다. 존슨콘트롤즈는 현재 8,000건 이상의 유효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약 30억달러(약 4조2,650억원)를 엔지니어링 및 연구개발(R&D)에 투자해왔다. 이를 통해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하며 자율적인 빌딩의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
한편 존슨콘트롤즈는 자사제품 도입에 따른 비용, 편익, 유연성, 그리고 잠재적 리스크를 식별하기 위해 포레스터에 연구조사를 의뢰했다. 포레스터는 존슨콘트롤즈 OpenBlue와 FM시스템즈 솔루션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단계 접근방식을 적용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해당 솔루션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의사결정자 5명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경험을 종합해 총 1,8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5,000만제곱피트(약 1,416만평)의 자산을 운용하는 부동산 투자 및 개발기업을 가상으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OpenBlue와 FM시스템즈 솔루션에 투자를 고려 중인 조직을 위한 TEI 프레임워크를 구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