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년 역사를 가진 글로벌 친환경 냉동공조 유통 제조기업 Beijer Ref(베이어레프)가 7월27일 대성마리프의 냉동공조사업부 인수를 공식 선언하며 본격적으로 한국시장에 진출했다. 지난 7월27일 인수 계약서에 서명한 대성마리프의 냉동공조사업부는 압축기 등 냉동부품 유통 및 냉동기를 제조·공급하며 국내 냉동공조시장에서 50여 년간 입지를 탄탄히 다져온 냉동부문 전문 제조기업으로 Beijer Ref의 한국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될 전망이다. 또한 한국을 비롯해 국내외 HVAC-R시장에서 명성있는 기업으로 압축기 및 부품공급은 물론 냉동기 및 증발기 등을 제조하며 한국시장에서의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인수는 Beijer Ref그룹 전반의 성장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대성마리프의 제품 포트폴리오와 인지도는 Beijer Ref의 한국시장 확대에 탄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Christopher Norbye Beijer Ref CEO는 “우리는 대성마리프의 Beijer Ref그룹 합류를 환영하며 대성마리프의 오랜 운영경험 및 폭넓은 네트워크로 인해 매우 가치있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라며 “베이어레프는 한국시장의 높은 성장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으며 대성마리프와 함께 우리의 고객들과 주주들에게 커다란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인수배경을 설명했다. 매출 2조7천억원 HVAC-R 솔루션 선도기업 Beijer Ref는 1866년 스웨덴 말뫼(Malmö Sweden)에서 G&L Beijer로 설립 후 2014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했다. 유럽, 북미, 아프리카 및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44개 국가에 진출해 5,500여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약 226억 SEK(약 2조7,452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Beijer Ref는 유럽, 북미, 아프리카,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의 140개 이상 자회사를 통해 판매, 구매, 물류, 유통을 담당하고 있다. 글로벌 생산망을 활용한 제조, 유통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술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냉동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산업 및 상업용 냉동부문의 자체 제조기술과 솔루션을 확보함으로써 높은 설비 효율과 CO₂ 배출량 감소를 실천하고 있다. 냉동, 공조, 히트펌프 등 관련제품의 유통에 힘을 싣고 있으며 주요 공급업체는 도시바, 캐리어, 미쓰비시중공업, 댄포스, 비처 등이다. Beijer Ref는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는 ‘Sustainable temperature control for all(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온도제어)’라는 기업비전에 잘 나타나있다. 특히 선도적인 글로벌 환경기관인 ATMOsphere의 지원을 받아 자연냉매를 사용해 막대한 양의 CO₂를 저감시킬 수 있는 냉난방 관련 OEM 제품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지난 2022년 100만tCO₂의 배출량을 감소시켰다. 이는 승용차 약 75만대가 배출하는 양에 해당된다. OEM을 맡고 있는 SCM FRIGO와 Fenagy는 △CO₂ Smart Booster △CO₂ Industrial Range △Industrial CO₂ Heatpump △CO₂ Heatpump 등을 개발했다. 제품군은 높은 효율과 낮은 가격 및 CO₂ 배출 감소가 특징이며 실험실에서의 장기적인 테스트 과정을 거쳐 안정성을 확보했다. Beijer Ref의 관계자는 “글로벌 냉동시장에서 지속가능한 HVAC-R 솔루션의 선도적인 공급자가 되기 위해 숙련되고 헌신적인 자세로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냉동공조와 관련된 제품을 광범위한 산업에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삶을 질 향상에 기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근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히트펌프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뒤처지지 않도록 보급활성화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에너지전환포럼(공동대표 홍종호, 임성진, 전영환, 박진희)이 지난 7월6일 개최한 ‘에너지효율과 지속가능한 에너지사용을 위한 히트펌프 활성화 방안’ 온라인 세미나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의 히트펌프정책 및 기술현황을 공유하고 가정용·산업용 히트펌프 보급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교류가 이뤄졌다. 이날 세미나는 임성진 에너지전환포럼 공동대표가 좌장을 맡았으며 △히트펌프산업 기술정책현황(강희정 한국냉동공조인증센터 수석연구원) △한국에서의 가정·산업용 히트펌프 도입 한계와 제도개선 방향(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 △유럽의 히트펌프 보급정책 현황과 향후 전망(야나 홉 아고라 에네르기벤데 박사) 등으로 구성됐다. 임성진 에너지전환포럼 공동대표는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에너지절약과 효율은 기본기”라며 “독일, 유럽, 미국 등에서 재생에너지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배경에도 에너지효율향상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련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에너지효율측면에서 특히나 히트펌프의 시장확산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며 “재생에너지 확대가 답보상태인 현재로서는 히트펌프가 앞장서 시장을 열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히트펌프 시장 ‘급성장’ 강희정 냉동공조인증센터 수석연구원은 ‘히트펌프산업, 기술, 정책현황’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히트펌프는 냉매를 압축·기화시키며 저온부 또는 고온부의 열에너지를 고온부 또는 저온부로 이동시켜 냉난방을 수행하는 설비로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팽창밸브, 냉매 등으로 구성된다”라며 “열원으로는 공기열, 수열, 지열 등이 있으며 COP는 정격 표준냉방 3.4, 정격 표준난방 3.8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규제가 전 세계적인 흐름으로 자리잡아 친환경 냉매를 사용하는 히트펌프산업으로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라며 “최근 세계적으로 히트펌프가 급격히 증가하는 이유는 키갈리개정의정서에 따라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냉매를 사용해야 하므로 규제에 부응하는 제품을 생산·보급해야 한다는 규제 측면과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넷제로(Net Zero) 달성을 위해 2050년까지 18억대의 히트펌프 보급로드맵을 제시한 활성화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전 세계 히트펌프 시장규모는 과거 예측치를 뛰어넘고 있다. 2021년 677억달러로 집계됐으며 당시 예측기준으로 연평균성장률(CAGR)은 2030년까지 8.1%로 예상했다. 그러나 현재 기준으로는 예측치를 뛰어넘는 더욱 급격한 성장이 관측된다. 미국은 연평균 10.1%, 중국은 14.9%로 145억달러 이상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다. 유럽도 최근 몇 년 새 폭발적인 성장성을 보인다. 유럽히트펌프협회(EHPA)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약 300만대가 보급됐으며 이는 2021년대비 38% 증가한 것이다. 현재 유럽국가들은 연소기기가 70% 이상인데 이를 20%로 줄이고 히트펌프를 80% 이상 보급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지난해 성장률을 뛰어넘는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측면을 살펴보면 유럽은 2021년 7월 유럽위원회(EC)가 ‘Fit for 55’ 패키지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55% 감축하겠다는 목표로 정책을 시행 중이다. 지난해 5월에는 현재 히트펌프 보급률을 2배 늘려 향후 5년간 누적 1,000만대 이상 보급하겠다는 ‘REPowerEU’ 계획을 발표했다. 히트펌프 종류별로 살펴보면 글로벌 룸에어컨(RAC)과 패키지에어컨(PAC)은 약 1억2,600만대 규모다. 기후영향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시장침체에서 서서히 회복 중이며 중남미시장은 두자릿수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미주, 인도, 동남아 등도 회복세다. 미국은 6.9% 성장률로 분리형 RAC 14%, 창문형 RAC 2.3% 등을 기록했으며 중남미는 10.3%, 유럽은 4.9%, 중국은 2.6%, 아프리카는 3.1%, 일본은 –4.2%를 기록했다. RAC, PAC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냉매트렌드 변화다. 유럽의 냉매쿼터로 인해 기존 HFCs 냉매 중 현재는 주로 R32가 쓰인다. 그러나 R32 냉매 역시 GWP가 670으로 높은 HFC냉매여서 2030년 이후에는 사용할 수 없다. 대체냉매로 일본, 유럽은 R290을 적극 검토 중이지만 인화성이 있는 이소부탄계열이어서 안전관리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냉매와 관련 일본은 10년 전부터 모든 RAC에 R32냉매를 적용했다. 중국도 R32냉매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어 2021년 R32 보급률이 70%에 달한다. 동남아·호주·인도 역시 R32냉매로 전환하고 있으며 브라질, 칠레 등 중남미국가들도 R32로의 전환을 준비 중이다. 급탕기와 같은 공기 대 물 방식(ATW)의 히트펌프는 가스보일러 대체제품으로써 가장 시장성장이 크게 나타난다. 세계적으로 410만대 가량의 시장규모를 이루고 있으며 연간 약 19.3% 성장 중이다. 유럽이 46.1%, 중국 12.6%, 일본 11.6%, 미국 8.8% 등으로 성장률이 높다. 유럽은 현재 약 109만대 시장이지만 10년 후 1,000만대 이상 목표로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포르투칼, 스페인, 영국 등을 중심으로 히트펌프 제품개발 및 출시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가정용 석유·가스보일러를 대체하는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특히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은 상업용 장비에 대한 보조금 지급도 착수했다. 유럽 내에서는 프랑스가 35.5% 점유율을 차지하며 이탈리아, 독일 등 3국이 유럽 전체시장의 63%를 차지한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은 219만대 규모로 집계되는 중국시장이 12.6% 성장했지만 동남아는 히트펌프 수용성이 낮아 ATW에 대한 정책은 도입되지 않은 상태여서 성장성은 불확실하다. 호주는 가장 엄격한 환경규제를 적용해 전기히터 대안으로 ATW와 에코큐트(CO₂ 냉매 사용)온수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은 11만2,000대 시장으로 규모가 작은 편이다. 난방문화 차이로 ATW 히트펌프에 대한 수요가 낮다. 다만 가정용, 상업용, 산업공정 온수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익사업체, 지자체의 ATW 인센티브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법안)에 따라 히트펌프 교체 시 보조금을 주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가정용 온수기시장의 경우 10년 내 800~1,000만대로 수요잠재력이 크며 특히 수영장용 ATW시장 전망이 밝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은 59만대 시장규모를 갖고 있지만 앞선 기술을 기반으로 수출 중심으로 세계시장 진출이 적극적이다. 히트펌프 및 축열기술센터(HPTCJ) 히트펌프 보급을 적극 추진 중이며 2001년 CO₂ 냉매를 적용한 에코큐트기술 상용화 이후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2021년 에너지기본계획 전략을 수정해 2030년까지 1,400만대 보급계획을 1,590만대로 확대해 유럽 ATW시장의 63%를 차지하겠다고 선언했다. 2022년 3월 기준 에코큐트 누적출하량은 801만대에 달한다. VRF(EHP)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208만대 규모이며 연간 15.5%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일본, 한국 등이 세계 3대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전 세계의 약 8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1년 기준으로 살펴보면 중국은 133만대로 20.7% 성장했으며 미니 VRF시장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역시 미니 VRF시장이 급격히 상승 중이며 연간 12% 성장해 7만2,000대 규모로 집계된다. 인도는 고급 주거용 미니 VRF를 중심으로 4만7,000대 규모이며 동남아도 이와 비슷한 4만6,000대 규모로 집계된다. 유럽의 2021년 VRF시장은 전년대비 7.2% 성장했으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호주는 5.1% 성장했으나 2020년대비 수요가 감소했다. 중남미는 민간건설투자 수요가 회복하며 16.6% 성장한 3만2,300대, 중동은 5.7% 성장한 3만3,100대로 집계됐다. 일본은 2.3%, 우리나라는 7.5% 성장해 각각 14만6,000대, 12만4,000대로 나타났다. VRF분야 역시 냉매가 가장 큰 화두다. 현재 VRF용 냉매인 R410A의 대체냉매로 R32, R454B, R466A 등이 후보군을 이루고 있다. 향후 어떤 냉매가 주도권을 확보하는지에 따라 시장의 기술리더가 달라지므로 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본은 R32를 많이 쓰고 있다. 우리나라도 수출용에는 R32를 쓰고 있지만 국내용은 여전히 R410A가 주력냉매다. 미국은 신규 가정용, 소형에어컨에 R452B, R454B, R454C, R457A, R32 등을 사용하고 있다. 유럽은 R32가 PAC, ATW, VRF 등에 널리 적용 중이다. 또한 R290 냉매적용을 검토 중이며 소형 분리형 에어컨, 히트펌프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희정 수석연구원은 “현재 히트펌프는 전 세계 건물 난방수요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라며 “그러나 2030년까지 20%, 2050년까지 55% 이상 수요를 담당해야 글로벌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왜곡된 가스요금 정상화 필요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은 ‘국내 도시가스시장 위기와 히트펌프 관련 제도개선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석광훈 전문위원은 “화석연료 퇴출을 추진하는 방향에서 도시가스를 히트펌프로 전환하는 문제가 자연스럽게 대두되는데 영국의 사례에서 이를 잘 볼 수 있다”라며 “영국은 히트펌프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브리티시가스 등 기존 도시가스사업자들이 시장위축에 반발하며 도시가스에 수소혼소를 통해 난방하겠다는 방안을 주장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한 전기로 히트펌프를 가동할 경우 COP가 훨씬 높아 비교할 수 없는 효율을 보인다는 점이 영국 내에서도 이미 결론이 난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가스산업이 워낙 크기 때문에 계속 쟁점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선진국들이 히트펌프에 상당한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보급을 활성화하려는 것은 에너지효율에 대한 히트펌프의 장점이 극명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은 IRA를 통해 기존 히트펌프를 업그레이드할 경우 최대 2,000달러, 신규로 히트펌프를 설치할 경우 최대 4,000달러, 저소득층의 경우 최대 8,000달러를 지원하고 있으며 주정부 단위의 보조금까지 더하면 실제로 개인은 제로코스트(Zero Cost)로 히트펌프 설치가 가능하다. 유럽 역시 가스보일러, 석유보일러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가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EU는 2028년부터 신축에서 가스보일러를 중단하며 기존건물에서도 폐지를 권고한다. 네덜란드는 이미 2018년부터 신축 가스배관 연결을 금지했으며 2026년부터 히트펌프 설치를 의무화한다. 노르웨이도 2020년부터 기존·신축 등 모든 주택에서 가스 및 석유사용이 금지됐다. 오스트리아, 아일랜드는 올해부터 신규건물 화석연료 보일러 설치가 금지되며 슬로바키아도 올해부터 석유·가스보일러 신규판매 및 설치가 금지됐다. 독일은 2024년부터 사실상 신규 화석연료 보일러가 금지되며 덴마크는 2029년까지 가스보일러 40만대를 지역난방 및 히트펌프로 전환할 계획이다. 석광훈 전문위원은 “우리나라에서 도시가스의 히트펌프로의 전환을 가로막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왜곡된 도시가스 가격”이라며 “우리나라는 도시가스 요금이 올해기준 MJ(메가줄)당 20.7원으로 매우 저렴해 히트펌프와 공정한 경쟁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MJ당 가스요금인 20.7원은 수출국인 미국의 가정용 가스요금인 24원보다도 낮아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왜곡된 요금체계라는 지적이다. 