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센터 부동산시장은 2012~2017년까지 연평균 약 82만㎡(25만평)에 불과했으나 2018~2022년 연평균 약 241만㎡(73만평)가 공급됐다. 2023년에는 약 595만㎡(180만평)가 공급되며 부동산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투자자산으로 부상했다. 도심 외곽 공사장은 거의 물류센터인 것 같다는 소문이 있을 정도로 물류센터는 개발시장 핫아이템이었다. 이와 함께 저온물류센터도 전체 물류센터 기준 기존 10% 규모에서 약 25% 수준으로 확대되며 각광받았다. 하지만 쿠팡, 컬리로 대표되는 이커머스물류 수요와 함께 폭발적 성장을 이루던 물류센터는 2023년을 지나면서 공급과잉으로 인한 공실률이 높아지며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저온물류센터는 2024년 상반기 약 40% 이상의 공실률을 보이며 냉동·냉장설비업계도 함께 타격을 받았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1917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됐으며 현재 약 60개국 400개 지사에서 약 5만2,00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글로벌 종합 부동산서비스기업이다. 한국지사는 2000년 설립 이후 현재 250여명의 전문가가 활동하고 있다. 특히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물류팀은 계획, 실행, 매각까지 물류시설 라이프사이클 전과정
콜드체인 패키징은 혁신과 변화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백신을 포함한 바이오의약품의 안전한 유통과 신선식품 온라인 수요 증가로 효율적이며 신뢰성 있는 콜드체인 패키징은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급속한 성장과 함께 기업간 경쟁이 심화됐으며 높은 비용대비 필요성에 대한 인식개선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견도 있다. 탑런패키징솔루션은 30년 이상 EPS, EPP 생산경험을 기반으로 콜드체인 패키징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콜드체인 포장재, 박스 및 냉매제 등을 직접 설계 및 생산하고 있으며 Io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패키징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성찬 탑런패키징솔루션 대표를 만나 신년전망과 최신 트렌드, 친환경패키징 대응현황 등을 들었다. ■ 지난해 콜드체인 패키징시장 동향은 이제 콜드체인은 패키징뿐만 아니라 공급망에 연결된 물류의 보관 및 유통, 무선센서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스 등과 연계된 종합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콜드체인 패키징인 단열상자, 냉매 등을 넘어 IoT, 블록체인, AI시스템 등의 도입으로 공급망 최적화를 위한 물류관리시스템 통합이 가속화되는 추세다. 콜드체인 패키징산업도 이에 맞춰 온도민감제품의 모니터링 및
국내 콜드체인 모니터링시장은 국가정책과 산업적 요구가 결합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신성장 4.0전략 발표 후 콜드체인기술이 국가산업 핵심인프라로 자리 잡으며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일고 있다. 신성장 4.0전략은 4차산업혁명기술을 국가경쟁력으로 강화하려는 계획으로 물류연계 콜드체인기술이 핵심분야 중 하나로 포함됐다. 이를 계기로 기술개발기업과 스타트업이 시장에 적극 진입하며 혁신적인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윌로그는 항공, 해상, 차량, 창고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화물의 위치,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콜드체인 모니터링솔루션기업이다. 자체개발한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화물과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글로벌 물류산업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2024 ICT 대상에서 디지털기술부문 특별상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상’을 수상하며 물류산업 디지털화와 지속가능한 운영모델 확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배성훈 윌로그 대표를 만나 국내 콜드체인 모니터링시장의 기술발전 현황과 올해 핵심트렌드 등을 들었다. ■ 지난해 콜드체인 모니터링시장 주요 이슈는 IoT와 AI기반 모니터링기술 도입이 두드러졌다. 특히 의약품분야에서 운송과정 중 발
콜드체인은 정온유지를 위해 연중무휴로 운전되는 에너지 다소비형시스템이다. 하지만 별도의 에너지효율규제가 없어 저가수요 중심 저효율설비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콜드체인설비의 에너지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술지원과 관리제도를 통해 고효율제품 확산·보급이 시급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에너지사용기기 효율향상과 고효율제품 보급확대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등 3대 효율관리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에너지공단 효율기술실은 관련 법령에 따라 3대 효율관리제도를 약 30년간 운영 중이다. 급변하는 시장변화를 반영해 품목 제도이관 등을 통해 제도운영을 고도화하고 있다. 효율기술실은 지난 2023년 6월 콜드체인산업발전협의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콜드체인표준 제정과 고효율기자재 인증체계 구축으로 중소·중견기업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강형일 에너지공단 효율기술실장을 만나 국내 콜드체인설비의 에너지효율관리제도 현황과 개선방안 등을 들었다. ■ 지난해 콜드체인설비 시장동향은 전 세계적으로 온도민감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콜드체인산업은 큰 성장을 보였다. 특히 식품, 물류, 제약분
