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HP시장, 2032년까지 1,100억달러 도달 전망

연평균 7.5% 성장예상… 정책지원 등 요인이 주요성장동력

글로벌 히트펌프 시장이 2023년 580억달러에서 2032년 1,1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DataIntelo가 발행한 ‘Heat Pumps Market Report 2025’에 따르면 글로벌 히트펌프시장이 2023년 580억달러에서 2032년 1,100억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은 7.5%로 예상된다. 이는 에너지효율적 냉난방솔루션에 대한 수요증가와 정부 인센티브 및 기후정책 강화 등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히트펌프 시장 수요를 증가시킨 주요 원인은 △에너지효율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 항상 △압축기시스템·냉매기술 발전 △재정인센티브 등이다.

 

높은 초기비용과 설치·유지보수 인력 부족 등 당면한 과제를 해결해야 하지만 현재 실시되고 있는 보조금과 세금공제 형식의 정책지원 등 인센티브 확대와 교육프로그램 개선 등을 통해 도입을 확산하고 있다.

 

강력한 환경규제와 높은 공공인식을 가진 유럽은 △독일 △프랑스 △스웨덴 등을 중심으로 히트펌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연평균 8.5%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도시화 △건설활동 증가 △에너지효율정책 등을 기반으로 가장 빠른 연평균 성장률인 9.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거·산업부문 수요 확대


히트펌프는 열원에 따라 △공기열원 △지열원 △수열원으로 구분된다. 지열히트펌프(GSHP)는 초기비용은 높지만 높은 에너지효율로 장기적인 비용 절감과 환경영향 저감 효과가 크며 수열히트펌프는 상업·산업 현장에서 주로 활용된다.

 

공기열원 히트펌프(ASHP)는 낮은 설치비와 성능개선으로 인한 수요증가로 2032년까지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랭지역에서 주거·상업용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주거부문의 경우 에너지비용 상승과 냉난방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 등으로 향후 히트펌프가 주요 냉난방 시스템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들은 기존 HVAC시스템보다 비용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히트펌프에 대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으며 기업들도 운영비절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채택해 에너지규제를 충족하며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글로벌기업, 기술개발 통한 경쟁력 강화


히트펌프 산업은 △재생에너지와의 통합 △친환경 건축설계와 연계 △탄소감축 목표달성노력 강화 등의 영향으로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히트펌프 제조기업들은 하이브리드시스템과 스마트제어기술 등 꾸준한 기술혁신으로 시장 성장세를 더욱 가속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LG전자 △다이킨 인더스트리 △미쓰비시 전기 △니베 인더스트리 △보쉬 테크놀로지 △캐리어 △트레인 테크놀로지 △비스만 그룹 △파나소닉 △후지쯔 제너럴 △바이란트 그룹은 효율개선 등을 통한시장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기반 제어시스템 △IoT 통합 △친환경 냉매 사용 등을 통해 차별화전략을 추진하며 현지화 전략으로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DataIntelo의 대변인은 “기술발전과 강력한 정책지원이 히트펌프를 지속가능한 냉난방솔루션의 주류로 변화시키고 있다”라며 “인식확대와 초기비용 감소에 따라 전 세계 수요는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