화석연료 사용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가정용 가스요금이 우리나라보다 월등히 비싸다. MJ당 요금이 스웨덴 112원, 네덜란드 110원, 오스트리아 105원, 덴마크 85원, 독일 82원, 프랑스 55원, 영국 51원 등이다. 특히 영국은 지난해 주택용 전기·가스요금 상한을 조정해 전기요금은 kWh당 820원, 가스요금은 MJ당 65원으로 상한을 허용했다. 2022년말 기준 국내요금 121원/kWh, 19.7원/MJ과 비교해 각각 6.8배, 3.3배에 달한다. 석광훈 전문위원은 도시가스 요금인상이 에너지복지 차원에서 저소득층에게 부담이 될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서도 반론을 제기했다. 석광훈 전문위원은 “도시가스 요금을 왜곡하는 방식으로 저소득층에게 혜택을 주겠다는 접근방법은 자연스러운 시장원리를 훼손해 장기적으로 인류발전에 더 기여할 새로운 산업의 등장을 막는다”라며 “선진국은 가스요금체계를 시장원리에 맡기는 대신 저소득층에게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에너지복지를 실현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스요금을 시장가격과 다르도록 왜곡하는 과정에서 지출·보전해야 하는 비용을 없애는 대신 그만큼을 정부재정으로 동원하는 것”이라며 “이러한 방식이 오히려 건강한 산업발전과 신기술 도입을 가로막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극화와 에너지취약계층 문제 해소에도 더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유럽은 도시가스를 인위적으로 할인하지 않고 시장가격을 그대로 반영하는 반면 정부재정을 동원해 100~120조원의 에너지재난지원금을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지급하고 있다.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히트펌프가 가스난방을 빠른 속도로 대체하는 가운데 이를 운영·관리하는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역시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영국, 호주, 일본 등은 변동형 요금제를 도입했으며 30분 단위로 변동하는 소매전기요금에 자동으로 대응해주는 플랫폼을 개발해 적용하기도 한다. 대형히트펌프 도입 역시 주목할만한 분야다. 유럽은 전통적으로 열효율이 높은 지역난방과 열병합발전 보급률이 높다. 그러나 기존의 원전, 열병합발전 등은 유연성이 떨어지는 경직성 전원이므로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유연성이 높은 히트펌프로 열병합발전을 대체할 수 있도록 대형히트펌프가 도입되고 있다. 주로 덴마크, 스웨덴 등 북유럽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산업용 히트펌프의 경우 히트펌프가 공급할 수 있는 열이 높지 않으므로 기존의 산업용보일러 전체를 대체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다만 180℃ 이하 저온부문인 식료품, 화학 등에서는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석광훈 전문위원은 “우리나라의 왜곡된 가스요금 정책은 과거 연탄을 대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지만 이미 도시가스 보급률이 85%로 세계 2위인데다 탈연탄정책의 주요 목적인 일산화탄소 중독사망사고 역시 거의 제로에 가까워 졌다”라며 “과거 유가자유화 이후 국가적 위기를 겪지 않았으며 자동차연비, 에너지효율 등이 발전하는 선순환 기능을 발휘한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에너지요금을 인위적으로 할인하는 것이 복지정책인 것처럼 여겨왔지만 이는 소득역진성이 강한 방식이어서 빈부격차를 더 늘리게 된다”라며 “현재의 도시가스 가격정책은 이미 정책목표를 달성한 만큼 전향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독일 기축건물 HP 보급량, 신축건물 추월 야나 홉(Yanna Hoppe) 독일 아고라 에네르기벤데 연구원은 ‘유럽의 히트펌프 보급정책 현황과 향후 전망(Rolling out heat pumps in Germany and Europe)’을 주제로 발표했다. 야나 홉 연구원은 “독일은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을 지속적으로 감축해 2020년 기준으로 1990년대비 45% 줄였다”라며 “그러나 2045년까지 기후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더욱 빠르게 감축해야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운송, 건물부문에서 감축이 빠르게 일어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독일은 최종에너지소비량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전력부문의 경우 1990년 3.4%에서 2021년 41%로 2035년 100% 목표달성이 가능한 기울기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열에너지의 경우에는 1990년 2~3%대에서 2011년 12.7%로 올라선 이후 2021년까지 16.5% 수준을 달성하는 데 그쳤다. 야나 홉 연구원은 “현재 연정을 구성 중인 사회민주당, 녹색당, 자유당은 2년 전 화석연료기반 보일러의 단계적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많은 반발에 부딪힌 후 초기 규제안이 상당히 후퇴했다”라며 “초안은 신규설치 난방시스템의 경우 최소 65%를 재생에너지원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어서 사실상 석유, 가스보일러의 신규설치를 금지하는 것이었지만 수정 이후 신축건물에 대해서만 적용하며 수소·바이오매스에 예외를 허용하는 것으로 후퇴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몇 년 새 히트펌프의 보급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건물에서 히트펌프 도입 대수가 신축건물의 도입 대수를 추월하는 현상이 관측돼 분위기가 반전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아나 홉 연구원은 “고무적인 것은 지난 10년간 난방부문에는 대부분 천연가스를 사용했으며 석유보일러, 가스보일러가 대부분이었지만 지난 2~3년간 독일시장의 히트펌프 매출규모가 상당히 증가했다”라며 “2022년 23만대가 판매됐으며 히트펌프비중이 지속 상승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2020년 신축건물에 5만4,000대의 히트펌프가 적용됐지만 기존건물에 6만6,000대가 적용되면서 처음으로 기축건물 보급대수가 신축건물을 뛰어넘은 이후 2021년에는 신축 5만5,000대, 기축 9만9,000대로 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라며 “신축은 단열성도 좋고 기술적용 쉬우므로 히트펌프 도입에 더 수월한 측면이 있지만 기존건물의 절대적인 수가 훨씬 크므로 기존건물에의 보급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 과제인 만큼 이러한 현상은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야나 홉 연구원은 “1,000가구당 히트펌프 설치대수를 살펴보면 노르웨이가 517대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스웨덴, 핀란드, 에스토니아, 덴마크, 스위스 등이 뒤를 잇고 있다”라며 “주로 북유럽 국가들인데 외기온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히트펌프설치가 충분히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례여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밝혔다. 이어 “유럽이 히트펌프 보급을 활성화하는 목표치가 10~20% 수준 확대 수준이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90% 이상을 바라보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정책목표를 세우고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를 규정한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며 저소득가구, 노후설비 등에 대한 설비교체 보조금 지급 등 지원책이 폭넓게 적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 대림중학교 화재현장에서 발견된 준불연 단열재가 전소하면서 서울시 교육청이 단열재 성능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전수조사결과를 각 기업에만 개별통보키로 하면서 '밀실행정'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월18일 서울 영등포구 대림중학교 창의관 공사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날 화재는 공사현장 용접작업 중 발생한 불씨로 발생한 것으로 당시 단열재 마감작업을 하던 작업자 1명이 가스에 질식돼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번 사건으로 서울시 교육청은 화재원인을 밝혀내는 과정에서 당시 현장에 설치된 단열재가 전소된 것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 교육청은 현장에 있던 단열재와 바로 옆에 설치됐던 다른 성질의 단열재 등을 현장에서 시편을 채취해 외단열재 관련 시험기관에 시험의뢰를 했다. 또한 대림중 이외에 공사가 진행되고 있던 학교 5곳에 시공되는 외단열재 역시 모두 현장에서 시편 채취를 통해 모두 시험의뢰하는 등 전수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서울시 교육청은 민간 시험기관에 일선 6개 학교 현장에 대한 외단열재 시험의뢰를 요청했다. 이후 시험결과를 각 기업별 통보하는 방식을 통해 이른바 ‘밀실통보’ 방식을 택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결과를 명확하게 밝혀 논란을 불식시켜야 할 의무를 지닌 교육청이 스스로 업무를 방기하겠다는 것이다. 화재 당시 단열재 마감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가스에 중독증세를 보인 점을 감안해 단열재 내 가스방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열방출량 측정과 콘칼로리미터시험 등을 의뢰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장에서 전소됐던 해당 단열재는 화재사고 이후 재시험을 통과해 서울시 교육청의 허가를 받아 현장에 재시공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서 처음 문제가 됐던 단열재기업의 관계자는 “엄격한 교육청의 방침에 따라 사건 이후 시행한 시험에서 일부 문제가 나왔지만 의뢰했던 기관 3곳 중 1곳에서만 융용 기준치가 0.7정도로 나오는 이슈만 문제가 됐다”라며 “이는 기관별로 적용한 기준이나 조건 등이 상이함에 따라 시험기관마다 일관되지 못하게 합격과 불합격 여부가 갈리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문제됐던 단열재가 재시공된 것과 달리 인근에 있던 단열재는 현장 재시공도 이뤄지지 않은 것은 물론 이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고 있어 학습권이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보다 큰 문제는 서울시 교육청이 전수조사를 시행한 결과를 공개 발표하는 것이 아닌 각 기업별 개별통보를 하기로 내부적인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른바 ‘밀실행정’라는 오명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로 인해 문제가 된 단열재 종류와 기업명 등이 추측만을 낳으며 선량한 기업에는 피해를 줄 수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관련업계의 중론이다. 이번 전수조사에 포함된 기업의 관계자는 “우리의 경우 현장에서 즉시 시편을 채취해 3개 기관에 모두 시험의뢰를 했으며 그 결과 열방출률 등에서 안정적인 정상수치가 나왔다”라며 “공공기관이 시험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억울한 상황을 방지하고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결과가 만들어진다”고 지적했다. 단열재, 시행 혼란 여전…관리방안 절실비록 시행된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강화된 단열기준을 통과한 단열재들이 현장에서 품질관리가 올바르게 이뤄지지 않고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고시 2023-0024호 ‘건축자재 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으로 품질인정제가 시행되며 단열재 자체의 난연성능 강화가 강조돼 각 기업들이 난연성을 급하게 충족하다보니 현장에 단열재를 납품받아 관리해야 하는 일선 현장의 책임과 단열재 제조기업 역시 일관된 제품품질 유지에 실패했다는 우려의 시선이 존재한다. 또한 시중 건축용 단열재가 아직 난연성능과 단열성능을 모두 확보하지 못하는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강화된 난연성능기준을 급하게 맞추다보니 단열성을 충족하는 시험용 시편과 난연성을 충족하는 시편을 각기 따로 시험기관에 제출하면서 실제 현장에서 보이는 성능에 있어 난연성과 단열성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하는 불일치성으로 인한 문제가 생긴다는 관련업계의 지적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다시 말해 일부 기업은 시험용과 현장시공용 시편을 형식적으로 시험기관에 제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토부와 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시행하고 있는 건축안전모니터링제도 역시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의문이다. 국토부가 주관하는 건축안전모니터링이 어떤 기준과 방법에 의해 시행되는지 내부적으로만 알려졌을 뿐 실제 내막을 자세히 알기는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국토부가 급하게 시행해온 건축안전모니터링과 단열재의 현실성을 고려한 정책 그리고 현장에서의 관리대책 등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이런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회를 통해 단열재에 대한 세부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지는 현재 밀실통보를 고려하고 있는 서울시 교육청을 상대로 외단열재 시험의뢰 결과를 공개할 것을 요청하는 공개정보청구를 정식으로 신청한 상태다. 단열재는 기본적으로 단가가 낮게 책정되는 기초자재다. 최근 엄격해진 난연성능기준 강화로 인해 시험기관에 막대한 시험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불확실성을 감수하는 기업 입장도 고단한게 사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모든 상황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정하면서 동시에 업계 의견을 청취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절실해 보인다.
데이터 처리 및 저장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새롭게 지어지는 데이터센터(DC)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신규 DC가 수도권에 집중돼 전력수요 분산, 지역균형발전 등을 위해 지방으로 분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KDCEA, 사무국장 송준화)는 7월5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기업재생에너지재단(CREF, 이사장 우태희)과 공동으로 ‘데이터센터 지방분산 활성화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정책포럼은 수도권에 밀집된 DC의 지방분산 필요성을 공유하고 관계부처의 정책방향을 알리기 위해 개최됐다. 또한 분산에너지 확대에 따라 DC 수요자인 데이터센터사업자 입장에서 분산에너지 기반의 DC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실장은 “전국 약 150개 DC에서 소모하는 전력량은 강남구 전체가 소모하는 전기사용량과 맞먹을 정도로 대표적인 전력다소비시설”이라며 “그럼에도 전반적인 전력효율, 제로화 등에 대해서는 다른 시설들에 비해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력은 저장되지 않으며 수요와 공급이 매분, 매초 일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를 연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라며 “호남권역 등 한반도 남부지역에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집중된 상황에서 수도권으로 전력을 끌어올 수 있는 송전선로 여건도 제한적이므로 현재 수도권에 집중된 DC를 지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면 전력사용 효율화와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 실장은 또한 “산업부는 DC 지방분산을 위해 여러 가지 인센티브와 디스인센티브를 발표한 바 있으며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했다”라며 “한전의 전력수전예정통지서를 토대로 살펴보면 현재 40MW급 기준으로 2032년까지 1,200여개가 신청했으나 실제로 집행될 가능성은 20% 남짓”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에 따라 정부는 디스인센티브로서 법·제도적으로 수도권 DC에 전기공급을 제한할 수 있는 근거규정을 마련하고 계통영향평가를 강화토록 하는 한편 지자체는 인센티브로써 송전선로 제약 등을 해소하고 다양한 유치전략을 홍보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이러한 정책과 노력을 토대로 DC가 분산에너지, 수요분산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우태희 CREF 이사장은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준비하면서 전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까지 전력수요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탄소중립 외에도 디지털경제 확대가 전기화를 더욱 촉진하고 있다”라며 “DC는 그 핵심에 있으며 24시간 365일 서버스토리지 가동, 항온항습 유지 등으로 전력소비가 클 수밖에 없는 대표적인 전력다소비시설”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2,500개 이상의 DC가 소비하는 전력이 약 2,000만kWh로 전체 이산화탄소배출량이 약 1억1,000만톤, 총배출량의 0.3%를 차지한다”라며 “물 사용량도 막대해 1일 2만톤을 소비하며 이는 약 500만명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라고 지적했다. 