동양BMS는 1월7일 동양BMS 본사를 방문한 방글라데시, 호주, 중국, 홍콩 등 4개국 CEO와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혁신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한 빌딩 자동제어시스템 교육과 수출상담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동양BMS는 그린뉴딜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 △보건 △4차산업 △스마트빌딩 등 4대 플랜과 관련된 빌딩자동제어장치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자동제어분야 글로벌기업인 슈나이더일렉트릭의 국내 파트너사이며 자체 조달우수공동상표를 획득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보유한 자동제어기업이다. 이번 방문에서는 BMS, PMS, ZEB, EMS 등 동양BMS의 첨단 기술을 소개하며 Delta 자동화 제어시스템 및 엔탈리웹 클라우드솔루션의 실무활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또한 Red5시리즈와 같은 하드웨어제품의 특장점과 Modbus통신, 포인트 생성 및 테스트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학습이 포함했다. 이와 함께 EBAS-2000NS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그래픽디자인, 로직구현, 데이터바인딩 등 실습을 통해 참가자들이 동양BMS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예정이다. 김태수 동양BMS 대표는 "이번 프로그램
식약처(처장 오유경)는 12월11일 2025년 예산이 7,489억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확정된 식약처 예산은 2024년보다 4.3%(307억원) 증액된 규모이며 정부제출안에서 변경은 없었다. 식약처의 2025년 예산안(정부제출안)에 따르면 식의약 심사·시험연구 강화 9.5%(1,714억원), 의료제품 안전관리 선진화 6.3%(1,102억원), 건강한 식생활 환경조성 3.7%(1,679억원), 식의약 안전사고 선제예방 2.4%(256억원), 행정서비스 전문역량 제고 –16.2%(142억원) 순으로 증액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식품 디지털 유통망 구축 및 푸드QR 활용 기술지원 △허가역량 강화를 통한 심사 품질 선진화 △국내 의료제품 세계 진출 촉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의약품 민원 AI 사전검증 등 자동 검토 서비스 구축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는 안심먹거리 조성, 바이오헬스 혁신성장, 규제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안전지원 강화 등을 중점으로 2025년도 예산을 편성했다. IoT활용 스마트 HACCP 확대 제조에서 소비까지 식품 전(全)단계의 식품안전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식품안정성 제고’ 예산은 전년대비 1.6%가 증액된 658억원이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은 12월11일 2025년 예산이 18조7,416억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확정된 농식품부 예산은 2024년보다 2.2%(4,024억원) 증액된 규모이며 정부안(18조7,496억원)보다는 80억원 감액된 것이다. 농식품부는 △농업인 소득·경영안전망 강화 △농촌소멸 대응 및 공간 재생 △ 농식품산업 성장동력 확충 △농축산물 수급안정 및 식량안보 강화 등 주요 농정과제 성과창출을 위한 분야에 중점을 두고 2025년 예산을 편성했다.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는 내년도 집행이 불투명해 조정이 필요한 사업이라고 판단된 △반려동물연관산업수출산업화(40억원) △동물용의약품산업종합지원(20억원) △푸드서비스 선진화(14억원) 등을 중심으로 예산이 일부 감액됐다. 스마트팜, ICT 첨단기술 접목·고도화 농식품부는 농업 신산업을 육성해 미래성장산업화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농업’을 확산할 계획이다. 스마트농업 육성을 위한 예산은 전년대비 10.7%가 증액된 1,031억원이 편성됐다. 세부항목으로는 △스마트 원예단지기반 조성 △스마트과수원 특화단지 조성 △노지스마트농업 시범사업 △스마트팜 ICT기자재 국가표준 확산지원 △스마트팜 청년창업
