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과 국내 탄소중립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을 위해 분야별 전문가들이 모였다.
산업부(장관 김정관)는 지난 7월29일 ‘탄소중립 기술·산업경쟁력 강화전략’ 수립을 위한 킥오프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기후위기가 경제·산업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탄소중립산업 선도국으로 도약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차세대 10대 탄소중립 핵심기술 분야인 △청정전력(태양광, 해상풍력, SMR) △청정연료(청정수소, 지속가능연료) △청정인프라(에너지저장장치, 차세대 전력망, 에너지AI, 히트펌프, CCUS) 등의 글로벌시장 동향과 기술·산업경쟁력을 진단하고 탄소중립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부는 에너지공급부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전기화 확대와 청정연료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해 10대 핵심기술의 기술개발, 대규모 실증, 초기시장 조성 등의 내용을 담은 새 정부 탄소중립 산업육성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탄소중립 생태계 마련을 위해 차세대 전력망, ESS, 히트펌프·에너지AI 등 청정인프라 육성방안이 수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고속도로 건설 등 정부 기후위기 대응 정책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산업 경쟁력 향상이 시급하다"라며 “전기화와 청정연료 도입을 두 축으로 탄소중립 산업생태계 로드맵을 마련해 탄소중립기술 중심 성장을 이뤄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승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은 “혁신기술 개발과 사업화는 탄소중립 실현 핵심으로 기술개발 성과가 시장에 안착되는 전략이 절실하다”라며 “정부와 산·학·연 연구현장과 유기적 협력으로 탄소중립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창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은 “탄소중립 초격차 기술확보와 산업체질 개선을 통해 기술주도 성장을 달성하며 글로벌 에너지대전환시장에 진출해야 한다”라며 “탄소중립기술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