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단이 올해부터 시행된 민간부문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의무화 시행을 대비해 산업계 관계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6월19일 서울 세텍 컨벤션홀에서 민간 설계기준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글로벌 기후위기에 따라 국제사회는 탄소중립논의가 확산됐으며 국가별로 대응목표를 수립해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고 있다. 기존 파리기후협약에 따른 국가별 탄소감축목표는 기후위기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위기의식에 따라 2020년 이후 ‘2030년 NDC 감축목표’를 상향해왔다. EU는 1990년 대비 최소 55% 감축을 목표로 세웠으며 영국은 더 나아가 68% 감축을 선언했다. 미국은 2005년 대비 50~52%, 캐나다는 2005년 대비 40~45%, 일본은 2013년 대비 46% 감축을 목표로 삼았다. 2050년 탄소중립까지 매년 균등감축할 경우 이들 국가의 2030년 감축수준은 △EU 66.7% △영국 66.7% △미국 55.6% △캐나다 55.6% △일본 45.9% 등이다. 우리나라도 2010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정, 2020년 ‘2050 탄소중립’ 선언, 2021년 탄소중립 시나리오 및 2030 NDC 상향안 확정 등 기후위기 대응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특히 탄소중립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를 감축해야 한다. 우리나라 2018년 탄소배출량은 7억2,760만톤이며 이에 따른 2030년 목표 배출량은 4억3,660만톤이다. 이중 건물부문은 2018년 5,210만톤을 배출했으며 2030년 감축목표에 따른 배출량은 3,500만톤으로 2018년에 비해 32.8%를 감축해야 한다. 2021년 상향한 이 목표배출량은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다. 최근 배출량 통계인 2023년 건물분야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살펴보면 건물부문 총 온실가스 배출량 잠정치는 4,420만톤으로 이는 전년 대비 약 6.9%, 2018년 기준으로 약 15.2% 감축한 양이다. 건물부문의 2018년 이후 배출량은 △2018년 5,210만톤 △2019년 4,860만톤(6.8% 감소) △2020년 4,650만톤(4.3% 감소) △2021년 4,690만톤(0.8% 증가) △2022년 4,750만톤(1.3% 증가) △2023년 4,420만톤(6.9% 감소) 등이다. 건물부문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 해야 한다. 다만 건축물의 존재목적인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재실자 보호’ 기능을 약화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외부환경에는 기후위기에 따른 혹한·혹서 조건도 포함된다. 건축물은 인구·건물 및 경제활동 증가, 기후변화 심화 등에 따라 사용하는 에너지량 증가가 불가피하지만 건물분야 온실가스 감축은 전 지구적 인류생존을 위해 실천해야할 과제로 필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녹색건축 정책은 건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손실 최소화, 에너지생산, 에너지절약 등 3요소를 주축으로 삼고 있다. 구체적인 실행전략으로 신축건물의 제로에너지화를 위한 ZEB 단계적 확대, 기존건물 에너지성능 개선을 위한 그린리모델링(GR) 규모 단계적 확대, 녹색건축 실현기반구축을 위한 에너지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에너지절감 정책지원 등을 추진한다. 신축건물 ZEB강화·기존건물 GR지원… 녹색건축 ‘속도’ 먼저 신축건물의 에너지성능 기준강화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과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이하 친환경주택기준)’을 운영하고 있다. 연내 개정될 예정된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은 설계단계에서부터 에너지저감기술을 적용토록 하는 기준이다. 열손실방지, 에너지절약형 설계, 고효율·신재생설비 등 요소를 반영해야 하며 모든 건축물의 의무규정인 열손실방지 조치 외에 다른 요소를 반영한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제출해 민건건축물은 65점 이상, 공공건축물은 74점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연면적 3,000㎡ 이상인 업무시설 및 교육연구시설의 경우에는 에너지소요량 평가서를 제출해야 하며 개정 전 기존 기준에 따르면 민간은 200kWh/㎡·y, 공공은 140kWh/㎡·y 미만이어야 한다. 친환경주택기준은 주택법에 따라 사업주체가 공동주택 사업계획 승인을 신청할 경우 에너지절약계획을 제출토록 하고 있으며 6월30일부로 강화된 내용의 기준이 시행된다. 개정 전 기준에 따르면 1차 에너지소요량 120kWh/㎡·y 미만 또는 고시에서 정하는 모든 설계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고시 내 설계기준은 창 벽체 단열, 열원설비, 고단열·고기밀 강재문, 창면적비, 발코니 외측창 단열, 창 기밀성능,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 등이다. 이번 개정에 따라 6월30일 이후부터는 1차에너지소요량 기준이 100kWh/㎡·y 미만으로 강화되며 벽체·창호 단열성능 등 항목별 설계기준이 상향된다. 녹색건축법에 근거한 이러한 기준과 함께 운영중인 ZEB인증제도는 정부가 목표로 삼은 신축건물의 제로에너지화의 핵심 정책수단이다. ZEB는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는 패시브건축기술,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액티브설비기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소요량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ZEB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작동하고 있는 ZEB인증제도는 지난 1월부터는 기존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과 통합해 개편됐다. 건축물은 에너지자립률 20~120%, 에너지소요량 –10~90kWh/㎡·y(주거용) 또는 –70~130kWh/㎡·y(비주거용) 등 성능을 만족하면 수준에 따라 +~5등급의 ZEB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기존건축물의 경우에는 GR활성화를 통해 건물탄소중립을 실현한다. GR은 기존건축물의 창호, 단열재, 노후설비 교체 등 건물에너지 성능개선공사를 통해 노후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높이고 정주환경을 개선하는 방식을 말한다. GR사업은 공공과 민간을 대상으로 사업이 추진되며 공공건축물은 사용승인 후 10년 이상 건축물을 대상으로 사업비를 지원한다. 민간건축물은 GR공사비의 이자를 최대 4%까지 지원한다. 기존건물 GR에 대해서는 현재 지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향후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의무화가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녹색건축 범위확대… 소형건축·목조건축까지 정책저변 확장 제3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에 따르면 신축건물의 ZEB화를 위해 공공부문은 기존 공동주택 30세대 이상, 500㎡ 이상 일반건축물을 대상으로 부여했던 ZEB 5등급 의무를 1,000㎡ 이상 17개 용도 건축물에 대해 ZEB 4등급으로 강화했다. 또한 그간 권장사항으로 ZEB인증 시 인센티브를 부여했던 민간부문도 공동주택 30세대 이상, 1,000㎡ 이상 일반건축물에 대해 5등급 수준의 설계를 하도록 의무화했다. 이를 위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이 연내 강화되며 민간영역이 ZEB 확산에 대응하도록 △ZEB최적화 컨설팅 지원사업 △ZEB인프라 구축 지원사업 △전문인력 양성교육 등 지원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또한 향후 국내 건축물의 82.5%를 차지하는 500㎡ 미만 소규모건축물이 녹색건축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었음을 금안해 소형ZEB시장 육성을 위한 건축자재·설비인프라 확충정책이 추진된다. 최적 외피시스템 등 자재와 친환경 설비기술을 발굴·육성하며 용도별 소형ZEB 관련기술 적용을 촉진하고 소형건축물의 열, 전기, 수소 등 에너지저장 관련 설비도입 방안마련이 추진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설계표준과 지원체계가 구축될 예정이며 가이드라인에는 패시브, 액티브, 신재생에너지 등 내용이 포함되고 인허가단계에서 ZEB수준으로 건축되도록 건축계획·설계·보조금·경제성분석 등에 대한 컨설팅이 지원된다. 이와 함께 탄소저장·감축에 유리한 목조건물 확산기반 마련도 병행한다. 목조건축은 내재탄소를 줄일 수 있으며 자재생산·건축·운영·폐기 시 탄소감축이 용이해 순환적 건물탄소중립이 가능한 건축양식으로 평가된다. 이를 감안해 목조건축 활성화를 위한 법률인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목조건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지난해 11월 발의됐으며 정부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목조건축 기술발전 및 산업육성을 위해 지원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며 개별건물 및 도시·단지단위 목조화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 목조건축 R&D 및 시범사업에 대한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에너지공단, 올해 정책변경사항 안내 에너지공단은 올해 녹색건축분야 주요 정책변경사항을 안내했다. 먼저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이하 녹색건축법) 개정이 진행됐다. 기존 법령에서는 ZEB인증 취득을 위해 불필요한 행정절차 및 규제가 존재했다. ZEB인증을 위해서 유사목적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1++ 이상 선행취득이 필요했으며 인증의무대상 건축물은 인증취득에 더해 ‘인증 결과표시’와 같은 불필요한 규제를 준수해야 했다. 또한 일정 인증등급 이상을 취득토록 규정하고 있지 않아 최하등급인 5등급을 목표로 건축되고 고등급을 취득케 하는 유인동력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실제로 ZEB 본인증의 약 48%, 예비인증의 약 63%가 최저등급인 5등급을 취득했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정부는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인증 및 ZEB인증을 ZEB인증제로 통합했으며 인증결과표시 의무를 삭제해 건축주 재량에 따라 자유롭게 명패를 부착할 수 있게 했다. 또한 공공건축물의 경우 1,000㎡ 이상 17개 용도건물에 대해 4등급을 취득하도록 의무화해 고등급 취득의무를 부여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통합된 ZEB인증제도는 현재 인증기준인 에너지자립률을 유지하는 한편 1차에너지소요량 기준을 추가해 둘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해당되는 등급을 획득할 수 있게해 제도수용성을 강화했다. 또한 등급체계를 간소화해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내 실효성과 수요가 없는 하위등급을 삭제했다. 