대한설비공학회 친환경냉매전문위원회(위원장 장영수)는 11월29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4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에서 특별세션을 진행하며 국내·외 친환경 냉매 동향과 실증연구 결과 등을 공유했다. 이번 특별세션은 △Low GWP(지구온난화지수) 비공비혼합냉매의 성능향상 연구(조일용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연구원) △대체냉매 적용 히트펌프를 사용한 실내기의 냉각성능 시뮬레이션(Cooling performance Simulation of the indoor unit of a heat pump with alternative refrigerants, Amal Vasu 국민대 석사과정) △공조용 신냉매 현황 및 기술 과제(고영환 LG전자 에어솔루션사업부 연구원) △가연성 냉매 히트펌프를 위한 열교환기 충전량 감소전략 연구(정민규 중앙대 석사과정) 등을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좌장을 맡은 장영수 설비공학회 친환경냉매전문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세션은 친환경냉매전문위원회 특별세션으로 짧은 시간에 친환경 냉매에 대한 좋은 주제의 발표가 많이 나왔다”라며 “친환경냉매전문위원회는 많은 전문가가 모인 전문위원회로서 신규 냉매 개발 및 친환경 냉매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활발하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11월21일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시공능력평가 건설사 상위 12곳의 고객경영 키워드 관련 게시물을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 최근 2개월간 국내 주요 건설사들 가운데 '사회공헌'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HDC현대산업개발'로 나타났다. 이어 롯데건설과 현대건설 순으로 기록됐다. 조사 대상은 2024 국내 시공능력평가 상위 12개 건설사로 선정했다. 정보량 순으로 △HDC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DL이앤씨 △대우건설 △호반건설 △삼성물산 건설부문 △포스코이앤씨 △SK에코플랜트 △GS건설 △한화 건설부문 등이다. 조사 키워드는 '건설사 이름' + '어르신, 기부, 기탁, 다문화, 소외, 봉사, 장애인, 독거, 장학, 취약계층' 등이며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 수도 있다. 분석 결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총 866건을 기록하며 최근 두달간 사회공헌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0월 HDC현대산업
다우기술(대표 김윤덕)은 12월31일까지 다우오피스 신규고객을 대상으로 사용료 50% 할인과 PC보안솔루션 3개월 무료제공을 포함한 ‘2024 연말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2024년 11월18일부터 12월31일까지 6주간 진행되며 기업 업무효율성 향상과 보안강화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벤트 기간 내 다우오피스 신규 도입시 메일, 전자결재, 근태관리 등을 포함한 다우오피스 35가지 업무기능을 기존 1인 월 4,000원에서 50% 할인된 월 2,000원에 사용가능하다. 또한 특별혜택으로 기업 보안수준을 강화할 수 있는 PC보안솔루션인 엑소스피어를 3개월간 무료로 제공한다. 3개월 무료 이용기간이 끝난 후에도 12개월 이용료에 대해 50% 할인혜택이 적용돼 비용절감 혜택을 이어갈 수 있다. 다우오피스는 현재 1만 개 이상의 기업이 사용하는 올인원 업무 플랫폼이다. 메일과 전자결재 등 협업에 필요한 그룹웨어 기능을 비롯해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경리회계, 카드사용 내역을 확인하고 경비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경비관리, 그리고 임직원이 급여 및 인사 정보를 확인하고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는 인사관리 기능 등 기업경영에
건축공간연구원(auri, 원장 이영범)과 한솔아이키움(대표 박연정)은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의 건축문화와 건축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해 11월21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솔아이키움은 지난 5월 서초구와 원베일리 입주자대표회의, 신반포3차·경남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간 채결된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 개방을 위한 협약'을 통해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의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의 운영사로 선정됐다. 이는 전문 민간기업이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 운영을 맡은 첫 사례로 이용자의 수요와 개선사항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며 데이터 구축 및 분석을 기반으로 중장기 운영 안정화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의 정책 및 제도 개선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의 건축문화 및 건축서비스산업 육성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의 데이터 관리 및 분석 협력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인적교류 등을 중심으로 서로 협력할 예정이다. 최근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된 대규모 공공주택 단지들이 잇달아 조성되면서 주민공동시설 개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공공개방 커뮤니티시설은 지역사회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되는 동시에 시