우 이사장은 또한 “국내 DC는 수도권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해 DC입지의 60%, 전력수요의 70%가 수도권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라며 “다행히 지난달 제정된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이 DC의 지방분산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DC의 지역분산은 서버공급기업의 노력만으로는 추진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사고발생 시 즉각 투입할 수 있는 인력 및 인프라가 부족하므로 원격기술 혁신, 지방의 사업환경 조성정책도 함께 추진할 필요가 있다”라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탄소중립과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한발 내딛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DC산업, 지속가능성·ESG 이슈 ‘과제’ 송준화 KDCEA 사무국장은 ‘데이터센터 시장현황 및 지속가능성 향상’을 주제로 이번 정책포럼의 첫 발표자로 나섰다. 송 사무국장은 “DC 지방분산을 이야기할 때 꼭 따라붙는 이야기는 DC의 지속가능성”이라며 “DC를 수도권에 지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지방으로 분산하면 DC가 직면한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데이터센터는 초연결 지능화사회에서 IT서비스 제공 및 이용을 위한 필수 기반시설이다.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IT서비스는 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기업, 정부, 개인 등 모든 사회구성원들에게 필수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AI, 빅데이터 분석, 모빌리티, OTT 서비스 등은 데이터센터 없이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2026년까지 국내 신규 구축예정인 DC는 50개 이상이며 설치용량은 1,000MW 이상에 달한다. 이는 확정된 상업용 프로젝트 기준이며 현재 검토 중인 프로젝트에 더해 매년 새로운 DC가 기획될 전망이다. 상업용 외 DC는 집계하지 않은 수치이므로 실제로는 현재 집계치보다 많은 DC가 구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클라우드시장 성장잠재력이 매우 높은 나라다. 한국 첨단 ICT는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관련 인프라 및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10인 이상 기업의 클라우드 이용률은 23.5%에 불과해 해외에 비해 이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는 글로벌 CSP(Cloud Service Provider)의 시장확대에 유리한 여건임을 의미하므로 앞으로 DC구축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트렌드를 살펴보면 DC는 40MW 이상 규모 하이퍼스케일 DC와 소형 엣지 DC로 이분화돼 추진되고 있다. 보다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집적하기 위해 통상 20MW급 DC보다 대규모의 하이퍼스케일급이 기획되고 있으며 UAM, 자율주행 등 실시간 데이터송수신을 위해 저지연율을 실현하는 엣지 DC의 필요성도 각광받고 있다. DC산업구조는 DCO(Data Center Operator)와 CSP로 구성되며 CSP는 서버소유자(DC Owner)와 서버이용자(DC Tenant)로 나뉜다. DCO는 건물, 전력공급, 냉각시스템, DMS(Data Management System) 등으로 구성되는 인프라로서의 DC를 구축하는 사업자이다. 세계시장에서는 △에퀴닉스(Equinix) △디지털 리얼티(Digital Realty) △액티스(Actis) △DCI △ST텔레미디아(ST Telemedia) △디지털엣지(Digital Edge) △SC제우스(SC Zeus) △엠피리온(Empyrion) △스택(STACK) △원아시아(OneAsia) △케펠(Keppel)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KT △LG U+ △SKB △LG CNS △SK C&C △삼성SDS △KINX △드림마크1(Dreammark1) △DC브릿지(DC Bridge) △이지스(IGIS) △코람코(Koramco) 등이 플레이어로 활동하고 있다. 송준화 사무국장은 “최근 DCO업계의 변화는 신사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건설사, 국내·외 자산운용사들이 DC사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CSP는 DC 내 IT장비를 공급 및 운영하는 사업자다.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IT인프라 등을 구축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직접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IT인프라를 구축하는 CSP DC Owner로는 △네이버 △NHN Cloud △카카오 △KT 등 국내기업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등 해외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IT인프라를 활용해 사용자와의 접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CSP DC Tenant 사업자로는 △네이버 △NHN Cloud △카카오 등 국내기업을 비롯해 △AWS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오라클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DC시장은 2028년까지 약 50개 이상 신규프로젝트가 추진 및 계획 중이며 이러한 프로젝트로 인한 신규투자액은 약 12조원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KDCEA가 집계한 DC수는 2022년 기준 40개에서 2025년 74개로 연평균 1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규모로 보면 2022년 544MW에서 2025년까지 1,850MW 규모로 연평균 36%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 이러한 시장성장에 비해 DC산업은 지속가능성 향상, ESG경영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있다. 이는 곧 에너지효율 개선과 RE100 달성을 의미한다. DC수요와 공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력량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미래사회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DC의 양적성장뿐만 아니라 질적향상도 고려해야 해 전통적 에너지효율 관리방식인 PUE(Power Usage Efficiency) 외에도 CUE(Carbon Usage Efficiency), WUE(Water Usage Efficiency) 등을 고려해 RE100을 달성해야 한다. 2021년 기준 국내 상업용 DC의 연간 전력사용량은 약 4,808GWh로 추정된다. 이는 국내 총발전량 50만9,270GWh의 0.9%이며 총 산업에너지소비량 27만8,660GWh의 약 1.7%를 차지한다. 이를 탄소배출량으로 환산하면 연간 220만8,795tCO₂eq에 달한다. 송준화 사무국장은 “ESG는 기업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 책임을 강화하는 전 세계적 움직임으로 DC의 ESG평가는 센터를 어떻게 관리·운영하는지가 핵심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DC기업은 2015년을 전후로 RE100 이니셔티브 가입 등을 통해 DC 지속가능성 향상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 보고서, ESG 보고서 발간 등을 통해 성과를 적극 홍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례로 에퀴닉스는 2015년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했으며 EU의 REBA(Renewable Energy Buyers Alliance) 창립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2030년까지 운영 중인 모든 DC에 100% 신재생에너지 적용을 추진 중이다. 또한 Digital Realty는 2016년 자사 DC 및 관계사 DC의 RE100 추진을 선언했으며 EN 50600 기술위원회, 재생에너지구매자연합, USGBC 등에 참여해 DC 지속가능성 향상을 추진 중이다. 국내 기업의 경우에도 삼성SDS는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TF를 구성, 2030년까지 온실가스배출량의 30% 절감목표를 세웠다. DC 냉각신기술 도입, 재생에너지 활용 등을 추진 중이다. SK C&C도 그룹차원에서 RE100에 가입했으며 2050년까지 전력사용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할 계획이다. 한전과 녹색프리미엄 계약을 맺어 연간 5.7GWh 분량의 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할 계획이다. KT클라우드 역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7년에 비해 35%를 절감할 계획이며 DC 전력관리에 AI를 적용해 ESG 강화를 추진한다. LG CNS는 ESG 경영목표 수립 및 목표달성을 위해 DC 에너지효율화를 지속추진하고 있으며 네이버, 카카오 등도 신규로 구축하는 DC에 재생에너지이용을 확대함으로써 ESG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송준화 KDCEA 사무국장은 “DC사업자는 자원사용현황 측정 및 평가를 고도화하고 DC특성에 맞는 지표마련 및 재생에너지, 무탄소에너지 등 이용확대를 위한 기술과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며 “또한 정부는 탄소중립 2050 및 에너지·환경정책 수립과정에 기업참여를 확대하며 업계의 능동적 대응을 독려하기 위해 협의체, 이니셔티브를 활성화하고 온실가스 감축실적 인정방안 및 RE100 이행방안 마련 등 중장기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DC 지역균형발전 ‘당근과 채찍’ 박상희 산업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장은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방안’ 발표에서 “4차 산업혁명, 디지털경제 확대로 전력다소비시설인 DC가 급증하면서 수도권 집중도 가속화되고 있다”라며 “지난 4월 기준으로 국내 147개 DC의 전력수요는 1,879MW이며 향후 2032년까지 신규 DC 전력수요는 총 1,224개로 7만7,684MW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현재 DC입지의 60%, 전력수요의 72%가 수도권에 집중됐으며 이 비율은 2032년까지 70%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수도권의 계통 및 전력수급 부담으로 DC의 적기건설에 난항이 예상된다. 2032년까지 수도권에 925개의 신규DC가 신청했지만 이중 4.3%(40개)에만 전력을 적기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수도권에 발전소를 추가공급할 여력도 부족하다. 이 경우 동해안~수도권 구간의 횡축과 영·호남~충청~수도권까지 이어지는 종축으로 장거리 송전망 확충이 필요하다. 그러나 송전망 건설을 위해서는 입지선정, 환경영향평가, 용지확보, 설비건설, 지역갈등 해소 등 절차가 복잡해 사실상 불가능하다. 정부는 수도권에 집중된 DC를 분산해야 국가재난 상황을 회피하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다. 지난 3월21일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으로 전기공급자에게 전력계통에 지나친 부담을 주는 경우 전기공급을 거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지난 6월13일 제정돼 2024년 6월14일 시행될 예정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통해 수도권 등 계통포화 지역 내 신규 데이터센터의 계통파급효과를 평가하고 인근 분산자원을 활용하거나 자가발전기를 설치하는 등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하도록 의무화했다. 이와 함께 오는 7월 중 한국전력의 전기공급 기본약관을 개정해 대규모 전력사용시설인 DC가 변전소 용량을 장기 선점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사용신청 취소 및 전기사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조건을 신설한다. 전기사용계약서 발행일로부터 1년까지 계약을 체결하지 않으면 전기사용신청이 취소되며 한전과 협의한 수급개시일로부터 6개월까지 수급을 개시하지 않으면 전기사용계약이 해지된다. 지역분산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도 시행된다. 정부는 미활용에너지나 잉여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호남 등 재생에너지 과잉공급 지역과 송전선로 건설지연으로 발전소 출력제어가 불가피한 지역으로 DC분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수력발전, 수열, LNG냉열 등을 활용해 데이터센터 냉각에 필요한 전력수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입지지역을 발굴할 예정이다. 특히 강원권은 200MW 규모의 소양강댐을 운영하고 있어 수력발전 자원과 수열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미 수력 및 수열을 활용한 전력공급 및 IDC 공조설비가 운영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지역분산 유도를 위해 규제특례, 보조금 지원 등 맞춤형 패키지를 지원한다. 건폐율·용적률을 완화하고 인허가를 간소화하는 행정지원이 제공된다. 또한 산업부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을 재원으로 지방투자기업에 설비보조금 3~24%, 입지보조금 9~50%를 지원할 계획이다. 각 지자체가 운영 중인 인센티브와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분산을 보다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업들의 의사결정을 돕는 시스템 마련도 추진한다. 산업부는 DC 입지컨설팅 지원센터를 구축·운영할 예정이다. 한전 15개 지역본부별 전담지원창구를 마련해 부담금 할인 등 인센티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전력계통에 여유가 있는 지역을 안내하는 등 컨설팅할 계획이다. 또한 전력여유 정보화시스템을 고도화 한다. 실제 전력 수요자들이 부지선정 의사결정에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현재 시·군·구 단위로 제공하고 있는 계통 및 변전소 정보를 읍·면·동으로 구체화 할 계획이며 345kV 단위의 전력용량을 154kV 단위로 세분화에 여유지역 정보를 보다 세분화할 예정이다. 지방DC, 재생E 확보 ‘경쟁력’ 이준신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국내 에너지전환 및 지역균형발전 관련 정책 활성화 방안’ 주제의 발표에서 “현 정부는 무탄소 전원 등 실현가능하고 균형잡힌 에너지믹스를 활용해 국가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고 수급을 안정화하겠다는 것이 목표”라며 “기후변화 대응, NDC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는 지속 확대하는 한편 기저발전원으로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원전운영은 지속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에너지원의 가격동향을 살펴보면 재생에너지 생산단가가 지속 하락하고 있다. 신규 유틸리티의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균등화 비용은 육상 및 해상풍력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 집광형 태양열 발전비용이 지난 10년간 급격히 하락했다. MWh당 태양광은 378달러에서 68달러로, 태양열은 346달러에서 182달러로, 해상풍력은 161달러에서 115달러로, 육상풍력은 86달러에서 53달러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화석연료 발전비용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신규투자도 활발하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석탄은 83GW에서 13GW로, 천연가스는 52GW에서 39GW로 감소한 반면 풍력은 45GW에서 90GW로, 태양광은 32GW에서 182GW로 증가했다. 이는 재생에너지가 경제성을 이미 확보했으며 투자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장기적으로도 경제성이 더욱 증가할 것임을 의미한다. DC의 지방분산을 위해서는 분산에너지를 기반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호주는 주민과 이익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해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호주 New South Wales주는 3GW 규모의 PV를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전력을 100% 이상 확보하겠다는 목표 아래 주정부차원에서 계통연계를 지원하는 한편 지역과 수익을 공유하는 상생형 개발을 추진했다. 미국 버지니아주는 기존 농공업 중심산업에서 글로벌 최대 DC산업도시로 전환한 성공사례다. 첨단 IT기업 및 고급기술인력 유입으로 지역소비가 활성화됐으며 안정적인 세수확보도 가능했다. 