기존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은 7~1+++등급 등 총 10개 등급이 있었으나 실효성이 없는 하위등급을 삭제해 6개 등급으로 간소화했다. 특히 처음으로 소비하는 에너지보다 생산하는 에너지가 많은 에너지자립률 120% 이상 또는 1차에너지소요량 주거용 –10kWh/㎡·y, 비주거용 –70kWh/㎡·y 미만인 플러스에너지건축물(PEB)에 대해서도 ZEB +등급을 별도로 부여할 수 있게 해 진취적 ZEB 확산여건의 기반을 만들었다. 절차적으로도 선행인증인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가 삭제되고 현장평가절차도 1회로 감소함에 따라 절차가 간소화됐으며 인증업무 편의성이 향상됐다. 특히 기존 ZEB인증은 BEMS 또는 전자식 원격검침계량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도 인증이 가능했으나 이를 BEMS시스템으로 일원화해 건물에너지 모니터링 및 운영단계 최적제어 강화를 위한 기반도 마련됐다. 공공건축물 의무강화의 경우 17개 대상용도는 △교육연구 △업무 △교정 △운동 △노유자 △문화 및 집회 △수련 △관광휴게 △운수 △묘지관련 △의료 △방송통신 △판매 △숙박 △위탁 △종교 △장례 등 시설이 해당한다. 이들 용도 중 1,000㎡ 이상인 경우 ZEB 4등급 이상 인증이 의무가 됐다. 이밖에 공공건물은 종전 의무규정인 ZEB 5등급인증이 유지된다. 지난 1월1일 이후 건축허가를 신청한 건물부터 적용받고 있다. 이밖에도 기계적인 ZEB인증 의무화 부여에 따라 현장에서 겪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에 건축되는 건축물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가 불합리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건축목적·기능·설계조건·시공여건 등 특수성으로 인증등급 획득이 불합리하다고 인정되는 건축물은 인증등급을 완화해 적용할 수 있게 했다. 이에 해당하려면 에너지공단에 ZEB인증 의무완화 신청을 해야 한다. 인증신청 후 50일 이내에 기술위원회가 검토결과 타당한 것으로 의견을 도출하면 인증운영위원회에서 결과를 통보받을 수 있다. 녹색건축법 개정 외에도 민간ZEB 5등급 수준 설계의무 부여를 위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개정을 통한 에너지절약계획서 기준이 강화된다. 이는 연면적 500㎡ 이상 건축물이 허가 및 신고행위 시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의무서류다. 현행기준은 에너지절약계획서에 포함되는 에너지성능지표(EPI)에 따라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하도록 규제한다. 건축주체는 시방기준 또는 총량기준을 선택할 수 있다. 시방기준으로 △건축부문 의무 7개 및 평가 10개 항목 △기계부문 의무 5개 및 평가 17개 항목 △전기부문 의무 8개 및 평가 11개 항목 △신재생 평가 4개 항목 등 총 42개항목의 준수여부를 평가한다. 최대 127점(비주거 3,000㎡ 이하 소형) 중 공공은 74점, 민간은 65점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총량기준으로는 1차에너지소요량 200kWh/㎡·y 미만을 달성해야 한다. 향후 개정되면 시방기준을 선택할 경우 기존 부문별 총 20개 의무항목 및 42개 평가항목 중 공통 5개 항목, 중앙공조방식 추가 3개 항목 등 배점이 개정된 의무항목에 대해 총 65점을 획득해야 한다. 총량기준으로는 현행 대비 50kWh/㎡·y 낮은 1차에너지소요량인 150kWh/㎡·y를 달성해야 한다. 이는 ZEB인증제도 상 에너지자립률 약 1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에너지공단은 이러한 개정·강화규제가 확산되고 현장 수용성을 향상하기 위해 ‘ZEB에너지 최적화 컨설팅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상건축물의 설계단계를 고려한 컨설팅 무료지원으로 ZEB 구축비용 최적화방안을 제시한다. 민간·공공건축물은 설계·시공·운영 등 단계별로 패시브·액티브 기술분석을 통해 기술·시장정보 등에 대한 컨설팅 지원을 받음으로써 ZEB 구축비용을 최적화하고 효과적 에너지절감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기본·실시설계·운영단계의 건축물 중 ZEB인증을 획득하고자 하는 건축주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신청자 중 의무대상이 아닌 자발적 인증건축물의 경우 규모, 용도와 무관하게 의무 인증대상에 비해 우선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다만 동일 순위 내에서는 ZEB인증 3등급 이상 고등급 건축물, 2만㎡ 이상 대형건축물,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등을 우선으로 선정한다.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송두삼 성균관대 교수) 하계학술대회가 6월18일부터 20일까지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알펜시아리조트에서 2박3일간 개최됐다. 이번 학회는 ‘사람과 함께하는 따뜻한 설비기술’을 주제로 총 343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25개 분야 28개 특별세션이 구성됐으며 3일간 약 1,000여명이 참가등록해 전년 수준의 규모를 유지했다. 특히 설비공학회는 장영수 차기회장(국민대 교수)을 조직위원장으로 △총괄 △총무 △사업 △학술 담당의 총 83명의 조직위원회를 구성해 학회행사를 내실화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토교통부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설비기술협회 △늘푸른재단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 △강원관광재단 △대한설비설계협회 △한국건설기술인협회 기계기술인회 등이 후원했으며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기업을 비롯해 △가온테크 △건원엔지니어링 △건일엠이씨 △경동나비엔 △대성히트에너시스 △대우건설 △두산건설 △롯데건설 △메쎄이상 △부스타 △비엔에스조인트 △삼성전자 △삼양그룹 △삼화엔지니어링 △스피폭스 △신성엔지니어링 △신우밸브 △앱트뉴로사이언스 △에어패스 △유원엔지니어링 △이젠엔지니어링 △장한건설 △지지케이 △코오롱글로벌 △태영건설 △테스토 △포스코이앤씨 △하이멕 △한화 건설부문 △행림종합건축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힘펠 △GS건설 △H&C시스템 △HDC 랩스 △HDC 현대산업개발 △LG전자 △PPI 등 총 96개 기업이 협찬했다. 학회는 일반세션으로 △AI활용 △공조설비 △실내환경 △열전달 △외피 및 창호 △친환경 건물시스템 △냉난방부하 △에너지시뮬레이션 △냉동/히트펌프 △건물에너지 △계측제어 △신재생 △공조부문 △신제품/신기술 △에너지생산 △공기청정 △열유체해석 △설계시공 등으로 구성됐다. 특별세션으로는 △액화수소설비전문 △지열/수열설비전문 △차세대 대체냉매 △ZEB용 HVAC 기술기준 포럼 △에너지기술평가원 △공조부하계산 표준화 특별위원회 △클린룸설비전문 △자동제어부문 △여성설비위원회 △태양에너지전문 △소방/방재부문 △데시컨트냉방 △축열 △대용량 히트펌프 기계설비기술사회 △미래성장위원회 △액침냉각 △지역냉난방 △공동주택부문 △냉동공조산업발전위원회 △가스냉방 △콜드체인부문 △위생부문 △미래모빌리티 열관리전문 △건축환경부문 등이 마련됐다. 특히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는 기업전시관이 구성돼 △가온테크 △동성케미컬 △비앤에스조인트 △삼양발브종합종합메이커 △센도리 △일진이앤에스 △케이티이엔지 △테스토코리아 △힘펠 등이 부스를 마련했다. '사람을 위한 설비기술'… 기후변화·경기침체 극복 방향성 제시 6월19일 컨벤션센터 2층 포레스트홀과 레이크홀에서 진행된 만찬회에서 송두삼 설비공학회 회장은 “최근 가속화되는 기후변화로 이제는 지구온난화를 넘어 ‘Global Boiling’이라고 명명할만큼 예측하기 힘든 방향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는데 국내 건물에너지 소비 약 71%를 차지하는 기계설비분야의 기술혁신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더 나아가 국내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에 가장 중요한 핵심전략이 되고 있다”라며 “기후변화 및 세계적 경기불황으로 국민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기계설비기술이 국민들에게 위로가 되고 기계설비산업이 우리 건설산업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는 핵심기술로 역할을 다하겠다는 지향과 다짐을 담아 이번 하계학술대회의 주제를 ‘사람과 함께하는 따뜻한 설비기술’로 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대회는 1년간의 기술개발 및 연구내용을 공유하고 친교하는 연중행사로 국내회원뿐만 아니라 일본(JSRAE), 중국(CAR), 대만(TSHRAE), 베트남(VISRAE) 등 해외에서도 많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행사로 발돋움하고 있다”라며 “장영수 조직위원장과 박창용, 박정규, 이현진 부위원장을 비롯한 총 83분의 조직위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봉사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이번 하계학술대회가 우리 기계설비인들의 연구·기술교류와 축제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장영수 하계학술발표대회 조직위원장은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설비기술의 방향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하며 기술의 목적이 단지 성능이나 효율을 넘어 사람의 삶과 관계까지 따뜻하게 변화시켜야 한다는 대의를 담고 있다”라며 “학회 50주년 기념 휘호인 ‘용설후생’ 즉 설비로써 사람을 이롭게 하여 그 생활을 풍요롭게 만든다는 말은 기계설비분야가 추구해야 할 본질적인 가치와 사명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학술대회는 총 343편의 논문이 발표되며 25개 분야 28개 특별세션, 신기술 및 제품, 설계사례, 국책과제 기술공유회,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 전시회 등 학계와 산업계, 연기관, 정부기관이 한 자리에 모여 최신의 설비기술과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으로 AI기술 융합,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 기술, 스마트 건축환경 구현 등 설비기술의 현재와 미래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세션이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학술대회에서 학문적인 논의뿐만 아니라 회원간 친목과 휴식을 위한 월정사-상원사 트레킹, 웰컴파티 및 설비인의 밤, 만찬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준비돼 있어 자연 속에서 기술과 사람의 의미를 다시 느낄 수 있는 자리가 됐으면 하며 회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중한 동행으로 성공적인 학술대회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강조했다. 민태기 연구소장, 건축·공학·예술 통섭 필요성 강조 초청강연으로는 민태기 에스엔에이치 연구소장이 초빙돼 6월19일 컨벤션센터 1층 오디토리움에서 ‘공학이 만든 음악공간, 그리고 공간의 권력’을 주제로 발표했다. 민태기 연구소장은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삼성전자와 미국 UCLA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판타레이’, ‘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 등 다양한 저서를 집필했으며 현재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엔진제작에 참여 중이다. 