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사장 윤석대, 이하 K-water)는 지난 7월18일 환경부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대형화 전문가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아이다 이스마일로바(Aida Ismailova) 주한 키르기즈공화국 대사를 포함해 △기후 △기술 △금융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감축사업의 실행전략을 논의하며 사업 대형화 방안을 공유했다.
국제감축사업은 파리협정 제6조에 따라 국가간 협력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며 그 실적을 상호 인정받는 방식으로 개발도상국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제감축사업은 국가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수자원공사는 환경부 국제감축사업 전담기관으로 지정돼 지난해부터 4개국에 11개 사업을 발굴했으며 키르기즈공화국 비슈케크시 도시재생사업과 우즈베키스탄 수력 재개발사업 등 다양한 현지 맞춤형 협력모델을 추진 중이다.
비슈케크시 도시재생사업은 저소득층 주거지역의 낙후된 도시인프라를 개선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탄소중립형 도시재생 프로젝트로 수자원공사가 축적한 물관리중심 재생에너지 기술력과 국제협력 경험을 기반으로 감축실적을 탄소배출권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주요내용은 △석탄보일러 바이오매스 연료 일부 전환 △52개지역 대상 소규모 정수처리시설 보급 △하·폐수처리시설 바이오가스, 에너지로 활용 △가정내 난방용 가스배관누출 탐지·복구 △노후수도관 누수개선 등이다.
약 1,264억원 규모 사업비를 투자해 15년간 총 450만톤의 온실가스 배출권을 확보해 양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성용 수자원공사 글로벌사업본부장은 “국제감축사업은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가 핵심전략이자 수자원공사가 국제사회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미래 성장분야”라며 “다양한 감축기술을 통합프로젝트로 구현하는 실질적인 성공사례를 만들어 국제 탄소시장 주도권 확보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형화란 △정수 △에너지전환 △폐수처리 등 다양한 기술을 한 프로젝트로 통합해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며 이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실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