여기에는 파격적인 인센티브 프로그램과 재생에너지 공급전략이 빅테크 기업을 유치할 수 있었던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버지니아주는 태양광 16.1GW, 풍력 5.2GW 등 재생에너지 21.3GW를 공급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지자체의 재생에너지 구축이 활발하다. 전남 ‘솔라시도’의 경우 부동지구 등 염해 간척지에 태양광 0.7~1GW규모의 발전단지 구축을 추진하며 초송·산이지구 등에도 태양광으로 1.6~2GW 규모의 발전단지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RE100 기업을 유치해 300MW 규모의 재생에너지 수요가 예정돼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생에너지를 제대로 활용할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재생에너지 수용한계 초과로 출력제어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계통 불안정도 발생하는 상황이다. 최대수요전력이 400~500MW 수준인 봄·가을철에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계통 수용용량보다 높아 출력제어가 시행되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다. 제주도의 경우 재생에너지 공급과잉으로 2015년 최초로 출력제어가 시행된 후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2015년 3회였던 출력제한 횟수는 지속 증가해 2020년 77회로 늘었으며 2021년 5월 기준 55회가 기록됐다. 수요지역과 공급지역의 불균형을 장거리 계통송전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도 비효율적인 방안으로 평가된다. 서울과 강원도를 잇는 송전선로를 건설하려면 2조원 이상을 10년에 걸쳐 지출해야 한다. 게다가 태양광발전은 송전 중 85%는 이송되지 못하고 손실되며 태양광 및 연료전지발전은 교류로 변전이 필요해 변전과정에서 추가로 5% 손실이 발생한다. 풍력도 간헐성이 존재해 변환효율이 30% 내외이며 장거리 송전 시 이용률이 다른 발전원에 비해 낮다. 결국 재생에너지는 분산형으로 지역에서 소비하는 방안이 최적이다. 이준신 성균관대 교수는 “EU, 미국 등 선진국은 재생에너지를 촉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상황이 반대”라며 “재생에너지 기반의 지역균형발전은 기존의 보급중심 체계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출 수 있으며 다양한 에너지원의 진입이 가능해 전력계통을 안정화할 수 있는 기술확보 역시 가능해진다”라며 “이를 위해 지역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지역에서 소비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새로운 전력거래 방식을 마련해 신시장을 창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도권 DC, 안정적 전력공급 ‘불가능’ 김종민 한국전력 수요전략처장은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현황 및 지방분산 지원방안’ 발표에서 “지역별 수급 불균형에 따라 수도권으로 융통해야 하는 전력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송전선로 제약으로 저원가 발전기 대신 고원가 발전기를 운전해야 해 전력구입비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DC는 △경기에 56.3% △인천에 13.1% △서울에 6.3%가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 1.6% △충북 2.2% △대전·충남 6.8% △대구·경북 2% △전북 0.5% △부산·울산·경남 10.1% △광주·전남 1.4% 등으로 집계된다. 전국 147개 DC 중 수도권에 88건으로 총 60%를 차지한다. 이러한 DC의 수도권 집중현상은 당분간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지난 4월 기준 전기사용신청 건수는 110건으로 이중 수도권이 83건으로 75%를 차지한다. 전력수전예정통지건수도 전국 1,224건 가운데 수도권이 925건으로 76%에 달한다. 그러나 더 이상 수도권 DC들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은 강원도, 전라도 등 지방에 비해 송변전 전력계통 인프라에 여유가 없는 상황이다. 전체 전력수전예정통지 1,224건 중 공급방안 검토결과 각 DC가 신청한 희망일에 공급가능한 건은 161건으로 13.2%에 불과하다. 수도권은 925건 중 40건만 적기공급이 가능해 4.3%에 그친다. 한전은 DC 지방분산을 통해 지역별 수급불균형 최소화를 추진 중이다. 먼저 비수도권 전기사용 신청 시 전기공사비 또는 요금을 할인하는 인센티브를 추진한다. 비수도권이면서 계통공급 여유지역에서 단독 공급받는 DC가 22.9kV를 공급받는다면 설계부담금의 50%를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한다. 154kV를 공급받는다면 예비전력 요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 40MW 기준으로 약 22억8,0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60MW 기준으로 연간 1억6,0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대용량 시설에 전기공급을 거부할 수 있는 조항을 명시하고 전력계통영향평가를 도입하는 패널티를 도입한다. 5MW 이상 대용량사업장 대상으로 전력계통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전기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전기공급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사용신청 시 전력계통영향평가서를 제출토록 해 대규모 전기사용시설에 대한 파급효과 평가를 전기공급 우선순위에 반영할 예정이다. 지방DC 유치, 네트워크·인력·운영비 등 지원해야 조헌혁 ICT 민간기업 데이터센터사업단장(LG CNS)은 ‘지방분산정책에 따른 민간사업 추진방향’ 발표를 통해 “LG CNS 부산 클라우드 센터는 국내 최초로 지방에 건립된 전용 DC”라며 “항공사진으로 보면 사막 위에 하얀 건물이 홀로 서있는 것처럼 국내 최초 지방DC를 건립하는 과정에서 만난 다양한 장애물을 외롭게 극복했다”고 토로했다. 먼저 지방에 DC를 건립할 때 네트워크망 확보 문제가 있다. 해외 네트워크는 해저케이블이 부산을 통해 들어오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엔드유저는 주로 서울에 있다. 이에 따라 부산에는 네트워크사업자들이 없어 네트워크망 구축에 사업자들의 부담이 큰 상황이다. 또한 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문인력 확보가 불리한 환경이다. DC는 건축도 중요하지만 건축 후 35년 이상 운영되는 시설로서 이를 위해 전문인력인 엔지니어 확보가 필수적이다. 40MW규모 DC를 운영할 때 통상 50~60man/month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방으로 갈수록 정주여건과 생활인프라가 수도권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어서 부산 클라우드센터의 경우 이직률이 20%에 달한다. DC가 많아지고 수도권에 집중되는 상황에서 지방에 머무르고자 하는 엔지니어수가 적어지는 만큼 이들이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이 크다. 이와 함께 DC가 입주할 수 있는 차별화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됐다. DC사업자들에게 가장 소구가 큰 조건은 운영비용의 절감이다. 특히 DC 운영비의 50% 이상을 자원, 에너지 등 수도광열비가 차지하는 만큼 이에 대한 정책마련이 시급하다. 조헌혁 단장은 “최근 정부의 지원정책들은 대부분 Capex(Capital Expenditure: 자본지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전체 공사비 1조원 이상인 DC프로젝트에서 몇억~몇백억원 규모로 지원하는 것은 효과가 미미하다”라며 “DC운영 사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은 Opex(Operating Expenditure: 운영지출)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남, DC산업진흥조례 제정 김종갑 전라남도 전략사업국장은 ‘지방정부 데이터센터 유치 추진현황 및 사례발표’를 통해 “전남은 2021년 기준으로 전국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용량 중 4,506.8MW로 19%를 차지하며 재생에너지발전량도 5,516.7GWh로 15.5%를 차지해 모든 지자체 중 가장 많다”라며 “낮은 PUE로 운영할 수 있는 그린데이터센터는 재생에너지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지속가능성 및 ESG실현에 최적인 지자체”라고 강조했다. 전남은 권역별로 글로벌 DC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중부권 장성·나주지역에는 AI, 전력반도체, 에너지밸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을 유치하며 동부권 순천·광양 지역에는 NHN클라우드, KT클라우드 등이 들어선다. 서부권은 해남 솔라시도가 있으며 RE100과 재생에너지에 특화돼 TGK등 글로벌기업을 유치한다. 유치기업 사례를 살펴보면 장성 카카오엔터프라이즈 DC는 △파인앤파트너스자산운용 △KB증권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4,900억원을 2026년까지 투자해 장성군 첨단3지구 내 3만3,058㎡ 규모로 40MW급으로 건립된다. 순천 NHN클라우드 DC는 NHN클라우드가 순천 도시첨단산단에 3,000억원을 2026년까지 투자해 건립된다. 광양 KT클라우드 DC는 KT클라우드가 광양시 황금산단에 7,000억원을 2026년까지 투자하는 프로젝트다. 해남 TGK클라우드 DC는 △TGK △다이오스벤처스 △EIP자산운용 등이 해남 기업도시 내 24만7,930㎡ 부지에 2조6,000억원을 2030년까지 투자해 RE100 DC 5기 총 200MW급으로 건설하는 대규모 DC다. 해남 솔라시도에 들어서는 DC Park도 TGK가 투자하는 프로젝트다. 솔라시도 산업용지 중 약 30만평(약 99만1,735㎡)에 10조원을 투자해 40MW급 25동 등 총 1GW(1T) 용량의 DC를 2030년까지 구축한다. 또한 DC와 연계한 융·복합 사업모델을 개발하는 것 역시 DC를 유치하기 위한 전남의 핵심전략이다. DC의 온배수 폐열을 활용한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을 추진하며 재생에너지 생산자와 DC간 전력을 직거래할 수 있는 PPA 플랫폼 구축을 지원한다. 김종갑 국장은 “수도권 이전기업, 산단 입주기업, 지방중소기업 등 유형별로 법인세, 소득세, 재산세 등을 면제하거나 감면하는 세제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다”라며 “특히 전남은 RE100 실현을 위한 기반시설을 일부 지원하고 RE100 전력구매 요금의 일부를 지원하는 한편 원활한 용수공급을 위해 관로를 연결하는 등 다양한 지원이 가능토록 DC산업 진흥 조례를 제정한 만큼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므로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강조했다. 재생E 확대 추세, 계통문제 ‘심화’ 이호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이번 정책포럼의 모든 발표가 이뤄진 후 총평에서 “지금까지는 피크 때 전력공급에 대한 부분이 문제였다면 앞으로는 전력계통의 문제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비중이 점점 높아져 갈수록, 경직성 전원의 비율과 변동성 전기의 비율이 점차적으로 높아질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대규모 발전기업,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대부분 바닷가에 분포해 있는 반면 전력수요는 수도권에 집중된다”라며 “과거에 유효했던 규모의 경제 효율성은 전력측면에서 보면 이제 힘을 잃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호연 전력정책관은 또한 “앞으로 전력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지 않으면 우리나라 전력망이 경제성장을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라며 “DC를 지역으로 분산할 수 있다면 상당히 안정적인 전력개통 운영이 가능할 것이므로 DC사업에 유리한 인프라 구축, 인센티브 개발 등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가 주최하고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회장 강성희)가 주관하는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eating,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 Fluid exhibition Korea: HARFKO 2024)’이 2024년 9월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경기도 고양시 KINTEX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냉동공조산업협회는 국내외 냉난방공조업계의 최대 축제인 HARFKO 2024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최근 전시회 일정을 확정하고 참가업체 모집과 전시회 홍보에 적극 나서는 등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대한민국 대표 HVAC&R 전문전시회 35년 역사를 자랑하는 대한민국 대표 HVAC&R 전문전시회인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4)은 ‘HVAC&R 냉난방공조 기술융합 미래의 큰 길’이라는 주제 아래 대한민국 최대 규모로 개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HARFKO 2024는 전시회 주제에 걸맞게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ICT융복합기술과 친환경 기술 및 최신 솔루션이 대거 선보이며 HVAC&R분야 혁신과 새로운 트렌드를 생생하게 느껴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HARFKO는 지난 1989년 제1회 전시회를 시작으로 양적·질적 성장을 거듭하며 아시아를 대표하는 실질적인 비즈니스의 장이자 국내외 신시장 개척 및 제품 홍보를 위한 최적의 무대로 자리매김해왔다. 그 결과 AHR EXPO(미국), 중국제냉전(중국), Chillventa(독일) 등와 함께 세계 4대 냉난방공조 전문전시회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국제전시회 인증 획득 및 산업통상자원부 유망전시회로 매회 선정되는 세계적인 수준의 규모와 수준을 자랑하는 국내 유일의 냉난방공조 전문전시회다. 냉난방공조분야 새로운 미래 비전을 제시할 이번 ‘HARFKO 2024’에서는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맞아 한국, 중국, 일본, 캐나다, 미국, 이탈리아 등 총 23여개국 230여개사에서 1,000부스 규모, 2만4,000여명의 참관객이 전시회를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시회를 주관하는 냉동공조산업협회의 관계자는 “협회부설 ‘한국공기과학시험연구원’과 함께 공조시스템 성능고도화, 국제 공인성 확보로 참가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문화된 풍성한 볼거리 및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며 “냉난방공조 관련업체들과의 협력 및 이미지 제고, 마케팅 강화가 기대되는 이번 전시회는 급변하는 HVAC&R분야 산업환경 변화를 확인하고 대비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H2MEET·K-BATTERY SHOW와 동시 개최 HARFKO 2024는 한국자동차협회가 주관하는 세계 최초, 국내 최대 수소산업 전문전시회인 ‘H2MEET’와 한국이앤엑스가 주관하는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분야 전시회인 ‘K-BATTERY SHOW’와 함께 동시 개최될 예정이다. KINTEX 제1전시장 전관(5만3,541㎡)을 사용해 3개 전시회가 함께 개최됨에 따라 이들 전시회와의 공동 홍보를 통해 바이어 유치에 모든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전체 참관객이 늘어나는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냉동공조산업협회의 관계자는 “최근 국내외 선도업체들은 산업간 기술융합을 통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는 추세”라며 “HARFKO 2024와 동시 개최 예정인 H2MEET 2024와 K-BATTERY SHOW 2024 전시회를 통해 IoT, 빅데이터 등 ICT 등 다양한 기술들의 획기적인 진보와 함께 빠르게 변화되는 냉난방공조산업과 다변화하는 이차전지 및 수소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 자리에서 직접 접하고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기신청 할인 혜택 제공 HARFKO 2024는 2024년 8월31일까지 전시회 홈페이지(www.harfko.com)를 통해 참가 신청을 받는다. 조기 신청기업에게는 1부스당 최고 52만원 할인혜택이 주어진다. 조기신청 할인혜택은 시기별로 2차에 나눠 진행되며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harfko.com)를 확인하면 된다. 부스장치는 참가기업 만족도 제고를 위해 기본형, 프리미엄형 일반, 프리미엄형 고급 A·B 등 4가지 형태로 제공되며 각 기업별 예산에 따라 원하는 형태 및 색깔의 부스를 선택할 수 있다. 참가문의 김윤경 냉동공조산업협회 부장(Tel. 02-2193-4323, E-mail. harfko@ref.or.kr)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와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이상훈)은 6월26일 서울 강남에 위치한 더 리버사이드호텔 몽블랑홀에서 제2회 녹색건축 미래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김연희 국토교통부 녹색건축과장, 송두삼 그린리모델링얼라이언스 위원장, 김민수 국토안전관리원 그린리모델링창조센터 센터장 등 국토부, 운영기관(KEA), 인증기관 및 유관기관 등 관계자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녹색건축분야 미래성장동력 발굴 필요에 따라 1기 신도시 재건축, 리모델링 이슈와 건축물 에너지성능 확보를 위해 녹색건축조성지원법 상 녹색건축물 수준으로 유도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공감대를 유도했다. 