민태기 연구소장은 이번 특별강연을 통해 공학이 사람의 감성과 문화적 경험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조명하며 공간과 설비기술이 단지 기능적 역할에 그치지 않고 어떤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내는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제안했다. 민태기 연구소장은 “1851년 런던 만국박람회의 성공이 과학, 예술, 음악이 집약된 ‘앨버트 폴리스’의 탄생으로 이어졌으며 홀의 외벽에는 ‘예술과 과학의 진흥을 위해’라는 문구가 세겨져있다”라며 “한국 사회가 건축과 공학, 예술을 분리해서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이들의 융합이 어떻게 새로운 문화와 권력을 창출하는 지 고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연이 끝난 후 송두삼 설비공학회 회장은 민태기 연구소장에게 감사장을 전달했다. 우수논문·연구교수상, 장관상 등 16명 수상 하계학술대회에서는 늘푸른재단의 학술연구 지원금과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의 학술발표대회 우수교수 연구지원금 전달식이 진행됐다. 또한 우수논문으로 선정된 연구자에게 국토교통부 장관상, 협·단체장상 및 기관장상 등 다양한 훈격의 상장이 시상됐다. 국토부 장관상에는 △박창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병용 한밭대학교 교수 △서정식 한국냉동공조인증센터 박사가 선정됐으며 늘푸른재단상은 김소연 중앙대학교 회원이 받았다. 또한 △이동식 한밭대학교 회원(한국에너지공단상) △최광원 인하대학교 회원(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상) △채수원 부산대학교 회원(한국설비기술협회상) △임수환 고려대학교 회원(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상 △한광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회원(대한설비설계협회상) △최용진 국민대학교 회원(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상) △최성민 조선대학교 회원(축열/에너지저장특별세션상) △신다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원(한국가스공사상) △최지민 수원대학교 회원(한국지역난방공사상) △조용철 LH 회원(한국토지주택공사상) 등이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돼 수상했다. 이와 함께 우수연구교수상에는 △김민성 중앙대학교 교수 △정창호 수원대학교 교수가 선정돼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상을 수상했다.
최근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대표발의한 ‘인공지능데이터센터 진흥 및 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안(이하 AIDC진흥법)’이 현재 국회 소관상임위인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관련업계는 법안 시행을 앞두고 실질적인 현장적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번 법안은 일정기준 이상의 에너지효율을 갖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의 경우 수도권 내 건립이 가능해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인공지능DC, 기존 DC와 독립된 법적지위 확보 이번 법안은 AI 시대를 맞아 국가 AI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인프라로 부상한 AI DC를 국가차원의 전략 인프라로 육성하기 위해 제안됐다. 현재 인터넷DC(IDC)나 클라우드센터 등 기존 DC와는 달리 고성능 AI DC 특수성을 반영하는 별도의 정책적 틀이 부재한 상황이다. AI DC는 고용량 전력·냉각시설·통신망이 동시에 필요한 인프라임에도 일반산업시설로 분류돼 입지 선정과 전력 증설 등에서 행정적 병목이 발생해 왔다. 또한 민간사업자가 개별적으로 DC를 구축 중이지만 이를 국가 차원의 전략인프라로 체계화하는 정책적 투자유인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법안은 AI DC의 특례 조항을 마련하고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행정절차 효율화, 기반 인프라 안정적 확보, 종합적 지원체계 마련을 통해 AI 반도체, 초거대 모델, 데이터산업과 연계되는 실질적 토대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법률안의 주요 내용은 국가와 지자체가 AI DC의 안정적 구축과 운영을 지원하는 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의무화하고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통해 입지, 전력수급, 기술개발, 인력양성, 수도권 및 비수도권 활성화 방안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국가AIDC진흥위원회를 설치해 관련정책을 심의하고 조정하도록 했다. 인허가 간소화, 세제감면, 금융지원, 전력 및 부지확보 지원, 수도권 구축 특례, 해외기업 유치 및 국내기업 해외진출 지원, 전담기관 지정, 의견수렴 절차 등이 마련되며 특구지정제도를 통해 특화된 지역지원 방안도 포함된다. 이와 함께 규제개선 신청절차도 마련해 현장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제도적 통로를 제공하고 있다. 법률안은 AI DC를 기존 DC와 명확히 구분해 정의하고 있다. AI DC란 대규모 데이터의 저장, 처리, 학습, 추론 등 AI 개발 및 서비스 운영에 특화된 시설로서 그래픽처리장치(GPU), 신경망처리장치(NPU) 등 고성능 서버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전력·공조·냉각시설 등 관련 기반 시설이 집적된 시설을 의미한다. 이는 정보통신망법상 집적정보통신시설이나 지능정보화법상 DC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개념이다. 이 정의를 통해 고전력, 고집적, 고성능 요구조건을 반영한 독자적 지원·규제체계가 처음으로 법제화되는 셈이다. 정부는 법 시행 후 5년마다 AI DC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기본계획에는 발전목표 및 정책방향, 입지, 전력수급, 네트워크 연계, 기술 연구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제도개선 사항, 비수도권 활성화 방안, 데이터 수집·보관·활용 촉진방안, 재원조달 및 공공수요 발굴 등이 포함된다. 관계 부처와 지자체는 이 기본계획을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해야 한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AIDC진흥위원회가 설치되며 위원회는 기본계획 수립, 시행실적 점검, 수도권 특례 심의, 입지기준 마련, 특구지정 심의 등 핵심정책을 심의·조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E효율 기준충족 시 수도권 입지 허용… 냉각기술 ‘핵심변수’ 부상 법안은 원칙적으로 비수도권 중심의 분산형 구축을 유도하면서도 일정 에너지효율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수도권 내 구축도 허용할 수 있도록 특례를 마련했다. 이는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현재 수도권 지역은 전력수급, 환경영향, 교통유발 부담 등을 이유로 신규 DC입지가 제한된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이번 법안을 근거로 마련될 에너지효율 기준 충족 시 수도권 내 AI DC 구축을 허용하는 특례조항은 수도권 DC 수요해소에 중대한 정책적 변화를 예고하는 대목이다. AI DC는 일반 DC 대비 전력 집약도가 높은 만큼 효율적 에너지관리 기술이 핵심적이다. 정부가 에너지효율성을 기준으로 수도권 내 신규 입지를 허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은 냉각시스템 고도화, 고효율 전력설비, 폐열회수 등 고효율 인프라 투자를 적극 유도하려는 정책적 의도로 해석된다. 실질적으로 수도권 내 초고성능 AI연산센터, 초거대모델 트레이닝 전용센터 등의 입지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특히 AI DC의 에너지효율성을 좌우하는 핵심분야로 냉각시스템이 지목된다. AI 학습용 서버는 고성능 연산처리로 인해 막대한 발열을 동반하며 이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효율 냉각설비 구축이 필수적이다. 최근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 수랭식 냉각(Direct Liquid Cooling), 프리쿨링(Free Cooling) 등 다양한 차세대 쿨링기술이 실증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설비기술이 수도권 입지허용 기준충족의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DLC(Direct Liquid Cooling), D2C(Direct to Chip), 액침냉각 등 수랭식 쿨링기술은 공기냉각 대비 냉각효율을 최대 90% 이상 향상시키고 서버 밀집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동시에 전력사용효율(PUE) 지표개선을 통해 에너지소비 총량을 줄이면서 전력계통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어 정부가 수도권 내 AI DC 입지허용을 위한 평가기준으로 이러한 고효율 냉각기술 도입 수준을 적극 반영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더해 폐열회수 및 활용기술도 병행될 경우 DC의 에너지자립성 및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정책적 평가를 더욱 유리하게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법안은 조세특례제한법, 지방세특례제한법 등과 연계해 AI DC 구축에 필요한 각종 조세감면을 적용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다. 특히 폐열회수기술, 단열기술, 액침냉각기술 등 고효율 기술개발 투자에 대해서는 세제상 및 금융상의 추가지원이 가능토록 명시됐다. 또한 전력계통 연계 시 AI DC 수요를 우선 반영하도록 했으며 송전계통부담금 감면 등 전력관련 비용경감 방안도 포함됐다. 냉각에 필요한 공업용수 공급지원, 적합부지 확보지원, 전용 전기요금제 도입 등을 정부가 적극 검토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AI DC에서 공공 및 민간데이터를 안전하게 수집·보관·학습·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추진하며 초거대 AI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대용량 데이터 확보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법안의 핵심 중 하나는 ‘AI DC 특구제도’의 도입이다. 정부는 국가균형발전 및 제조업 연계강화를 위해 특구를 지정할 수 있으며 분산에너지특화지역과 연계해 분산에너지 투자도 지원할 계획이다. 특구에 입주하는 기업은 전력공급시설, 용수공급시설, 신재생에너지설비 등 기반시설 설치비를 전부 또는 일부 지원받을 수 있으며 보조금 지급, 각종 부담금 감면, 국유·공유재산 사용료 감면, 부지매입 및 임대, 신용보증 우선지원, 설비투자비 및 서버·스토리지 취득비 지원 등 패키지형 종합지원을 받을 수 있다. 법안은 또한 해외 글로벌기업의 국내 투자유치 및 기술제휴 활성화를 위한 정부시책을 마련하고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도 포함시켰다. 