테라플랫폼은 유망 아이템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과 스타트업기업을 체계적으로 발굴해 육성하는 액셀러레이팅 전문기업이다. 이를 위해 정부 R&D과제를 기획 및 제안하고 수주 후 고객기업과 공동개발을 통해 핵심특허를 출원하며 컨설팅을 통해 국내·외 증시에 상장을 이끄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테라플랫폼은 탄소중립과 ESG 및 기후환경·에너지분야의 미래 유망아이템을 집중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관련 기업들과 공동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하는 등 70여개의 유망아이템과 협력기업을 확보하고 있다. 송재형 테라플랫폼 본부장을 만나 칠벤타 참관 계기 등을 들었다. ❙ 칠벤타에서 느낀 글로벌 트렌드는 칠벤타는 콜드체인, 히트펌프분야 글로벌 선도기업 주요제품과 최신 트렌드를 확인하고 에너지효율, F-gas규제 강화추세에 맞춘 기업들의 대응현황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지속가능한 냉난방솔루션에 초점을 맞춘 혁신기술과 미래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냉매분야에서는 GWP(지구온난화지수)가 낮은 R290(프로판), R717(암모니아), CO₂, R32 등을 적용한 제품군이 주도하고 있었다. 또한 180℃ 이상 산업용 고온히트펌프기술과 증발냉각기술을 적용한 하이브리
한양대학교 ERICA는 산업용 히트펌프 종합시스템의 COP성능시험 및 안전운전 표준제정에 참여 중이다. 특히 MVR(Mechanical Vapor Recompression) 증기재압축기 성능, 시스템 단체표준, KS, ISO 표준화 관련 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 표준화 연구 활동을 통해 기술 실용화와 확산을 촉진하고 있는 임병직 한양대 ERICA 산학협력단 교수를 만나봤다. ❙ 칠벤타 참관배경은 산업용 고온스팀히트펌프기술의 국제적 표준화와 시장확장 방안을 모색하고자 참관했다. 칠벤타 참관을 통해 해외기술 특징과 개발방향, 인증기관 및 절차 등을 파악해 표준에 반영함으로써 국내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글로벌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 주목할 만한 히트펌프 제품은 여러 산업용 히트펌프 제조사가 최신기술을 선보였다. 주로 에너지효율, 지속가능성, 자연냉매(CO₂, R290, NH₃ 등)를 사용하는 점이 주목을 끌었다. Heaten은 화석연료기반 열원을 대체해 탈탄소화를 지원하는 산업용 고온히트펌프를 출품했다. HeatBooster VHTHP는 초고온히트펌프(very high temperature heat pump)로 일반적인 히트펌프보다 훨씬 높은 온도
1967년 창립해 57년동안 신의와 성실을 바탕으로 냉장·냉동분야에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한 경동산업(대표 여환준)은 냉동냉장에 필요한 유닛쿨러, 콘덴싱유닛, 인버터콘덴싱유닛, 항온항습기, 냉풍건조기 및 이원냉동기 등을 제조해 전국 대리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유럽 선진국에도 수출해 제품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경동산업은 오랜 경험으로 수요자의 needs를 충족시키며 미래지향적이며 혁신과 최신 기술을 주도하는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외에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여환준 경동산업 대표를 칠벤타 부스에서 만나봤다. ■ 이번 칠벤타에 출품한 배경은 냉동시장 트렌드를 파악해 제품품질향상하고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2005년부터 독일 칠벤타뿐만 아니라 각종 해외 전시회에 출품해 꾸준히 ‘경동산업’이라는 사명과 제품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를 통해 해외 바이어에게 경동산업 제품이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었으며 제품을 사용한 바이어들에게 높은 품질을 인식시킬 수 있었다. 현재까지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친숙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칠벤타뿐만 아니라 타 해외 전시회에 출품하는 것은 경동산업의 사명과 제품, 나아가 대한민국의 냉동기기산업의 기술
선유이앤씨는 열에너지를 응용한 히트펌프시스템과 연료전지 발전분야에서 연구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친환경 ESG 기계시스템을 설계, 제작 및 설치하고 있다. 탄소중립과 신에너지기술 개발과 지적소유권을 확보해 기술상용화를 통해 에너지분야의 새로운 가치창조에 앞장서고 있다. 최근에는 물을 전기분해 시 발생하는 브라운가스(HHO), 수소이온(HH), 산소이온(O)을 각 산업분야에 상용화한 가전제품과 수소수를 이용한 수경재배제품 생산, 수소발전 등의 기술을 상용화하고 있다. 이동건 선유이앤씨 소장을 만나 냉동공조시장 글로벌 주요 이슈를 들었다. ❙ 칠벤타 참관배경은 국책과제인 보일러 대체 산업용 180℃급 고온 스팀히트펌프 기술개발 및 실증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맞춰 냉매 및 압축기의 글로벌동향과 신기술, 신제품 등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참관했다. ❙ 글로벌 주요 이슈는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에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Low GWP(지구온난화지수) 냉매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며 R717(암모니아, GWP 0), R744(CO₂, GWP 1), R290(프로판, GWP 3) 등 3가지 냉매와 R32(GWP 675) 냉매로 저온 및 냉난방시스템을 구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