이에 따라 △고효율 건축물 활성화 방안 △기존 건축물 현황 진단 및 에너지성능평가 방안 △국제사회와의 성능평가 기준 점검 등을 통한 시사점 분석 등의 주제로 진행됐다. 김연희 국토부 과장은 인사말을 통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할당된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면 기존 감축 수단 이외 새롭게 보다 지속가능한 정책 발굴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단순히 건축물을 짓고 사용하는 단계에서 범위를 확장해 전 세계주의 관점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해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린리모델링 얼라이언스위원장인 송두삼 성균관대 교수는 격려사를 통해 “오늘 새로운 주제 발굴을 위해 녹색건축 미래포럼과 연동할 것”이라며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일환으로 진행하고 있는 그린리모델링도 지금보다 큰 규모로 진행했으면 하는데 탄소감축을 위해 기존 건물의 절반 정도는 그린리모델링으로 진행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 경우 1년에 한 15조원 가량 비용이 투입된다고 산출된다”라며 “쉽지는 않겠지만 꺾이지 않은 마음으로 모두가 합심해서 탄소중립 달성을 이뤄낼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강조했다. 건축물 E효율평가체계 확대 필요김진호 한국에너지공단 센터장은 ‘재건축 리모델링 활성화에 따른 고효율 건축물 보급확산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내용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현황 △기축건축물 평가를 위한 고려사항 △기축건축물 녹색건축화 예상 효과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필요 노력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및 제로에너지인증에 따라 기축 건축물이 성능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신축 건축물 수준의 평가 서류가 있는 경우에 한해 평가가 가능하다. 건축물 연도별 노후화에 따른 단열 및 설비효율과 설계변경 등을 고려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김진호 센터장은 기축 건물을 평가하기 위해 3단계 성능판별 방식을 제도로 확장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설계도서 유‧무에 따라 건축물 외피 단열성능 인증 체계 △건축물 실태조사 및 상시 측정 가능한 초음파 측정을 통해 외피 단열재 두께 확인 및 현장 외피 열관류율을 추정 △건축물 측정이 제한적이나 상세 측정이 가능한 방식 도입해 현장기반 외피 열관류율을 도출 등의 고민이 필요하다. 기축건축물 녹색건축화 예상효과의 경우 공공부문에서는 노유자시설 및 의료시설 기준 2018년부터 2030년까지 예상되는 총 착공면적은 1,004만3,600m², 용적률 300%로 가정했다. 이때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1차 에너지감축량이 평균 540kWh/m²‧yr(7등급→1++등급)이 될 경우 탄소 절감량은 2,700만톤 저감이 예상된다. 민간부문 그린리모델링사업 대상인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에서 예상되는 총 착공면적 기준 912만m², 용적률 300%로 감안했다. 이때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1차 에너지감축량이 평균 325kWh/m²‧yr(7등급→1++등급)이 되면 탄소 절감량은 142만톤이 저감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진호 센터장은 “적용가능한 평가체계 확대가 필요하다”라며 “△평가 인정 범위 확대(Ageband, 에너지사용량 기준) △현장평가 인정 방안(열화상, 기밀, 초음파 등) △다양한 평가 방식 인정(시간부하계산법 등) 등이 갖춰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녹색건축화 대상 확대가 요구된다”라며 “GDP의 3% 이상에 해당하는 녹색건축화 기금 확대 필요와 업무, 교육 등 대상시설 확대 등이 확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GR 대상 확대‧E효율 관리 혁신 R&D 등 필요조가영 서울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기존 건축물 현황 진단과 에너지성능평가 방안’이라는 주제를 통해 △기존 건축물 에너지현황 진단 △기존 건축물 에너지성능평가 △건물부문 정책지원 방안 및 파급 효과 등을 발표했다. 특히 건물 에너지성능평가 연구동향을 통해 해외 국가의 경우 에너지사용량 DB와 세분화된 에너지성능인자 기반 학습모델을 통해 사용량 기반 평가도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에너지사용량을 기반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성능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한편 보다 세분화된 에너지성능인자와 사용량을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는 DB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 건물부문 정책지원 방안 및 파급효과와 관련 사회, 기술, 경제 등 각 분야별 기대효과도 눈길을 끌었다. 사회적 기대효과는 △노후 건축물 에너지성능 및 노후화 진단 평가 도구로 활용 △제로에너지건축물 확산을 위한 자발적 유도 △건물부문 탄소중립 이행에 기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기술적 기대효과로는 △사용행태 정보 반영으로 건축물 진단 및 에너지사용량 예측 정확성 증가 △입력 인자 최소화로 비전문가도 신속하게 건축물 진단 및 성능평가 가능 기술 △수집된 건축물 데이터 연계를 통해 통합화 개발 추진 가능 등이 언급됐다. 경제적 기대효과는 △고도기술 없이 노후화 진단 및 성능평가 업무수행이 가능해 진단 비용 감소 △프로세스를 최대한 간소화해 공공건축물 에너지진단 수행 경제성 향상 등이 강조됐다. 조가영 수석연구원은 기존건축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추진 시 △총량제와 연계한 노후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로드맵 마련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사업 지원 대상 확대 및 의무화 단계적 추진 △민간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확산 등을 주문했다. 또한 건물 에너지사용효율 향상을 위해 △건물 에너지사용설비 관리시스템 효율혁신 R&D 시행 △건물 에너지효율평가 관리 기반 강화 및 효율 개선 유도 △공공부문 선도적 온실가스 감축 강화 등을 꼽았다. 탄소배출량‧1차 E소요량 대응 근거 마련 필요박성중 패시브제로연구소 부소장은 ‘한국의 건물부문 탄소발생량 산정방식과 국제기준과의 GAP 분석을 통한 시사점 분석’을 주제로 발표했다. 국제기준 1차에너지소요량 계산과 관련해 에너지 환산 계수는 평가 경계를 통해 에너지 수요‧‧공급 등에 대해 정의했다. 이 경우 수요‧공급 에너지의 출처와 목적지를 고려했다. 대지 내 또는 지역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의 경우 관련 EPB 기준에 따라 환산계수가 적용된다. 온실가스 배출계수는 kWh당 CO₂ 배출량(kg)으로 표시돼야 하며 메탄, 수증기 등과 같은 기타 온실가스 배출 등가 배출량도 포함 할 수 있다. 환산계수는 총발열량 또는 순발열량 참조 시 일관성있게 적용된다.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와 관련돼 모든 CO₂ 배출량이 포함돼야 한다. 국제 기준과 비교 시 국내 1차에너지계산과 탄소배출량 산정시 태양광(PV)에 대해 상당한 혜택이 제공된다. 지역난방의 경우 국제 기준 대비 2배 이상 효과로 산정되고 있다. 박성중 부소장은 “국제 기준과 비교 시 국내 지열 시스템은 1차 에너지 계산 시 매우 불리하게 적용되며 국내 건물에너지 계산 시에는 탄소배출계수 작성이 필요하다”라며 “향후 국제적 기준에서의 탄소배출량 및 1차 에너지 소요량 계산에 대한 대응을 위해 명확한 근거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건물부문 탄소중립, 자재생산단계 중요김재문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이사는 ‘건축물 생애주기 단계별 환경영향(온실가스 포함) 및 EPD 자재를 통한 감축 가능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신축 건축물 제로에너지빌딩 수준 성능 기준 강화와 노후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확대가 정책으로 강화되고 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위해 운영단계 에너지절감만으로 감축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다고 다수의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건물 전생애주기 관점에서 자재생산단계의 내재탄소 감축 가능성을 대안으로 건물부문의 추가적인 탄소감축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EPD 자재 적용에 따른 내재탄소 감축 가능성 분석과 관련 대체 자재를 성정, 대체, 적용해 자재생산단계의 내재탄소 감축 가능성을 분석했다. 대체 자재는 국가 LCI DB 외에 기업에서 자발적으로 환경성적표지 인증이나 저탄소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선정, 적용해 2차 건축물 전과정평가를 실시했다. 대체 자재 적용에 따라 주요 환경영향요소의 영향은 GWP(온실가스) 감축은 11.96%, ODP는 38.9%, ADP는 13.2%로 높은 감축 잠재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자재를 통한 환경영향 감축 가능성 입증 △EPD 자재 활성화 중요성 △건물 LCA 관점의 설계 필요성 확인 등의 결과를 도출했다. 김재문 이사는 “분석결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위해 자재생산단계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라며 “다양한 자재의 자발적인 EPD 인증 필요성(콘크리트, 시멘트, 철근, 단열재 등 한정) 및 설계자 인식 확대 △건물에너지 감축 정책과 함께 건물 전과정평가의 활성화, LCI-DB 및 EPD 적용 확대 △GR-LCA 연계 실증적 사례 분석을 통해 GR-LCA 융합정책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기열을 재생에너지에 포함할 지에 대한 정책간담회가 열려 찬반 논란이 뜨거웠다.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6월28일 국회의원회관 7간담회실에서 ‘공기열 재생에너지 포함 선택권 확대’를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4월 송 의원이 발의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당시 개정안에 따르면 광역자치단체 조례를 통해 지역별 기후환경과 신재생에너지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공기열’을 재생에너지로 포함시키는 것이 핵심이었다. 송 의원은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나라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따라 2030년까지 2018년대비 40%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라며 “발전·수송·건축·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면 신재생열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기존 에너지산업과 상호 보완하는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사례를 보면 이미 2009년부터 지열히트펌프를 포함한 지열, 수열, 공기열 등 다양한 자연온도차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분류해 지원제도를 마련해 관련기술 개발과 활용을 촉진해 왔다”라며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지열, 수열, 폐열 등 제한적으로만 재생열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나라는 열에너지이용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의 40%를 차지하며 발전, 수송, 건물,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면 지열, 수열, 공기열, 태양열 등 가릴 것이 아니라 모든 재생열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상호 보완한다는 인식이 새로이 필요하다”라며 “다양한 재생열원이 히트펌프기술과 결합하면 단순히 에너지를 변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에너지절감시스템이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재생에너지 과잉공급으로 발생하는 출력제한의 문제점을 완화시켜 신재생에너지 수용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 에너지수입을 낮춰 탄소중립을 한걸음 더 나아가는 길을 열 것”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재생에너지원 다양화가 각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에 가져올 기대효과는 물론 각 산업부문에서 보완해야 할 점까지 심도있게 논의되길 기대한다”고 간담회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국내외 공기열 정책 동향 및 재생에너지지정 효과(송재형 테라플랫폼 본부장) △국내 공기열 히트펌프산업 현황(권혁중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 연구위원)의 발제가 이어졌다. 공기열 신재생 지정 시 긍정적 영향 커 테라플랫폼은 수행 중인 ‘고성능 공기열원 히트펌프의 섹터커플링효과 분석 및 신재생에너지 인정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수행 중이다. 2021년 기준 전 세계 최종에너지소비는 전기 20%, 수송 30%, 열 50%로 열분야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에너지관련 탄소(CO₂)배출량의 약 39%를 차지하고 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화석연료 사용 감축수단으로 지열, 수열, 공기열 등 활용 히트펌프 확대가 전망된다. 국내에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건물부문 내 배출량의 60%를 차지하는 가정부문의 배출량 감축이 필요하며 가정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용도는 난방분야다. 송 본부장은 “난방에 사용되는 화석연료가 온실가스 배출의 핵심으로 볼 수 있어 감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라며 “가정부문 내 난방에너지소비비중은 2020년 65%로 추정되며 국내 주택의 80% 이상은 화석연료, 15.1%는 지역난방 순으로 보급돼 있다”고 지적했다. 송 본부장은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는 공기열을 재생에너지로 불인정하고 있으며 탄소중립을 위한 열분야 에너지효율 향상 설비로 표현하고 있다”라며 “다만 일부 EU, 일본 등에서는 재생에너지로 분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공기열 히트펌프 보급동향을 보면 유럽을 중심으로 히트펌프보급에 대한 정책적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히트펌프보급 규모는 2021년대비 2030년 3배, 2050년 6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은 2030년 2022년대비 3,000만대 히트펌프 추가설치를, 독일은 2024년 매년 50만대 설치로 2030년 600만대 재고 목표를 세웠다. 영국은 2028년까지 매년 60만대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송 본부장은 “전 세계 히트펌프시장은 2021년 532억달러 수준으로 연평균 9.5% 성장해 2026년 835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며 “IEA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히트펌프판매는 전년대비 13% 증가했으며 이중 공기열 히트펌프가 판매의 대부분을 차지해 2021년 전체 약 60%의 시장점유율 차지했다”고 강조했다. 공기열 히트펌프 확대방안으로 R&D 확대, 초기설치비 절감 등 다양한 조치가 필요하며 히트펌프 보급을 통해 에너지비용 절감 및 일자리 창출 등 기대효과를 위해 △국내 재생에너지원 인정을 통한 보급사업 확대 △건물냉난방설비 효율화 등 에너지비용 절감 수요 발굴·지원 확대 추진 등을 제안했다. 송 본부장은 ‘공기열 히트펌프가 타에너지원(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단기적으로 100RT 이하 시장에 일부 매출 감소 등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나 도시건축물 및 주택 등 시장접근이 불가한 사업영역은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100RT 이상 시장에서 경쟁구도로 인한 일부 매출감소 등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나 히트펌프시장 확대 시 시공특성을 고려하면 상호보완적 관계로 성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도시가스 및 바이오매스분야는 EHP 난방도입 시 연료공급 감소로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나 일부 GHP대체 보급 시 보완재로서 시장에 큰 영향은 없다”라며 “가정용 가스보일러 등 난방기기업체의 매출감소 등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나 산업용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덧붙였다. 특히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분야는 EHP 난방부하 전동화로 전력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증가 등 오히려 긍정적 영향이 예상된다”라며 “ESS와 연계한 섹터커플링 등 전력유연성 확보시장에 긍정적이며 건설 및 난방기기 등 연관산업분야에는 큰 영향이 없다”고 강조했다. 