이와 함께 정부는 전담기관을 지정해 법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수립에 필요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AI DC 특구 내 입주기업과 연구기관 등은 과기부장관에게 규제개선을 신청할 수 있으며 관계기관은 15일 내 검토결과를 회신해야 한다. 실증특례 부여를 포함해 규제자유특구, 산업융합촉진법, 정보통신진흥법상 특례제도와 연계돼 현장규제를 신속히 조율할 수 있도록 제도적 통로도 확보된다. 업계는 이번 법안이 실질적인 제도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패스트트랙형 인허가 간소화 시스템과 특구 내 종합지원제도는 부지확보, 전력수급, 자금조달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제야 AI DC에 특화된 법제도가 구축되기 시작했다”라며 “이번 법령이 얼마나 빠르게 통과될지, 구체적 하위법령과 시행령이 어떻게 설계될지가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법령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진흥위원회 구성방식, 수도권 특례기준, 세제지원 범위, 전기요금제 개편, 특구지정 기준 등 주요 세부사항이 대통령령 및 시행령에서 추가 논의될 예정이다. 정동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법률안은 단순한 지원법이 아니라 AI DC 산업 전체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재정의하고 핵심 인프라로 체계화하려는 입법적 시도로 평가된다. 향후 국회 논의과정에서 세부조문 정비와 업계 의견수렴이 병행된다면 대한민국 AI 생태계의 실질적 경쟁력 확보에도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열 복합모듈(이하 PVT)의 KS표준 제정 예고고시가 진행된 이후 올해 1월 예고기간이 종료되면서 KS표준 제정에 따른 태양열업계 시장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이 공지한 '결정질 실리콘 PVT 제정예고고시' 원안 작성은 △조성구 이맥스시스템 부사장 △류남진 탑솔 소장 △홍희기 경희대학교 교수 등이 소속된 태양열전문위원의 협력으로 진행됐으며 에너지기술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고시가 이줘질 예정이다. 제정(안) 내에는 PVT 제품의 정의규정, 시험조건, 시험방법 등 주요기술기준이 담길 예정이다. PVT는 자연광을 흡수해 발전과 집열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품으로 열매체를 통한 열전달과정을 통해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며 복수에너지를 생산한다. PVT는 형태에 따라 유창형과 무창형으로 구분되며 정의된 용어에는 △정격출력 △항온항습장치 △평판형 집열기 △투과체 등 PVT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포함될 예정이다. 제정(안) 항목 6에서는 시험장치구성에 대한 정의가 마련됐으며 △솔라시뮬레이터 △항온항습장치 △UV시험장치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규정했다. 항목 7에서는 시험방법과 품질기준이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전처리 시에는 △태양전지 △Glass △J-Box △프레임 등의 이상이 없어야 하며 열성능시험 품질기준은 무창형 PVT가 150W/㎡ 이상, 유창형 PVT는 300W/㎡ 이상이어야 한다. 열성능시험은 일기가 청명한 조건에서 작동온도범위 전체에 대해 시험돼야 하며 최초 수행되는 시험의 입구온도는 외기온도 ±3K 범위 안에 있도록 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최소한 4개의 독립된 데이터측정이 각 열매체 입구온도에 대해 이뤄져야 한다. 옥외노출시험과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 시험 시에는 제시된 품질기준을 만족해야 하며 ‘KS C ICE 61215’에 따라 시험이 진행된다. 정압누설시험에서는 열매체 누설이 없어야 하며 압력강하가 1% 이내여야 한다. 이와 함께 투과체의 변색이나 파손이 없어야 하고 절연시험 시 파괴나 균열이 없어야 한다. 모듈이 강우에 노출될 경우의 적격성을 시험하는 습윤누설전류시험에서는 모듈측정면적이 0.1㎡ 미만일 경우 절연저항측정값이 400MΩ이상, 0.1㎡ 이상일 경우에는 절연저항 측정값과 모듈면적의 곱이 40MΩ·㎡ 이상이어야 한다. 충격전압시험 시 시험 중 절연체 파괴나 복합모듈 표면에 탄화흔적이 없어야 한다. 태양광 노출에 따른 모듈의 열화정도를 평가하는 UV전처리시험 시에는 품질기준이 표준에서 정한 기준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온도사이클시험은 환경온도의 불규칙한 반복에서 구조나 재료간 열전도나 열팽창률의 차이에 의한 스트레스 내구성을 시험하는 것이다. 고온측(85±2℃)와 저온측(-40±2℃)으로 10분 이상 유지하며 고온에서 저온으로 또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최대 100℃/h의 비율로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한 사이클로 한다. 6시간 이내 시험을 통해 최대출력이 시험 전 값의 95% 이상이어야 하며 시험 중 회로가 단선되지 않아야 한다. 자연환경에서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습도-동결시험은 가혹한 자연환경에서 열팽창률 차이나 수분침입·확산, 호흡작용 등에 대한 구조나 재료의 영향을 시험하고 고온·고습시험은 고온·다습상태에서의 열적스트레스와 내구성을 시험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모듈 단자부의 외력강도를 평가하는 단자강도시험과 바람·눈·얼음에 의한 하중에 내구성을 확인하는 기계적 하중시험에 대한 정의도 규정됐다. 압력강하시험 시에는 각 시험조건에서 유량의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를 제시해야 하며 PVT의 입출구 연결부 사이 압력강하가 실제 작동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야 한다. 고온·고습상태에서 사용, 저장 시 태양광발전모듈의 열적스트레스와 적격성을 시험하는 고온·고습시험에서는 온도 85±2℃·상대습도 85±5℃%로 1,000시간 시험하며 2~4시간의 회복시간 후 정해진 규정에 따라 시험하게 된다. 최대출력은 시험전 값의 95%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국가기술표준원은 제정(안) 항목 8번과 9번을 통해 인증시험절차와 함께 제품제조·사용표시에 대한 규정도 제시했다. PVT는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소비자가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모듈의 적당한 곳에 △제품 주요사양 △제조일 및 제조번호 △인증부여번호 등을 표기해야 한다. 태양열업계의 한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PVT의 신재생에너지설비 도입과 KS제정이 신속히 이뤄지길 바라고 있다"라며 "KS표준제정 이후 PVT 실증사례가 더욱 확산되며 침체된 시장의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정예고고시를 마친 PVT KS표준은 심의를 거쳐 정식제정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e나라표준인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재명 제21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대선공약으로 내세우며 기후위기 대응 및 에너지전환 정책의 체계화에 본격적으로 나설 뜻을 밝혔다. 이는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등으로 분산된 에너지 및 기후관련 정책기능을 통합해 거버넌스를 재정비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이재명 후보는 최근 발표한 ‘기후위기 대응 및 에너지전환’ 분야 공약에서 “탄소중립 실현은 단순한 환경정책이 아닌 산업·경제 패러다임의 대전환”이라며 “국가 차원의 거버넌스를 정비하고 전담부서를 신설해 종합적이고 일관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기후위기는 단순히 지구온도 상승문제가 아닌 인류생존, 경제, 일자리, 인권의 위기”라며 “산업부의 에너지업무와 환경부의 기후업무를 한데 모아 기후위기 대응정책을 포괄적으로 수립하고 집행하겠다”고 복합위기 대응을 위한 통합 컨트롤타워로서 기후에너지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이재명 후보는 “탄소중립산업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라며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국민참여 기구로 실질화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제시했다. 설비·건축·콜드체인 등 인프라산업 정책지원 기대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될 경우 기계설비와 신재생에너지, 녹색건축 등 인프라부문은 전방위적인 제도개편과 투자확대가 기대된다. 특히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이 전체의 약 20~4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기계설비효율화와 신재생열에너지 보급확대는 정책 우선순위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기계설비업계는 기후에너지부를 통해 설비기준 강화, 성능검증 제도 고도화, 고효율 기자재 보급정책 등을 통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부처신설이 실질적인 정책집행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의가 전제돼야 한다는 과제가 있다. 신재생열에너지분야 역시 열에너지 활용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마련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간 전력 중심으로 편중돼 있던 정책에서 벗어나 열분야 비중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기대가 높다. 녹색건축분야에서는 설계단계부터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도록 현재 추진 중인 제로에너지빌딩(ZEB) 활성화에서 나아가 운영단계에서도 에너지자립이 가능한 ‘넷제로(Net-Zero)’ 건축도입이 본격화될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축물 에너지평가, 인증제도, 성능기반 설계체계로의 전환 등이 제도화될 경우 시장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콜드체인산업에서도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냉동·냉장설비의 고효율화, 탄소배출 저감기술 도입, 친환경 냉매전환 등 이슈가 정책적 우선순위로 다뤄질 경우 관련산업에 대한 제도적 관심과 지원이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감축경로 미설정 위헌’ 이후 입법조사처 전문가 간담회 등 시행 이번 공약은 국내·외 정책 흐름과도 연결된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지난 2025년 4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정부조직 개편방안’을 주제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고 현행 기후 거버넌스 체계가 목표 달성과 실효성 측면에서 한계를 지닌다고 진단했다. 당시 간담회에서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장은 발제를 통해 환경부의 기후탄소 정책과 산업부의 산업·에너지 정책을 통합하는 정부조직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기후에너지부’ 신설 또는 ‘기후환경부’로의 명칭변경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행정위원회 격상 필요성도 함께 제기했다. 