냉동공조산업, 무역수지 32억달러 흑자 권혁중 냉동공조산업협회 연구위원은 ‘국내 공기열 히트펌프산업 현황’을 발표하며 국내 냉동공조산업 위상에 대해 설명했다.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냉동공조산업은 2022년 기준 생산 약 11조원, 내수 7조1,000억원, 수출 60억2,000만달러, 수입 28억1,000만달러로 세계 시장점유율 2.5%대로 세계 4위 생산국이다. 국가 순으로는 중국, 미국, 일본에 이어 4위에 위치해 있으나 선두그룹에서 크게 떨어진 2위 그룹에 포함돼 있다. 2위 그룹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이며 우리나라를 제외한 나머지 3국은 넓은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냉동공조산업은 국내 제조업의 0.9%, 일반기계산업의 11.1%, 약 810개 사업체와 약 2만9,000여명이 종사하고 있다. 무역수지는 2022년 약 32억달러 흑자를 달성하고 있으나 대부분 대기업(LG·삼성 95% 이상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은 5%에 불과한 실정이다. 콜드체인산업은 식품 안정성, 백신 등 이슈로 인해 냉동공조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8%에서 12%까지 성장했다. 권 위원은 “냉동공조산업 수출은 2009년 최저치로 급락한 이후 2011년부터 대부분의 수출권역에서 반등하기 시작해 2014~2018년 정점을 지나 소폭하락을 지속하고 있다”라며 “수출변동폭이 비교적 적고 규모가 커 단기적인 문제는 없지만 장기적으로 비교우위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해 기술단계별 수출시장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친환경 대체냉매(HFO 계열)를 적용한 공기조절기 및 냉방기, 냉동공조기기를 개발하고 키갈리의정서에 따른 각국의 냉매 전폐일정에 따라 권역별로 수출품목을 선택과 집중, 다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위원은 냉동공조산업 발전 장기과제로 △저GWP제품의 조달우선구매제도 도입 △자연냉매 및 저GWP 제품 보급 보조금 지급 △대형 냉동기 CO₂ 등 자연냉매제품 개발 지원 △중소기업 저GWP 냉매사용장비 개발 지원 등을 제시했다. 공기열 신재생지정 찬·반 논쟁 치열 이어 김민수 히트펌프얼라이언스 의장(서울대 교수)을 좌장으로 △송기환 산업통상자원부 서기관 △김강원 한국에너지공단 팀장 △신형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실장 △이윤빈 한국에너지기술연구평가원 PD △임완빈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부회장 △김성구 삼성전자 연구위원 △사용철 LG전자 연구위원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김민수 의장은 “오늘 간담회는 송갑석 의원이 대표 발의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 일부 개정법률안의 내용을 보면 기후환경과 신재생에너지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해당 광역자치단체의 조례로 공기열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포함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라며 “국제동향, 산업동향 등 크게 보면 전 세계적으로 가고 있는 탄소중립의 발걸음을 드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오늘 간담회가 개최됐다”고 밝혔다. 김강원 에너지공단 팀장은 “에너지국제지구는 공기열원에 대해 신재생에너지로 불인정하고 있으며 특히 RE100를 주관하는 CDC위원회도 인정하지 않는다”라며 “지역별 편차를 두는 것에 대해서는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입법조사관의 지적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히트펌프가 탄소중립을 위해서 아주 효과성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모든 분들이 공감할 것 같다”라며 “방법론적으로 봤을 때 RE100를 운영하는 CDC위원회의 경우의 RE100으로 보지 않고 EP100 프로그램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팀장은 “지난 4월 발표된 에너지기본계획에서도 에너지수요효율화자원으로 히트펌프를 활성화겠다는 발표도 있었다”라며 “오늘 논의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자는 의견과 효율파트로 지정하자는 의견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 중립적인 모델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신형기 에너지기술연구원 실장은 “공기열원을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자는 얘기는 사실 오래전부터 논의됐다”라며 “신재생에너지로 할 때 보통 난방을 먼저 생각하는데 냉방까지 들어오는 것에 대한 당초 취지에 맞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몬트리올의정서 키갈리개정의성서로 인해 냉매 규제에 들어가게 돼 있으며 과거 오존층을 파괴한다고 프레온가스를 못 쓰게 하는 것처럼 선진국에 유리한 조건으로 규제될 것”이라며 “공기열원 히트펌프의 경우 대부분은 건물에 들어가는 만큼 Low GWP냉매나 자연냉매가 아닌 가연성이나 약가연성 냉매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약가연성 냉매나 프로판 같은 자연냉매를 쓸 수 있도록 제도나 규제법령이 만들어지지 않고 표준화가 되지 않는다면 건물에서 사용하기 굉장히 어려울 것“이라며 ”결국 자연냉매나 약가연성 냉매를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및 법률 제정도 같이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윤빈 에너지기술평가원 PD는 “히트펌프가 여러 가지 유형이 있는데 공기열원 히트펌프를 재생에너지로 인정하자는 논의는 예전부터 많이 있었고 그때마다 찬반으로 나눠 논의를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라며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정책트랜드가 있고 에너지안보측면에서도 중요하고 하나의 산업생태계로 키우갈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이 있어 이번 논의가 다시 나온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공기열원을 재생에너지원으로 포함시키는 에너지포트폴리오 관점에서도 의미있지만 히트펌프산업을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으로 나눠져 있는 생태계를 부스트업시킬 지와 연결된 문제”라며 “공기열원을 인정했을 때 국내 기업들이 생태계를 이룰 수 있을지, 저가 중국산이 들어와 이 부분을 가져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PD는 ”과거 공기열원이 시장에 보급돼 여러가지 사건들이 있었고 생태계 자체가 다시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를 우리는 많이 경험했다“라며 ”한랭지조건에서 중요하고 더 중요한 것은 신뢰성으로 빈번한 A/S가 발생하면 수용도가 낮아지고 시장 자체도 상당한 문제를 야기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임광빈 신재생에너지협회 상근부회장은 ”지열의 경우 최소한 지하 150m 이상의 온도차를 이용하고 수력의 경우도 낙차에너지를 이용하고 있지만 공기열원 히트펌프는 역행하는 경우가 있다“라며 “겨울에 바깥의 추운 온도로 더운 공기를 만들고 여름에는 바깥의 더운 공기로 찬공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에너지기구나 재생에너지기구에서는 재생에너지로 공기열원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EP100 등 에너지 프로젝트 등으로 접목시키는 것이 맞을 것”이라며 “국내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중국산으로 어려움이 겪었으며 제조는 국내 제조를 하지만 설치는 시공업자가 하는데 시공업자가 싼 중국산을 갖다 쓸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까지 탄소중립 이슈로 RE100이 이슈가 되다가 올해는 CF100이 이슈화되고 있어 RE100이 걱정”이라며 “공기열원이 재생에너지로 들어오면 아마 재생에너지업계에는 위축될 것이기 때문에 당분간 에너지효율을 더 높여 경쟁력을 높여 국제적으로 수출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김민수 의장은 “히트펌프는 열공급하는 기기로 하절기 냉방은 차치하고 동절기에 저온 열원을 고온 열원으로 만드는 것으로 에너지원으로 무엇을 쓸 것인가가 관건”이라며 “이에 따라 공기열원을 포함하자는 송갑석 의원이 대표 발의한 신재생에너지 개정법률안의 내용이다”고 밝혔다. 김성구 삼성전자 연구위원은 “공기열원 히트펌프기업 입장에서는 EU에 이미 관련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라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국내에 공기열원이 재생에너지원으로 된다고 해도 기술적으로 크게 문제될 것이 없는 것 같으며 회사 입장에서 찬반을 말하기 좀 어렵다“고 밝혔다. 사용철 LG전자 연구위원은 ”회사의 입장도 있지만 공학자 입장에서 공기열원을 재생에너지로 할 것인가라는 논의는 너무 늦었다“라며 ”유럽, 일본, 중국 등 우리와 경쟁하는 국가들은 이마 2009년부터 공기열원을 신재생에너지로 인정해 왔으며 최근 유럽의 경우 가스위기와 탈탄소정책과 맞물려 상당히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유럽의 경우 LG전자나 삼성전자의 경우 공기열원 히트펌프 판매가 엄청나게 많이 늘었지만 우리나라는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올해 들어 미국은 가스보일러, 가스퍼내스 등 가스기기를 히트펌프로 전환할 경우 보조금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한랭지조건에서 성능향상을 위한 R&D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에너지를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유럽이나 미국, 일본의 경우 히트펌프가 담당하고 있다“라며 ”신재생에너지에 공기열원이 포함된다면 기업의 기술개발이나 산업발전에 상당히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민수 의장은 ”화석연료를 직접 때는 보일러를 다른 형태의 히팅디바이스로 전환하는 것을 히트펌프가 담당하고 있다“라며 ”IEA에서 2050년까지 가정용 가스보일러를 조금 줄여야지 2050년 탄소중립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며 2045년까지 열공급의 반 이상을 히트펌프가 담당해야만 가능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히트펌프가 보급확대되고 가정뿐만 아니라 건물, 산업용으로 공기열원이든 지열, 수열이든 수요를 가리지 않고 히트펌프가 담당해야 한다”라며 “가정용, 산업용 보일러가 히트펌프 형태로 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자 중 조희남 한국지열협회 회장은 “지난해에 이어 똑같은 의제를 가지고 또 거론된다는 게 좀 안타까운 부분도 있다”라며 “지열분야는 많은 노력을 통해 지열시설 기술기준을 만들었으며 부지가 좁아도 냉난방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공공법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어 “공기열원이 신재생에너지로 지정되면 신재생열에너지산업은 거의 도태될 것이며 도태된 산업은 회생이 불가능하다”라며 “천공업체들이 보유한 장비들은 폐기될 것이며 신재생에너지로 산입되는 순간에 어느 건물주, 설계사나 비용적인 면을 따져 지열이나 수열 등은 설계에 반영하지 않을 것이며 이럴 경우 지열, 수열, 태양열산업은 회생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회장 강중협)는 최근 데이터센터산업 시장보고서인 KOREA DATACENTER MARKET 2023~2026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데이터센터산업 시장 및 전망보고서는 민간 및 공공DC 주요 통계를 추가해 통계지표 강화, 최근 제개정된 법률현황을 포함, 데이터센터 산업의 주요 이슈들을 다양하게 정리해 데이터센터산업계가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조사 대상 데이터센터는 187개로 2021년대비 25개 증가했다. 민간은 총 93개로 2021년대비 1개 감소한 반면 공공은 94개로 2021년대비 26개 센터가 추가 식별됐다. 2000년 52개였던 데이터센터는 2022년 187개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신규 준공예정 센터는 22개로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데이터센터의 지리적 분포는 민간 데이터센터의 경우 수도권이 76.3%로 집중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상업용 데이터센터는 78.8%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다. 민간데이터센터 매출액은 2021년 기준 3조2,809억원으로 조사됐다. 상업용 데이터센터 매출액은 1조2,929억원으로 조사 전년대비 8.46% 증가했다. 지난 4년간 민간데이터센터 매출액은 연 10% 성장했으며 2024년 상업용 데이터센터가 많이 증가해 2025년 이후 상업용 매출이 급성장할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데이터센터산업의 주요 이슈로 데이터센터 관련 정부주요정책(과기부, 산업부), 지자체 데이터센터 추진현황, 에너지 이슈, 구축민원 A~Z, 부지검토사항 등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다. 데이터센터연합회의 관계자는 "매년 데이터센터산업 통계자료 조사 및 분석결과 제공을 통해 정부의 체계적인 산업 육성 정책 수립과 민간데이터센터산업 사업자의 경영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시장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정재동)는 6월21일부터 2박3일간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용평리조트에서 ‘2023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AI 기술을 활용한 미래 융복합 설비기술’을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일반발표 150편, 특별세션 109편, 포스터발표 64편, 국제세션 10편 등 총 336편의 논문이 접수됐으며 1,000여명이 참가했다. 학술대회 전시행사 중 기업전시관에는 △경원테크 △그렉스 △대영파워펌프 △대하기업 △모던 △삼양발브종합메이커 △선일이씨티 △성일테크원 △스피폭스 △신성이엔지 △신한메탈 △아이센트릭 △이지테크 △케이티이엔지 △테스토코리아 △플리어시스템코리아 △PPI PIPE 등 17개사가 20개 부스 규모로 참여했으며 패널전시관에는 △서울대 △고려대 △중앙대 △한양대 △성균관대 등 10개 기관이 참여해 다양한 제품·기술을 선보였다. 정재동 설비공학회 회장은 “지난 몇 년 동안 코로나19로 제한됐던 학술대회가 올해는 완전히 일상으로 복귀해 학계와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산업계의 최신 기술개발 성과가 활발하게 공유됐다”라며 “특히 올해는 일본냉동공조학회(JSRAE), 중국제냉학회(CAR), 대만냉동공조학회(TSHRAE), 미국냉난방공조학회(ASHRAE) 등 여러 해외기관에서도 참여해 국제적인 활동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발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이어 “국가정책 이슈로 주목받고 있는 탄소중립과 관련해 학회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 이번 학술대회에서 의미있는 기술교류와 정책 제안들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라며 “이번 학술대회에서 기계설비인들의 기술·정보 교류와 친목 도모가 이뤄지는 축제의 장이 되길 바라며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한다”고 말했다. 조직위원장을 맡은 최준영 차기회장은 “최근 모든 산업이 AI와 접목된 기술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욱 예상치 못한 일들이 빠르게 우리 삶을 크게 변화시킬 것”이라며 “우리나라 설비산업도 이에 대한 대비가 절실하며 건축물 기계설비 기술혁신으로 삶을 보다 안전하고 평안하게 지속해 나가는 것이 우리 학회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번 하계학술대회에는 △노연상 늘푸른재단 이사장 △이문수 LH 공공주택설비처장 △김영기 한국가스공사 도시가스영업부장 △이재승 한국지역난방공사 플랜트기술처 책임연구원 △김준우 한국전력공사 수요관리처 차장 △조인호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장 △김철영 한국설비기술협회장 △변운섭 대한설비설계협회장 △이상태 한국종합건설기계설비협의회장 △김형렬 기계설비건설공제조합 이사장 △유호선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장 △김회률 한국기계설비기술사 회장 △정영석 한국건설기술인엽회 기계기술인 회장 △권혁중 한국냉동공조산업회 연구위원 등 외부인사와 △최상홍(8·9대)△오후규(20대) △서승직(21대) △유호선(22대) △오명도(23대) △한화택(24대) △박종일(25대) △강병하(26대) △정시영(27대) △홍희기(28대) △김용찬(29대) △박진철(30대) △김민수(31대) △강용태(32대) 등 전임회장이 참석했다, 또한 초청연사로 초대된 사이토 키요시(SAITO Kiyoshi) 일본냉동공조학회(JSRAE) 회장, 주잉신(ZHU Yingxin) 중국제냉학회(CAR) 위원장을 비롯해 양티엔푸(Yang, Tien-fu) 대만냉동공조학회 사무총장과 중국제냉학회에서 왕콩페이(Wang, Congfei) 사무처장 및 자오나(ZHAO, Na) 국제위원회 이사 등 해외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AI 기술을 활용한 미래 융복합 설비기술 초청강연은 이재선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사회로 △공조산업의 디지털전환(오동훈 신성이엔지 부사장) △일본 냉동공조학회 활동 및 일본 최신 연구(사이토 키요시 일본냉동공조학회 회장) △탄소중립을 위한 실내환경 구축방식 재고(주잉신 중국제냉학회 위원장) 순으로 진행됐다. 오동훈 신성이엔지 부사장은 기업 경영 관점에서 신성이엔지가 추구하고 있는 디지털전환(DX) 전략을 R&D 혁신 생태계 조성과 협업 프로젝트 중심으로 신성이엔지의 현장별 스마트공장 전환 현황과 AI 딥러닝을 통한 공정 및 에너지 운영 최적화 솔루션을 소개했다. 이어 △AI를 활용한 고효율 Fan 자체개발 과정 △AI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성능 극대화 △최적 설계요소 도출 및 AI 기반 CV-Master 운영 최적화 △V-Master 운전에너지 혁신을 위한 AI 기술 개발 △한국·체코 국제공동기술개발 △신성이엔지·성균관대 산업 AI 솔루션센터 사례 등 공장운영부터 제품·기술·R&D 등 신성이엔지의 모든 부문에서 디지털전환을 위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공유했다. 오 부사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AI 기술 접목은 모든 기업에서 필수적인 당면과제가 됐다”라며 “DX를 통해 보다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는 설비기술인이 되자”고 당부했다. 사이토 키요시 일본냉동공조학회 회장은 1925년 설립 후 지금까지 등 JSRAE 연혁을 소개한 후 △교육 △연구 △인증 △국제협력 등 4개 분야별 주요 활동을 소개했다. 9개 기술위원회를 둔 JSRAE은 △ICR 2015 △IISHP 2017 △ACRA 2018 △GL 2020 △HFO 2021 △ICCC 2024 콜드체인 등 다수의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으며 1956년부터 인증사업, 1973년부터 시상을 통해 연구·기술개발·산업 육성을 위한 활동을 다각도로 펼치고 있다. 주잉신 중국제냉학회 위원장은 △쾌적한 환경(What is comfortable environment) △건강한 환경(What is healthy environment) △실내환경을 구축하는 방법(How to build indoor environment) 등을 주제로 3개의 질문을 던지며 사례를 중심으로 안전·건강·실내환경 측면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실내환경 구축방식을 제시했다. 우수논문 12편·우수연구교수 3인 시상 하계학술대회에는 늘푸른재단 학술연구지원금 5,000만원,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학술발표대회(하계·동계) 우수교수 연구지원금 1,000만원 전달식과 우수논문 12편 및 우수연구교수 3인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우수논문으로 △열회수환기장치와 시스템에어컨의 연동 제어를 통한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질 개선 실증 연구(안영철 부산대 교수) △열펌프 사이클에 있어서 가상화 설계의 실제와 과제(황윤제 LG전자 연구위원) △전기차를 위한 수직 유동을 적용한 오프셋 스트립 핀 열교환기에 대한 열적, 수력학적 특성 분석(이호성 고려대 교수) 등이 선정돼 국토교통부장관상이 수여됐으며 늘푸른재단상은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의 모델 성능 향상을 위한 운전데이터 증강 방법(성균관대 최영웅 회원)이 수상했다. 협회상은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상 ‘연돌효과에 의한 고층건물의 공기유동 및 실내공기질 분석에 관한 연구’(조선대 김민성 회원) △한국설비기술협회상 ‘인공지능기반 언어모델을 활용한 에너지 시뮬레이션의 객관성 향상에 관한 연구’(동의대 전용준 회원)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상 ‘콜드체인 유통시스템 내 직접접촉방출 기술적용을 위한 얼음 형상 별 냉각 성능특성 분석’(한국해양대 오준석 회원) △대한설비설계협회상 ‘미세분사 방식이 적용된 저유량 액체식 제습시스템의 실험적 성능평가’(한양대 이수진 회원) 등이 각각 수상했다. 특별세션상은 △한국가스공사상 ‘배가스 및 배온수 구동 흡수식 냉동기 시제품 설계 및 성능평가 연구’(삼중테크 우성민 회원) △한국지역난방공사상 ‘저탄소강 열수송관에서 미세구조 불균일 및Al개재물로 인한 국부부식 파손 원인 규명’(지역난방공사 이윤호 회원) △한국전력공사상 ‘산업 미활용열을 이용한 고밀도 열화학 열저장 시스템 기술 개발’(에너지기술연구원 홍성국 회원) △한국토지주택공사상 ‘공동주택 실별 제어 환기시스템 적용 방안 연구’(LH 권종호 회원) 등 각각 수상했다. 또한 연구성과가 우수하고 교육 및 인재양성에 공로를 인정받아 △안준 국민대 교수 △조진균 한밭대 교수 △김의종 인하대 교수 등이 우수연구교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토교통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늘푸른재단 △강원도관광재단과 관련 5개 협회가 후원했으며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및 관련 기업 124개사가 협찬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사 엠피리온DC는 6월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서 한국 내 첫 데이터센터인 ‘강남 데이터센터(GDC: Gangnam Data Center)’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GDC는 엠피리온DC가 아시아지역에 두 번째로 건립하는 데이터센터로 DC 공급이 부족한 싱가포르시장에서 Tier 3 인증을 받은 12.5MW급 SG1 Dodid 인수에 이어 한국 시장 첫 진출 프로젝트다. 서울 주요 비즈니스지역 중심부(강남·여의도·도심)와 IT 클러스터(판교 테크노밸리)에 인접한 GDC는 연면적 3만714㎡ 규모(지하 3층~지상 9층), 40MW 전력량을 제공하는 상업용 DC이자 강남지역에 들어서는 신규 데이터센터로 공사비 3,180억원이 투입돼 2025년 상반기 완공 예정이다. 친환경·고효율 솔루션 일환으로 최첨단 액체냉각시스템과 건물외피에 고효율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BIPV)이 설치되며 서울 IT 및 비즈니스 전략적 허브에 입지해 국내외 하이퍼스케일, 엔터프라이즈 및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기업들이 전 세계 4위 규모 메가시티인 서울과 수도권 지역 경제권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이날 기공식에는 에릭 테오(Eric Teo) 주한싱가포르 대사, 전성수 서초구청장, 엠피리온DC 투자사인 제임스 천(James Chern) 세라야 파트너스 대표, 프로젝트 시공사인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을 비롯해 서울시 관계자와 발주처 대표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테오 대사는 “싱가포르와 한국은 양국간 탄탄한 협력기반이 되는 강력한 무역 및 투자파트너십을 비롯해 다방면에서 오랜 유대관계를 이어오고 있다”라며 “디지털경제에서 새로운 성장을 지원할 엠피리온DC의 한국 최초 데이터센터 착공으로 양국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마크 퐁(Mark Fong) 엠피리온DC 대표는 “GDC는 엠피리온DC의 아시아지역 플랫폼으로 디지털기술 선두주자인 한국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및 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의 전략적 성장시장”이라며 “엠피리온DC는 한국시장에서 지속가능한 디지털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해 확장성 및 유연성에 대한 고객 요구에 부응하며 최선을 다해 고객 미래성장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은 “GDC는 대형 데이터센터 공급이 없었던 강남권역에 들어설 유일한 데이터센터”라며 “GDC사업이 글로벌 규격 데이터센터의 대표적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대우건설은 혼신의 힘을 다해 성공적으로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대우건설은 주택부문만 치중하지 않고 균형 잡힌 사업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GDC를 필두로 경기 용인지역에서 추가 데이터센터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엠피리온DC는 기공식 후 JW메리어트호텔 서울로 이동해 ‘강남데이터센터 축하행사’를 가졌다. 테오 대사는 “GDC는 싱가포르가 한국에서 최초로 추진하는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로 디지털경제의 새로운 성장을 위한 싱가포르기업의 중요한 투자”라며 “최첨단 친환경 기능을 갖춘 GDC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싱가포르와 대한민국의 굳건한 의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며 축하했다. 최용석 엠피리온DC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엠피리온DC는 일본,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아시아 전역에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단순히 대규모 데이터센터 역량을 시장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라며 ‘ESG 경영 전략’을 소개했다. 최 CSO에 따르면 엠피리온DC는 탄소중립 데이터센터 개발·운영을 목표로 2025년까지 100% 그린DC 구축을 위해 제로에너지빌딩 인증을 완료할 계획이며 2027년까지 모든 데이터센터 PUE 1.3 이하를 목표로 구축하고 있다. 특히 사회공헌 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엠피리온DC는 이날 GDC 착공을 기념해 사랑의 열매에 서초구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기부금을 전달했다. 최 CSO는 이어 GDC의 특장점으로 △판교 테크노밸리에서 9km, 서울 도심(CBD)에서 12km 이내 전략적 위치 △효율성을 고려한 최첨단 스테이트포인트 액체냉각시스템 설계 △주요 네트워크 사업자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최적의 연결 솔루션 제공 △확장 가능하며 중단없는 망중립성을 보장하는 아·태지역 데이터센터 플랫폼 등을 꼽았다. 더글러스 강(Douglas Kang) 세라야 파트너스 CFO는 “엠피리온DC의 첫 한국 프로젝트를 맡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을 아끼지 않은 투자사들에 특별한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엠피리온DC는 최고 수준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며 운영하는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 플랫폼으로 아·태 지역 차세대 디지털인프라 및 에너지전환 프로젝트에 중점을 둔 선도적 인프라펀드인 세라야 파트너스(Seraya Partners)의 포트폴리오 기업이다. 엠피리온DC는 친환경 설계를 바탕으로 아시아 전역의 디지털생태계를 연결 및 확장하는 고효율 하이퍼스케일 및 코로케이션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가 최근 조달청(청장 이종욱)이 발표한 공공조달 최소녹색기준제품으로 지정돼 주목받고 있다. 이번 선정에 앞서 시장의 기술발전과 산업환경 변화 등을 고려해 관련 부처, 전문가, 인증기관, 기업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이뤄졌다. 공공조달 최소녹색기준제품제도는 공공조달시장에서 물품구매시 대기전력, 에너지소비효율, 재활용, 유해물질 배출 정도 등을 구매물품 규격에 반영하며 해당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에만 조달시장 진입을 허용하는 제도다. 조달청은 그동안 정부이 탄소중립과 녹색산업 육성 지원을 위해 2010년부터 이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추가 지정을 통해 대상제품이 109개에서 113개로 늘어나게 된다. 이종욱 조달청장은 “최소녹색기준제품 확대를 통해 우리기업의 녹색기술 개발을 유도하고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를 촉진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조달청은 정부의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미래 구축 지원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인 비즈법 폴리스티렌(EPS),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 폼(XPS), 폴리우레탄, 고발포 폴리에틸렌 폼, 페놀 폼 등의 단열재가 공공조달시장에서 환경친화적인 제품으로 공식 인정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녹색건축정책 일환인 제로에너지건축물(ZEB), 그린리모델링(GR) 등의 국가사업 진행 시 비중있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는 플라스틱 소재에 미세한 수많은 기포를 넣는 것으로 단열재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평균온도 20℃로 열전도율은 약 0.020~0.035 범위에 있다. 사용 한계 온도는 110℃가 최고다. 지난 수년간 지속된 물류창고 화재로 강화된 건축법과 후속 고시인 건축자재 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 등으로 인해 단열재의 단열성능뿐만 아니라 난연성능까지 평가기준이 높아지면서 난연성능과 단열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이번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의 최소녹색기준제품제도 진입은 성능이 검증된 단열재 제품 우수성이 국가 차원에서 인정받은 것으로 향후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의 시장 지배력 강화에도 큰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단열재업계의 관계자는 “이번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의 제도 진입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확실한 품질인정 징표를 의미한다”라며 “까다로운 국가 차원의 평가를 통과한 만큼 업계 전반적인 책임의식 준수와 제품에 대한 독보적인 경쟁력을 입증하게 된 셈”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펌프 전문기업 그런포스펌프(대표 김래현)와 친환경 냉난방 솔루션기업 댄포스코리아(대표 박종구)는 6월9일 프레지턴트호텔 브람스홀에서 관련업계 관계자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ESG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덴마크의 글로벌기업인 댄포스와 그런포스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ESG 달성을 위한 유익한 정보를 소개하고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래현 그런포스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과거에는 인류의 적이라고 하면 질병, 전쟁, 기아 등 3가지를 들었다”라며 “이제는 3가지 위협을 인류가 극복한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이제는 새로운 인류의 적이 환경파괴로 인한 기후변화, 물 부족사태가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라며 “위협을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ESG경영을 통한 해결책을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이번에 댄포스와 그런포스가 처음으로 조인트 세미나를 개최하게 됐으며 앞으로 좋은 기회를 많이 만들겠다”라며 “조인트 세미나를 통해 적어도 건설분야에서 에너지를 절감하고 물 부족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들을 한국 건설시장에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겠다”고 밝혔다. 박종구 댄포스코리아 대표는 “댄포스는 2002년 한국법인이 설립됐으며 1933년 덴마크에서 팽창밸브 전문기업으로 설립된 이후 1960년도에 세계 최초로 인버터를 양산한 기업”이라며 “댄포스코리아는 세미크론과 댄포스 합작법인, 최근 인수한 유압업체의 부산공장 등 3개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5대 글로벌 트렌드를 규정하고 사업구조를 개편하고 있다”라며 “5대 트렌드와 관련없는 기업은 매각하고 있으며 관련된 전 세계 1~2위 기업은 현재 인수합병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최근 ESG경영에서 가장 많이 제도화되고 있는 것이 탈탄소화이며 댄포스 사업의 본질이자 사업의 방향이며 매출의 근간”이라며 “공유가치 창출에 앞장서고 있으며 ESG 방향성 중 하나인 다양성과 포용성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양한 에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조직을 통해 상업용빌딩의 에너지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고효율 제품을 오늘 소개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유정희 주한덴마크대사관 선임상무관은 “기후변화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속도나 변화의 규모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며 한국은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라며 “계속 이렇게 간다면 인류가 생성한 변화의 부작용은 점점 더 극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래서 수자원, 농업, 건강 등 이슈를 코로나를 통해 겪어봤으며 모든나 인프라에 설치된 것들이 이제 우리를 위험에 빠뜨리게 할 수 있으며 생태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다”라며 “지금 시작하지 않는다면 온도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홍수, 가뭄 등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이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유 상무관은 “인류에게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솔루션이 존재하고 있어 아직은 희망이 있다”라며 “온실가스 배출을 급속도로, 그리고 지속가능하게 빠르게 감축할 수 있도록 현장 및 인프라 구축이 빠르게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사관은 EU보다 더 높은 기준을 갖고 있는 덴마크의 기준을 제시하면서 다양한 정부정책에 대해 자문 및 협력하고 있다”라며 “탄소절감은 더 이상 선택의 요건이 아니며 미래를 영위하기 위한 당연한 조치이며 덴마크는 사기업과 공동으로 14개 섹터로 구분해 빠르게 대응해 70% 절감 목표를 세웠다”고 강조했다. 