참석자들은 해외 주요국 사례를 소개하며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정부조직 개편 방향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 공약은 지난 2024년 8월 헌법재판소가 내린 탄소중립기본법 관련 헌법불합치 결정과도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헌재는 정부가 2031~2049년 온실가스 감축경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것은 국민의 환경권을 침해한 것으로 보고 법률유보원칙과 과소보호금지원칙에 위배된다고 판시했다. 이에 따라 2026년 2월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경로를 입법적으로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 후보의 기후에너지부 신설공약은 체계적인 목표수립과 이행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를 확보하려는 대응전략으로 평가된다. 이재명 후보의 공약이 현실화될 경우 기후·에너지정책은 보다 통합적이며 실행력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를 위한 후속입법 및 예산확보, 부처 간 기능조정, 산업계와의 조율 등이 향후 관건이 될 전망이다.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재생열에너지 보급확대정책과 PVT 등 융합설비의 제도정비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정책이 제안됐다. 한국태양열융합협회(회장 권영호)는 5월27일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위원회 산하 기후위기대응위원회(이하 기후위)와 재생열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재생열에너지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기와 같이 개발·보급돼야 하지만 그동안 제도적 관심에서 소왜돼 관련업계 관계자들은 제도정비와 기술개발 추진을 요구해왔다. 이에 따라 태양열융합협회는 기후위와 △재생열에너지부문 역할제고 △열부문 탈탄소화기반 조성·구축 △재생열에너지 보급 확대·신기술개발 도모 등의 내용을 담은 정책협약을 맺었다. 협약식에는 △위성곤 기후위 공동위원장(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위진 기후위 공동위원장 △양이원영 기후위 수석부위원장△김종욱 기후위 수석부위원장과 △권영호 한국태양열융합협회 회장 △서정우 한국태양열융합협회 부회장 등을 비롯해 태양열융합협회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위성곤 기후위 공동위원장은 “재생열에너지는 지역분산, 화석연료 대체측면에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산업·공업·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가능한 에너지원”이라며 “향후에도 재생열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협력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영호 태양열융합협회 회장은 “역대 정부에서 태양광이나 풍력 등 전기에너지 관련정책은 신경썼던 부분이지만 태양열에너지에 대한 제도적 기반은 부족했다”라며 “이번 정책협약식을 통해 제안된 정책들이 현실화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생열E 공급·설치의무화 입법 제안 국내 온실가스 배출의 약 87%가 에너지소비에서 발생하는 만큼 저탄소에너지 활용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중 열부분의 생산량은 2.1%에 불과해 제도개선이 시급하다. 태양열융합협회는 열부문 역할제고와 탈탄소화를 위한 기반 구축과 해외 청정열에너지제도 등을 열에너지부문 정책수립 기반자료로 활용해 제도를 정비할 것을 제안했다. 태양열융합협회의 관계자는 “국내 신재생에너지제도는 전기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청정전기보급으로는 탄소중립 실현이 어려워 열에너지 탈탄소전략이 시급하다”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열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한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PVT 등 태양열E 융합설비도입 촉진 필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규칙 제2조’에 신재생에너지원별 설비를 규정하고 있으나 에너지원간 융합설비에 대한 규정이 부재한 상황이다. 그러나 그동안 진행돼 온 R&D 등으로 신재생에너지설비간 융합개발과 실증사업이 진행돼 신기술 개발을 통한 국내 신재생에너지 융합설비 보급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태양열융합협회는 향후 개발·실증된 융합설비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융합설비 정의 규정과 기술개발을 통해 완성된 융복합설비의 보급 활성화정책 마련을 제안했다. 특히 태양광·열복합패널(PVT)의 높은 효율을 강조했다. 전기생산 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해 온수를 함께 생산하는 PVT기술은 ZEB(제로에너지건축물) 등에 적용 가능한 융합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농촌진흥청과 LH 등에서 실증이 진행 중이며 삼성전자는 배출권거래제도 등 온실가스 저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PVT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며 지자체 실증도 추진하고 있다. PVT는 현재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에서 설치의무화 정책과제를 완료한 바 있지만 지정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태양열융합협회는 태양열에너지시장 활성화를 위한 신속한 PVT의 신재생에너지설비 지정을 제안했다. 태양열융합협회의 관계자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개별 열설비보급으로는 한계가 있다”라며 “기존 열설비와 히트펌프를 연계한 사용용도별 기술개발과 재생열에너지 설비 및 융합설비에 대한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보급지원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국방부 국정과제 및 3대 국방운영중점 과제인 장병복무여건 개선과 화석연료 대체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재생열에너지 보급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군대 내 PVT를 설치해 사계절 생활급탕공급으로 활용함으로써 전주기 활용성을 극대화해 병영주거생활의 화석연료 저감과 병사복지실현을 추진해야 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이외에도 효율적인 재생에너지 열설비보급 촉진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 부문에서 기존열설비와 히트펌프를 연계한 융합시스템 기술개발을 위한 기술지원과 보급촉진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양 기관은 전력중심의 기존 에너지 정책만으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공감하며 재생열에너지에 대한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합의했다. 협약식에 참석한 홍희기 태양열융합협회 자문위원(경희대 교수)은 “시스템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태양열히트펌프이지만 그동안 이야기가 없어서 아쉬움이 컸다”라며 “부디 이번 정책협약을 통해 혁식적안 아닌 실질적으로 재생열에너지 중요성을 제대로 파악해 우리나라 재생열에너지가 기후위기대응에 핵심으로 자리잡길 바란다”고 말했다. 위성곤 기후위 공동위원장은 “PVT의 경우 제주도 등에서 실증이 가능할 것으로 느껴졌다”라며 “향후에도 기술개발 지원 등 구체적인 정책제안이 있다면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탄소중립 핵심기기인 히트펌프산업 육성을 통해 내수시장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은 정책이 제안됐다. 한국히트펌프얼라이언스(공동의장 김민수·김완진)는 5월21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정책전달식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산하 기후위기대응위원회에 히트펌프산업 육성정책을 공식 전달했다고 밝혔다. 주요 선진국들은 히트펌프를 기존 화석연료기반 난방·급탕설비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높아 탄소감축과 에너지절감이 가능한 설비로 주목해 보급을 장려하고 있다. 국내는 보급 초기단계로 높은 초기투자비용과 누진제 등으로 보급이 저조한 상황이지만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히트펌프를 활용한다면 △제조 △설치 △유지보수 종사인력 증가와 △부품 △공급망 △물류 △R&D △유통업 등 관련 산업일자리 증가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히트펌프시장 확대 필요성에 따라 마련된 이번 정책전달식에는 △위성곤 기후위 공동위원장△위진 기후위 공동위원장 △양이원영 기후위 수석부위원장 △김종욱 기후위 수석부위원장과 △최준영 히트펌프얼라이언스 기획운영위원장 △임승철 히트펌프얼라이언스 제도개선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위성곤 기후위 공동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열에너지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현재 관련산업 육성이나 정책이 구현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기후위는 현재 온실가스 감축 핵심수단이 히트펌프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히트펌프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의 자리가 마련된 것이 매우 뜻깊다”라며 “이번 행사로 전달된 정책제안이 실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준영 히트펌프얼라이언스 기획위원장은 “전 세계에서는 이미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히트펌프가 핵심기술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라며 “다음정부에서는 히트펌프를 장려하며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일자리창출 등 경제활성화에 도움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HP산업 육성방안 담아 히트펌프얼라이언스에서 제안한 정책의 명칭은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한 고효율 히트펌프산업 육성’이다. 정책제안 핵심은 히트펌프 보급활성화를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프로젝트로 추진하는 한편 히트펌프를 새로운 성장동력 삼아 경제활성화와 일자리창출을 추진하는 것이다. 기존 화석연료 기반 난방·급탕 설비를 대체할 수 있는 히트펌프는 에너지효율이 높으며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효과적이지만 국내에서는 초기 투자비용과 제도적 제약 등의 과제가 있다. 