그런포스, New Brand 공개 단일 아이템기준 세상에서 가장 글로벌한 펌프기업인 그런포스는 ESG경영을 위해 △지속가능성 △개방 및 신뢰 △사람 중심 △독립성 △동반자 관계 △끊임없는 열정 등 6대 가치를 정했다. Poul Due Jensen CEO는 “그런포스는 최종 소비자가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솔루션에 집중하고 있다”라며 “지속가능성이 우리 사업 전반의 바탕이 되고 있으며 물과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의 일상을 개선하는 것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런포스는 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이중 SBTi 활동에 적극적이다.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기반 감축목표를 실행하는 계획)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설립된 2050년까지 지구온도 상승관련 기업이 Net Zero 목표를 설정하게 하는 이니셔티브다. 그런포스는 2022년 물관련 업계 최초로 목표를 승인받은 펌프기업으로서 향후 이산화탄소 배출감소 및 온도상승을 줄이는 에너지절감에 대한 기업의 운영방법에 큰 기대를 받고 있다. 그런포스는 특히 기존 Brand인 ‘Be / Think / Innovate’에서 ‘Possibility in every drop’으로 전환하며 ESG경영 앞장서고 있다. 댄포스, 2030년 ESG 목표 달성 Kim Fausing 댄포스 CEO는 ESG경영에 대해 “We continue to make bold investments in our green growth strategy”라고 강조했다. 댄포스는 에너지절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 프로젝트를 진행해 에너지생산성은 104% 향상한 반면 CO2 배출량은 42%, 에너지소비량은 51% 감소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댄포스의 ESG를 위한 3대 핵심영역은 △Decarbonization △Circularity △Diversity & Inclusion 등이다. 이를 통해 고객이 지능적이며 비용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탈탄소화를 가능케하고 운영에서 탄소중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척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가치 제안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 생산, 소싱 및 판매할 때 동급 최고의 순환 제품을 기본으로 혁신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최고의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기위한 포용적인 문화를 조성하는 선도적인 직원을 제공하고 있다. 2013년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한 댄포스는 2019년 탈탄소 목표 기준연도 설정, 2021년 댄포스 ESG 정의 및 2030 목표 설정, 2022년 ESG 전환을 통해 2030년 ESG2030 목표달성을 이룰 계획이다.
한국환기산업협회(회장 김학겸)는 ‘학교 교실용 기계환기설비 현장시험방법 단체표준(안)’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6월2일 단체표준 제정을 위한 관련 업계 의견 수렴회를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번 단체표준안은 학교 교실 실내공기질 상태를 정확하게 시험해 최종 소비자인 학생과 학부모 등의 만족도 제고와 관련 민원감소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학교미세먼지사업단에서 표준안 개발을 연구용역으로 의뢰함에 따라 진행됐다. 또한 학교미세먼지사업단은 이번 표준을 국가기술표준원이 관리하는 단체표준(SPS: Standards of Private Sector)으로 등록하고 환기산업협회가 유지 및 관리하기를 희망한다. 현재 학교 교실에 기계환기설비가 설치된 후 현장시험은 환기설비 납품업체가 KS B 6879(열회수형환기장치) 표준에 따라 설치현장의 소음과 풍량시험을 하고 있다. 그러나 풍량은 급기만 시험하고 있으며 시험방법 정밀도가 낮다. 배기는 시험방법이 없기 때문에 시험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기산업협회에서 개발한 표준안으로 급기 시험방법을 고도화시키는 한편 배기 시험방법도 개발해 과기부 학교미세먼지시험단이 현장시험성적서를 요구하거나 민원이 발생할 경우 등에 대비해 적용코자 한다. 이번 단체표준안 마련을 계기로 학생과 학부모 등 소비자들의 기계환기설비에 대한 만족도 제고와 이를 통한 기계환기설비기업의 신뢰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표준안은 제품표준이 아닌 방법에 대한 표준으로 환기장치 성능인증이 어렵다는 한계도 지적되고 있다. 환기산업협회의 관계자는 “이번 단체표준안 마련을 근거로 그간 공기청정기 등이 대체할 수 없는 환기설비의 고유한 역할과 우수성이 입증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라며 “이번 표준안을 근거로 민간부문 소형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환기설비기준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돼 환기산업은 물론 혜택을 받는 소비자 역시 합리적 가치정립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환기산업협회가 주도하는 이번 단체표준안 마련에 반대 주장도 만만치 않다. 환경안전환기협회는 환기산업협회의 단체 표준안 검토 요청에 대한 의견을 통해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학교 교실용 기계환기설비 현장 시험방법’ 단체표준 제정 목적이 ‘기존 TAB(Testing‧Adjusting‧Balancing)기업의 성능평가는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취지에 대해 이번 표준안 역시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환경안전환기협회의 관계자는 “이번 단체표준안도 현장별 교실별 기밀도 및 온‧습도 등의 컨디션을 이유로 재현성이 불가능해 정확도를 신뢰할 수 없어 다툼이 있을 것”이라며 "단체표준 제정보다 KS기준(KS B 6879) 개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옳다“고 지적했다. 학교 미세먼지관리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미세먼지사업단에서 구축한 학교 교실모사 시험실에서 현재 제품을 여러차례 실험한 결과값에 따라 부족한 성능을 보완해 실험을 수차례 반복해 권장성능이 나오면 결과값을 제시한다. 이 값이 합리적인 경우 열회수형환기장치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이 적법한 절차를 밟아 KS기준(KS B 6879)을 개정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시험방법 단체표준 제정보다는 조달청 공기순환기 설치시방서 보완으로 해결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시공자재나 시공품질로 성능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험방법 표준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면 문제 방지를 위해 조달청 공기순환 시 설치시방서를 보완해 문제해결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단체표준 제정(시험방법 등)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이다. 공기청정기 사례를 들어 이번 단체표준안이 인증받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공기청정기도 과거 학교 교실 시험방법 단체표준을 추진했으나 결국 중소기업중앙회 단체표준 심의회에서 부결된 사례를 들어 현장시험은 신뢰성 문제로 표준을 만드는데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환경안전환기협회의 관계자는 ”공기청정기도 학교 교실 현장시험을 여러차례 해본 결과값을 기준으로 학교 교실 설치 권장 공기청정기 용량(사용면적)을 제품표시 용량대비 1.5~2배로 정해 현재 보급되는 공기청정기가 20평 교실에 40평형 공기청정기를 구매, 설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학교 교실에 기계환기설비가 설치된 후 TAB기업들의 평가방식 개선에 대한 기대감과 개별 학급 현장의 공기질 특수성으로 인한 재현성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며 이번 단체표준안에 대한 실효성 확보가 관건이다. 이번 단체표준안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민간부문 소형 다중이용시설 등에 기계환기설비가 설치될 경우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는 만큼 기대와 우려 속에서 이번 표준안을 둘러싼 논란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가 최근 ‘공공주택 매입기준’을 개선해 시스템에어컨 등 빌트인 가전·가구 기본품목 설치비용을 공공주택 매입비에 반영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공공주택 등 건축물 에어컨 설치 의무화’가 다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2018년 국정감사에서 임대주택 에어컨 미설치 문제가 지적되면서 국토부는 2021년 3월31일자로 ‘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제34조의8)’을 개정해 ‘행복주택 또는 통합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할 경우 25㎡이하 주택에 △에어컨 △냉장고 △전기·가스쿡탑 △식탁·책상 등 빌트인 가전·가구 및 △무인택배보관함 △무선인터넷통신 등 기본설비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고 고시했다. 이에 따라 LH는 건설임대의 경우 2021년 3월 사업승인분부터 빌트인 에어컨을 의무설치하고 있으며 매입임대는 △청년 △고령자 △비주택거주자 대상으로, 고령자복지주택은 2022년 7월 기준 미준공분부터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기축 임대주택이 제외돼 2021년 국감에서 다시 지적받은 LH는 ‘기축영구임대 냉방설비 도입 TFT’를 구성하고 시범사업도 진행했지만 지난해 기재부로부터 재무위험기관으로 선정되면서 올해 초 노후단지 변압기 용량 등 문제점이 해결될 때까지 사업을 보류한다고 발표했다. 당시 경기도는 신축은 물론 기축도 순차적으로 설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건립 및 운영기준’을 개정해 2019년 12월부터 역세권 청년주택 전체세대에 에어컨을 옵션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정부가 주거취약계층 냉방설비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는 요구에 따른 주거복지 차원으로 업계는 보다 근본적인 냉방설비 의무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건축설계분야 한 관계자는 “임대뿐만 아니라 민간아파트를 비롯한 모든 건축물 설계단계부터 냉방성능이 난방처럼 고려돼야 한다”라며 “현재 사용자가 개별설치하는 에어컨은 실외기가 외기를 열교환해 실내기로 보내주면 전기에너지로 냉방하는 시스템인데 이러한 방식은 실외기 설치·이전에 따른 건물외관 저해뿐만 아니라 실외기실 온도상승, 전력소비량 등 에너지효율 측면에서도 여러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난방공사처럼 냉방공사가 법제화되면 건축설계단계부터 고려할 수 있어 주거복지뿐만 아니라 도시미관과 에너지절감 차원에서 건물성능이 향상될 것”이라며 “설비공사에 냉방공사 항목이 포함되도록 관련 법규가 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어컨업계도 설비공종에 냉방공사가 포함돼야 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문가 설계로 에어컨 연중시공이 가능해지면 설치기사 안전사고 및 화재위험이 줄어들 것”이라며 “최초설치 후 냉매 대기방출 최소화로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제품성능 최적화 및 에너지절감을 제고하고 실외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시미관도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인센티브 정착으로 업계 참여를 독려하면 △냉매 대기방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가속화 △실외기 및 설치배관 노출로 인한 도시미관 저해 △이전설치 등 환경변화로 인한 제품효율 저하 및 에너지소비 증가 등 사회적·환경적 문제들이 해소돼 국민들에게 더 많은 냉방복지 혜택이 제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건축사사무소의 한 관계자는 “정부 주도로 공공주택부터 냉방설비(에어컨) 설치를 의무화해 모든 건축물로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라며 “기후변화로 인해 냉방설비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만큼 설계단계부터 냉·난방설비를 함께 디자인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6월1일 2022년 전국 모든 건물에너지사용량을 집계한 결과 에너지총사용량과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전년대비 각각 5.9%, 2.7% 증가했으나 2018년대비 단위면적당 사용량은 4.8% 감소했다고 밝혔다. 2022년 에너지총사용량은 신축에 따른 연면적 3.1% 증가와 기후변화에 따른 냉난방도일* 5.4% 증가 등 영향으로 전년대비 201만8,000TOE 증가한 3,636만2,000TOE로 집계됐다.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전년대비 2.7% 증가한 122kWh/m²로 에너지총사용량 증가율(5.9%)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나 201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해 에너지절감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평균기온과 기준온도(난방 18℃, 냉방 24℃)의 차이를 월별로 합산한 값. 기준연도인 2018년과 비교한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냉난방도일 감소(8%) 및 연면적 증가(10.9%)대비 에너지총사용량 증가(5.6%)분이 상대적으로 낮아 최종적으로 4.8%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에너지총사용량은 전 지역 모두가 전년대비 증가했다. 이중에서도 증가량은 경기지역이 77만6,000TOE, 증가율은 세종지역으로 15.2%를 기록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를 제외하면 도 단위 지역 대부분이 시 단위 지역보다 전년대비 에너지총사용량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2년 에너지총사용량은 모든 용도별로 증가한 가운데 증가량에서는 공동주택(68만2,000TOE)이, 증가율에서는 운동시설(27.9%), 관광휴게시설(25.9%), 수련시설(23.8%)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독주택(2.5%) 및 의료시설(3.9%)은 타 용도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공동주택은 높은 증가량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또한 전 지역이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세종시 증가율(10.4%)이 가장 높았으며 대전, 광주, 전남 등이 0.2% 이하로 타 지역보다 증가율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에너지총사용량 현황과 유사하게 도 단위 지역 대부분이 세종시를 제외한 시 단위 지역보다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22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의료시설을 제외하고는 모든 용도에서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광휴게시설(20.1%), 운동시설(19.3%), 수련시설(17.9%), 문화 및 집회시설(12.6%) 등이 타 용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우리나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및 2050 탄소중립 달성 목표 설정 기준년도가 된 2018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과 비교하면 2022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이 감소했다. 특히 울산(8.1%)과 인천(7.6%) 지역의 감소폭이 컸다. 용도별로 살펴보면 공동주택이 3.1%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모든 용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중에서도 수련시설(20.7%), 운동시설(17.8%), 종교시설(13.9%), 판매시설(13.8%) 등 감소폭이 크다. 이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매년 발표되는 국가 건물에너지사용량 추이 및 지역‧용도별 사용경향 분석 등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통계자료로 건물에너지정책 수립 방향의 근간이 된다”라며 “향후에도 유의미한 통계지표를 적극 발굴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통계자료는 국토부 녹색건축포털(그린투게더, http://www.greentogether.go.kr) 건물에너지 통계서비스를 통해 모든 국민에게 공개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