이에 따라 히트펌프얼라이언스는 히트펌프보급 활성화를 위해 △가정 △상업 △산업 등 활용분야별로 현재 히트펌프시장이 지닌 장애물을 제거하며 보급전략 차별화를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가정용 HP전기요금체계 마련·R&D 추진 등 촉구 국내 가정용 히트펌프시장은 누진제 요금 적용으로 보급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히트펌프전용 전기요금 체제 마련과 가정용 고효율 히트펌프 도입을 위한 인증기준, 공동주택 히트펌프 설치의 물리적제약 해소를 위한 R&D 실증추진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히트펌프얼라이언스는 국내상황을 반영해 가정용 히트펌프 보급 확산을 위한 △히트펌프전용·특례전기요금체계 마련 △히트펌프 건축물 설계반영·실증 추진 △가정용 히트펌프 인증기준 마련 △보급확대 지원 등의 내용을 제안했다. 특히 전기요금 누진제로 인한 운전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별도 전기요금 도입과 호남이나 제주도 등 신재생에너지 밀집지역이나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을 대상으로 한 전기요금특례 적용이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축열식 냉난방·급탕히트펌프를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과 ‘친환경주택 건설기준’ 등에 포함시키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37조’ 개정을 통해 공동주택의 주요 열원 또는 보조설비로서 공기·수열 축열식 히트펌프 적용이 우선 고려될 수 있도록 법적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포함됐다. 가정용 히트펌프 인증기준 마련을 위한 R&D 추진과 중앙집중식 히트펌프보급 시범사업 추진 등도 추진해 가정용 히트펌프 보급장애물 제거와 시장확대기반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냉난방·급탕용 HP, 신재생E설비 인정 필요 상업용 히트펌프는 현재 규제로 인해 보급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규제완화 및 한정된 범위와 제한된 조건 하에 신재생에너지설비로 인정될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 히트펌프얼라이언스는 상업용 히트펌프시장 확대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연계 냉난방 급탕용 히트펌프가 신재생설비로 인정될 수 있는 근거 마련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기준 변경 및 건물에너지원단위 인센티브 부여 △열다소비업종 및 취약계층 히트펌프보조금 지원 확대 등을 제안했다. 특히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비중과 공기열히트펌프 성능계수(COP) 수준 등을 고려해 해당설비를 신재생에너지설비로 인정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1차에너지소요량 산정을 위한 전력 환산계수를 최신 발전효율기준에 맞춰 조정해 히트펌프를 설치한 건축물에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 가중치를 적용해 에너지자립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과 전력계통포화지역이나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에는 히트펌프 설치와 사용을 권고할 수 있도록 근거마련이 필요하다는 내용도 담겼다. 최준영 히트펌프얼라이언스 기획운영위원장은 “상업용 히트펌프는 가정용보다 보급이 유리하지만 인증·규제 등 문제로 인해 보급이 늦어지고 있다”라며 “가스나 기름 대신 고효율의 히트펌프를 사용할 경우 상업용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어 이번 정책제안에 관련내용을 반영했다”고 강조했다. 산업용 HP 통한 미활용열 활성화기반 마련돼야 히트펌프얼라이언스는 산업용 히트펌프 활성화를 위해 산업공정에 고온 대용량 열공급이 가능한 기술개발을 통해 히트펌프가 산업단지와 에너지다소비기업에 보일러 대체 열원설비 등으로 보급될 수 있도록 업종별 실증과 시범사업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산업용 보일러를 대체할 고온용 히트펌프 개발과 히트펌프와 연계한 미활용열 공급 실증사업 추진을 통해 기술개발 활성화와 미활용열에너지 이용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기업들의 CFE100(탄소무배출에너지100%)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용 히트펌프 적용으로 절감된 에너지를 무탄소에너지로 인정할 수 있도록 관련제도 마련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표준화된 측정·검증·보고(MRV)방법론 개발과 실적관리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책제안에 담았다. 최준영 기획운영위원장은 “건물에너지분야 탄소중립에 있어 유일한 솔루션은 히트펌프라고 생각한다”라며 “이번 정책제안을 통해 히트펌프가 내수활성화와 일자리창출에 기여하며 국내 히트펌프기업의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열E부문 정책필요성 공감… 제도개선 의지 확인 정책제안설명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히트펌프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필요성과 열에너지 정책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최준영 히트펌프얼라이언스 기획운영위원장은 히트펌프가 내년에 즉시 가능한지에 대한 질의에 “히트펌프는 내년에 즉시 실증이 가능하다”라며 “설계에 있어 기존보일러대비 복잡성이 늘어나지만 현재 기술발전이 상당히 진행돼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양이원영 기후위 수석부위원장은 “히트펌프보급 활성화를 위해서는 실시간 전기요금제가 이뤄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상황일 것"이라며 "단순히 누진제 완화만의 방식으로는 전기소비가 한 방향으로 늘어나며 히트펌프사용으로 최대 전력 수요가 상승하는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임승철 히트펌프얼라이언스 제도개선위원장(오텍캐리어 부사장)은 “일부 설비업계에서는 외기온도에 따른 히트펌프 효율 변동으로 인한 탄소중립 역행을 우려하지만 1차에너지환산기준을 명확히 설정하면 합리적인 기준정립이 가능할 것”이라며 “발전원별로 1차에너지 환산방식을 구분하는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확산도 함께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위성곤 기후위 공동위원장은 “현재 건물부문에 있어 열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라며 “연구·지원·산업육성 정책이 부족해 이에 대한 제도개선과 정책방향 수립을 위한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히트펌프얼라이언스는 정책전달식 이후에도 히트펌프산업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인식확산·제도개선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2025년 5월20일부터 23일까지 대만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컴퓨텍스 2025(Computex 2025)에서는 서버냉각기술 혁신이 주목을 받았다.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급증에 따라 기존 공랭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리퀴드쿨링(Liquid Cooling) 솔루션이 대거 공개됐다. 주요 기업들은 자사의 최신기술과 이를 적용한 서버 및 인프라 솔루션을 통해 차세대 데이터센터(DC)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슈나이더, AI DC용 리퀴드쿨링 솔루션 공개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은 컴퓨텍스 2025에서 AI 및 고밀도 컴퓨팅 환경을 위한 통합 DC 인프라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최근 인수한 모티브에어(Motivair)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리퀴드쿨링 포트폴리오와, NVIDIA와 협력한 디지털트윈 기반의 전력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중심으로 전시를 구성했다. 리퀴드쿨링분야에서는 ChilledDoor RDHx(Rear Door Heat eXchanter), 인랙형 리퀴드분배 매니폴드, 랙 및 플로어 마운트형 CDU 등 다양한 제품을 공개했다. 이러한 솔루션은 고밀도 AI 클러스터의 열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모듈형 설계를 통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슈나이더는 NVIDIA와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트윈 기반의 전력시뮬레이션 플랫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은 NVIDIA 옴니버스와 통합돼 에너지부하 예측 및 가상리스크 모델링을 가능하게 하며 초기 설계단계에서의 효율적인 계획수립을 지원한다. 슈나이더는 이러한 솔루션을 통해 AI 및 고밀도 컴퓨팅 환경에서의 에너지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차세대 DC 구축을 위한 전략적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슈퍼마이크로, ‘TCO 절감 실현’ DLC-2 리퀴드쿨링 솔루션 슈퍼마이크로(Supermicro)는 컴퓨텍스 2025에서 차세대 DLC(Direct Liquid Cooling)시스템인 ‘DLC-2’를 전면에 내세우며 DC의 운영비 절감 및 효율성 향상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DLC-2는 고성능 AI 및 HPC 서버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대 10kW까지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45°C 온수냉각방식을 통해 냉각기의 필요성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 구조를 갖췄다. 특히 이 시스템은 기존 공랭시스템 대비 전력소비량과 물사용량을 각각 최대 40%까지 줄이고 총소유비용(TCO)을 20%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에너지효율성과 경제성 모두를 충족하는 솔루션으로 평가받았다. 슈퍼마이크로는 DLC-2를 고성능 서버제품군과 연계해 랙 단위 솔루션으로 공급하며 NVIDIA 및 AMD의 최신 고성능 칩셋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제공한다. 전시현장에서 김성민 슈퍼마이크로 상무는 “AI 및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 확산에 따라 서버당 전력밀도와 열부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라며 “DLC-2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표준으로 글로벌 DC의 지속가능성 전략에도 부합하는 핵심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버티브, 리퀴드쿨링 포트폴리오 전면 공개… CDU·매니폴드·액침냉각까지 버티브(Vertiv)는 컴퓨텍스 2025에서 차세대 DC 열관리를 위한 리퀴드 쿨링 포트폴리오를 전면 공개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CoolChip CDU 시리즈 △Smart Array 매니폴드 솔루션 △Liebert VIC 액침냉각시스템 등 고밀도 AI 서버에 대응 가능한 다양한 시스템이 주목을 받았다. ‘CoolChip CDU’ 시리즈는 수랭분배장치(Coolant Distribution Unit)로 고밀도 랙에 효율적인 열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고성능 펌프, 통합 컨트롤러, 이중 냉각회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최신 시리즈는 400kW 이상 처리 성능을 지원하며 유량 및 열교환 효율을 자동제어하는 지능형 기능이 포함돼 있다. ‘SmartArray’는 모듈형 매니폴드 솔루션으로 리퀴드쿨링 구성의 유연성과 설치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서버 랙별로 개별제어가 가능해 대규모 DC의 확장성과 유지보수 효율을 높이며 빠른 탈부착이 가능한 퀵커넥터를 채택해 다운타임 최소화에 기여한다. 전격 공개된 ‘Liebert VIC’는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 시스템으로 서버전체를 냉각 유체에 담가 열을 직접제거하는 방식이다. 고열밀도 AI 가속기 환경에서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하며 냉각효율은 공랭대비 최대 95%까지 개선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특히 Edge 및 Core DC의 고성능 컴퓨팅 장비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델타, 1.5MW 인로·200kW 인랙 CDU로 AI 인프라 대응 델타 일렉트로닉스(Delta Electronics)는 컴퓨텍스 2025에서 고밀도 AI 및 HPC 환경을 위한 차세대 리퀴드쿨링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핵심제품인 1.5MW급 인로(In-Row)형 리퀴드-투-리퀴드 CDU는 다중 랙 구성이 일반화된 최신 DC에서 요구되는 고발열 부하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장치는 고성능 펌프와 누수방지 설계를 포함해 안정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했으며 수랭식 열교환기와 통합 운용된다. 함께 전시된 135kW 및 200kW급 인랙형 CDU는 NVIDIA GB200 NVL72 플랫폼에 최적화된 설계로 랙 내부에서 직접 유체를 순환시켜 고밀도 열원에 대응한다. 특히 2+1 이중화 펌프와 모듈형 구성은 설치·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의 무중단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델타는 이외에도 DC인프라 통합솔루션과 전력공급시스템을 함께 전시하며 지속가능한 DC 구축을 위한 기술전략을 명확히 했다. 리탈(Rittal), 1MW CDU로 고밀도 랙냉각 공략 산업 인클로저 및 냉각솔루션 전문기업 리탈(Rittal)은 컴퓨텍스 2025에서 고밀도 AI 및 HPC 환경을 위한 인로 리퀴드-투-리퀴드 CDU(In-row Liquid-to-Liquid CDU)를 중심으로 서버냉각 포트폴리오를 선보였다. 해당 CDU는 최대 1MW의 냉각 용량을 지원하며 1,500LPM의 유량(flow rate)을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사양을 갖추고 있다. 이 제품은 모듈형 설계(Modular Designed System)를 통해 DC 구축 및 유지보수 시 유연성을 제공하며 N+1 이중화(N+1 Redundancy) 구조를 적용해 시스템 신뢰성을 극대화했다. 이로써 단일 구성요소 장애 시에도 전체 시스템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운타임 최소화에 기여한다. 리탈은 이번 전시에서 이외에도 △Rittal x Dell 공동개발 인랙 쿨링 솔루션인 IR7000 △서버 랙 내부에 통합 가능한 In-rack CDU 등 다양한 냉각제품군을 함께 선보였다. 특히 IR7000은 Dell의 서버 플랫폼과 호환되며 랙단위에서 직접 냉각을 수행할 수 있는 설계를 통해 랙 밀도 증가에 따른 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카오리, GB200·NVL72 대응 리퀴드 쿨링플랫폼 전시 카오리 써멀 테크놀로지(KAORI Thermal Technology)는 컴퓨텍스 2025에서 NVIDIA GB200 및 GB300 NVL72 기반 서버에 최적화된 모듈형 리퀴드쿨링 솔루션을 대거 공개했다. 전시 제품은 ORV3(Open Rack V3) 아키텍처와 호환되며 랙 단위에서 빠르게 설치 가능한 RDHx와 사이드카 유닛, DLC(D2C) 모듈로 구성된다. 특히 NVL72 플랫폼의 고밀도 특성에 대응하기 위해 카오리는 열교환효율을 극대화한 다중 채널 워터블록과 저압손실 배관기술을 적용했다. 사이드카 모듈은 랙 외부에 부착돼 120~140kW급 열부하를 별도의 공조장치 없이 처리할 수 있으며 RDHx는 후면도어 일체형으로 구성돼 공간활용도를 높였다. D2C시스템은 주요연산 칩셋에 직접냉각을 제공해 온도변동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스토브리, AI 서버 최적화 고유량 커넥터솔루션 전시 스토브리(Stäubli)는 컴퓨텍스 2025에서 고유량·고신뢰성 커넥터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리퀴드쿨링 인터페이스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에서 스토브리는 특히 NVIDIA GB200 및 GB300 기반 AI서버에 최적화된 유체커넥션 구성품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해당 커넥터는 고밀도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유량을 유지하고 누수방지를 위한 다중 실링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 랙단위 신속한 탈부착과 유지보수를 지원한다. 스토브리 솔루션은 리퀴드쿨링 인프라의 표준화 및 모듈화를 지향하며 특히 ORV3 아키텍처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제공한다. 커넥터는 사이드카, RDHx, 인랙형 CDU 등 다양한 냉각장비에 호환되며 DC 전체의 냉각신뢰성을 높이는 핵심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리퀴드쿨링이 AI 인프라의 핵심으로 부상함에 따라 커넥터의 신뢰성과 호환성이 시스템 전체의 성능과 직결되며 스토브리는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산업표준 기반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미탁, 쿨잇 CHx2000 적용 고밀도 AI랙 솔루션 전시 미탁(MiTAC)은 컴퓨텍스 2025에서 쿨잇 시스템즈(CoolIT Systems)의 고성능 DLC솔루션인 CHx2000 CDU를 통합한 고밀도 AI서버랙을 전시했다. 이 시스템은 2MW에 달하는 냉각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120kW급 NVIDIA GB200 기반 AI서버 최대 12대를 지원할 수 있는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 CHx2000은 5°C 내외 온도에서 1.2LPM/kW 유량을 유지하며 고성능 물 대 물 냉각 기능을 통해 고발열 AI 및 HPC 워크로드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미탁 부스에서 전시된 시스템은 이러한 CDU와 함께 쿨잇의 Split-Flow™ 콜드플레이트 기술도 적용돼 주요 칩셋의 열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열 분포의 균일성을 보장하는 구조로 구현됐다. 미탁은 해당 전시를 통해 고성능 AI 인프라에서 요구되는 열 관리, 에너지효율, 시스템 안정성을 통합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서버 랙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페가트론, 고밀도 AI서버용 리퀴드쿨링 랙 솔루션 공개 페가트론(Pegatron)은 컴퓨텍스 2025에서 AI DC를 겨냥한 MGX 아키텍처 기반 리퀴드쿨링 랙솔루션을 대거 공개했다. 전시 제품은 48U NVIDIA MGX 랙 구성을 중심으로 하며 128개의 GPU와 32개의 CPU를 수용 가능한 고밀도 구조를 갖췄다. 특히 GPU 및 CPU에 DLC기술을 적용한 설계를 통해 열원에 대한 정밀제어가 가능하며 랙당 120kW 이상의 열부하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대표 제품인 AS208-2A1은 NVIDIA HGX B300과 듀얼 AMD EPYC 9005 프로세서를 탑재한 2U 서버로 HPC환경에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또한 페가트론은 이번 전시에서 NVIDIA의 차세대 AI 서버 플랫폼인 GB300 NVL72를 지원하는 신규서버 설계도 공개하며 고밀도 AI 학습·추론 환경을 위한 시스템경쟁력 확보에 주력하는 전략을 내비쳤다. NVL72 플랫폼은 리퀴드쿨링 기반 열제어를 전제로 하는 구조로 전시된 프로토타입 서버는 최대 144 GPU 구성을 바탕으로 설계됐으며 페가트론은 이를 위해 랙통합 유체흐름 제어기술과 이중화 냉각구조를 동시 적용했다. 또한 페가트론은 ORV3표준과의 호환성도 강화해 글로벌 DC인프라의 표준화 흐름에 발맞춘 제품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폭스콘, AI 슈퍼컴퓨터 및 리퀴드쿨링 통합솔루션 공개 폭스콘(Foxconn)은 컴퓨텍스 2025에서 NVIDIA와 협력해 대만 최초의 AI 슈퍼컴퓨터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이 슈퍼컴퓨터는 1만개의 NVIDIA 블랙웰(Blackwell) GPU를 기반으로 하며 총 100MW의 전력용량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초기에는 20MW로 시작해 향후 40MW를 추가로 확장하며 대만 내 전력 가용성에 따라 추가개발이 진행될 계획이다. 또한 폭스콘은 NVIDIA GB200 NVL72 및 차세대 GB300 NVL72 플랫폼을 지원하는 AI 서버를 전시했다. 이들 서버는 HPC를 위한 최적화된 설계를 갖추고 있으며 고속 신호처리, 고전압 전원공급, 리퀴드쿨링 통합솔루션 등을 포함한다. 특히 ZutaCore와 협력해 2상 DLC기술을 적용한 랙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 솔루션은 NVIDIA H200 GPU 기반 AI서버에 적용돼 pPUE 1.03의 높은 냉각 효율을 달성했다. 폭스콘은 이러한 기술을 통해 AI 및 HPC 환경에서의 고열 밀도 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DC인프라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라이트온, MGX 통합 AI 랙 솔루션으로 고밀도 냉각 대응 라이트온 테크놀로지(Lite-On Technology)는 컴퓨텍스 2025에서 MGX 기반 통합AI랙 솔루션(MGX Integrated AI Rack Solution)을 공개하며 고밀도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전력 및 냉각인프라를 제시했다. 이 솔루션은 NVIDIA의 최신 GB300 NVL72 플랫폼에 대응하며 19인치 NVIDIA MGX v1.1 랙 구조에 최적화된 설계를 갖췄다.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인 140kW급 리퀴드-투-에어(Liquid-to-Air) 사이드카는 수랭식으로 서버 내 발생열을 흡수한 후 공기로 방열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사이드카 구조는 신속한 설치와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모듈화됐으며 1랙당 최대 140kW의 열부하를 처리할 수 있어 차세대 GPU시스템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1MW 용량의 인로(In-Row) CDU는 랙별 쿨런트 흐름을 정밀 제어하고 외부 열교환기와 연계해 전체 DC 냉각효율을 향상시킨다. 이 시스템은 ORV3 규격을 준수하며 고밀도 배치에도 효율적인 유량분배와 고장 대응성을 제공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이번 컴퓨텍스 2025는 리퀴드쿨링 기술이 DC 인프라의 핵심으로 부상했음을 명확히 보여줬다. AI와 HPC 수요급증 속에 고효율 열관리솔루션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각 기업은 기술 고도화와 함께 시스템통합·표준화경쟁에 돌입한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유럽 최대 공조기기 전문기업인 독일 플랙트그룹(FläktGroup)을 인수해 고성장 중인 글로벌 HVAC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삼성전자는 5월14일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Triton)이 보유한 플랙트 지분 100%를 15억유로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플랙트는 10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을 가진 공조기기 전문기업으로 가혹한 기후조건에서도 최소한의 에너지로 깨끗하고 쾌적한 공기의 질을 구축하고자 하는 프리미엄 공조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플랙트는 고객별 니즈에 맞춘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할 수 있는 라인업과 설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동안 △안정적 냉방이 필수인 대형 데이터센터 △민감한 고서·유물을 관리하는 박물관·도서관 △유동인구가 많은 공항·터미널 △항균·항온·항습이 중요한 대형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고품질·고효율 공조설비를 공급해왔다. 특히 글로벌 대형 데이터센터 공조시장에서 뛰어난 제품 성능과 안정성, 신뢰도 있는 서비스 지원 등으로 높은 고객 만족도를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지속해 오고 있다. 플랙트의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에너지 절감을 통해 저탄소·친환경 목표 달성이 중요한 초대형 데이터센터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 냉각액을 순환시켜 서버를 냉각하는 액체냉각 방식인 CDU(Coolant Distribution Unit)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의 냉각용량, 냉각효율의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다. 플랙트는 지난해 ‘데이터센터 업계의 오스카상’이라고 불리는 DCS Awards 2024에서 혁신상(DATA Center Cooling Innovation of the Year Award)을 수상하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플랙트는 데이터센터 외에도 글로벌 톱 제약사, 헬스케어, 식음료, 플랜트 등 60개 이상의 폭넓은 대형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공조사업, 성장동력 육성 … 적극 투자 공조사업은 가정과 다양한 상업, 산업시설에 최적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온·습도를 제어하는 인류의 삶과 연관된 핵심 산업으로 지구온난화, 친환경 에너지 규제 등으로 글로벌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공조사업 중 공항, 쇼핑몰, 공장 등 대형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중앙공조시장은 2024년 610억달러에서 2030년 990억달러로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 데이터센터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달러 규모로 연평균 18%의 높은 성장률로 공조시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글로벌 공급 경험, 최적의 설계와 솔루션 제시 역량을 갖춰야하는 등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이다. 삼성전자는 생성형 AI·로봇·자율주행·XR 등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글로벌 톱 티어 공조업체인 플랙트를 전격 인수했다. 이로써 삼성전자의 빌딩 통합 제어솔루션(b.IoT, 스마트싱스)과 플랙트의 공조 제어솔루션(FläktEdge)을 결합해 안정적이며 수익성이 좋은 서비스, 유지보수사업 확대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가정과 상업용 시스템에어컨시장 중심의 개별공조(덕트리스: Ductless) 제품으로 공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4년 5월 미국 공조기업 레녹스(Lennox International Inc.)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삼성전자의 기존 판매채널에 레녹스의 판매채널을 더해 북미 공조시장 공략도 강화한 바 있다.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삼성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에 수요가 큰 중앙공조 전문기업 플랙트를 인수하며 글로벌 종합공조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트레버 영(Trevor Young) 플랙트 CEO는 “플랙트가 삼성전자의 일원이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100년이 넘는 업력의 글로벌 톱 티어 공조기업으로서 글로벌 대형 고객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온 플랙트가 이제 삼성전자의 글로벌사업 기반과 투자를 통해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앞서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AI(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메드텍(소니오), 오디오·전장(룬,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등 미래 성장산업 관련 기업을 잇따라 인수했다. 삼성전자는 플랙트 인수 절차를 연내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냉매규제 강화로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R22와 자동차 A/S용 대체냉매인 R1234yf냉매에 대한 '사기판매'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냉매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급등하고 있는 냉매가격대비 50% 이상 싸게 판매한다는 영업전화가 은밀하게 걸려오고 있다. 특히 냉매유통업게 유력기업 중 하나인 '한강화학'을 도용한 견적서와 명함까지 SNS로 전달하며 신뢰성있는 판매물건이라는 인식까지 주고 있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냉매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R22 냉매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이에 따라 R22냉매는 꾸준히 가격이 상승되고 있어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특히 높은 가격에도 R22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 냉매유통기업의 경우 냉매를 수입판매할 수 있는 매년 줄어드는 쿼터량에 따라 냉매수입이 정해져 있는 반면 여전히 R22를 사용하는 기기는 줄어들지 않고 있기 때문에 냉매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자동차용 에어컨 냉매인 R134a는 냉매규제가 심화됨에 따라 수출용에 먼저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Low GWP인 HFO계열인 R1234yf(GWP 1)로 교체됐으며 현재는 국내판매용도 사실상 전면 교체됐다. R1234yf의 경우 자동차 제조사에 공급되는 냉매는 글로벌 냉매제조사인 케무어스나 하니웰의 디스트리뷰터인 에코화인과 한국석유공업 등 2개 업체만이 공급하고 있다. 반면 자동차 A/S용 R1234yf의 경우 케무어스와 하니웰 디스트리뷰터에서 물량을 공급받는 일부 유통기업들이 자동차 정비사업나 A/S에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기판매업자가 보낸 견적서에 따르면 R1234yf의 경우 5kg 실린더 400개를 단가 26만5120원에 총1억604만8,000원에, R22의 경우 20kg 실린더 480개를 단가 17만4,280원에 총8,365만4,400원을 제안했다. 특히 재무구조개선 및 자산효율화를 위해 일부 과잉보유 품목에 대해 선별적으로 공급단가를 조정해 제공하고 현대자동차 제조공장 내 임대창고에 보관 중이라고 비고란에 적시하고 있다. 또 다른 사기판매가 의심되는 G.O.C라는 기업은 R1234yf 100캔(5kg 실린더)을 공급하겠다는 SNS를 냉매유통업계에 SNS를 보낸 것으로도 알려지고 있다. 도용을 당한 한강화학의 관계자는 “10여년 전에도 쿼터량 조정으로 냉매가격이 급등할 즈음 사기판매가 있었으며 당시에도 정확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많은 피해금이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보통은 미군부대나 공공기관에서 사용하고 남은 냉매를 판매한다고 했는데 이번에 한강화학을 도용한 사례를 보면 상장을 위해 재고자산을 빨리 처분하려고 한다는 조금은 신박한 표현을 쓰고 있어 놀랐다”고 밝혔다. 이어 “혹시라도 한강화학으로 믿고 사기판매에 당하는 사람이 없도록 전 직원이 거래처에 사기판매를 조심해야 한다고 알렸다”라며 “견적서의 주소는 한강화학이 맞지만 명함은 한강화학 직원도 아니고 현대자동차 제조공장 내 임대창고도 갖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사기판매 견적서에서 제시한 가격은 시중에 유통 중인 냉매가격의 50% 이상 싼 가격”이라며 “일단 시중에 유통 중인 가격대비 너무 싼 냉매가격을 제시하는 것은 의심부터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냉매는 냉동공조 및 냉동냉장산업에서 ‘혈액’과 같은 역할을 한다. 냉매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신냉매, 또는 대체냉매 전환이 이뤄지는 과도기에는 이러한 사기가 극성을 부린다는 것이 냉매유통업계의 지적이다. 결국 시장가격을 왜곡한 가격을 제시하는 냉매판매는 의심부터 해보는 것이 사기를 당하지 않는 유일한 방법이다.
국회 기후위기 탈탄소 경제포럼이 주최하고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칸kharn, 에너지전환포럼이 공동 주관한 ‘주택난방 탈탄소를 위한 히트펌프 정책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가 4월11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열려 주택용 난방 탈탄소 핵심수단인 히트펌프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열띈토론이 진행됐다. · 이번 토론회에는 △김성환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포럼 대표의원(더불어민주당) △임성진 에너지전환포럼 공동대표 △허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등 국회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알레한드로스 에르난데스 RAP 인도·글로벌 기회프로그램 총괄 △임현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부연구위원 △최준영 한국산업기술시험(KTL) 박사 등이 발제를 진행했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환영사를 통해 “이번 토론회가 히트펌프 동향관련 국내외 사례를 공유하는 장이 되길 바란다”라며 “기후위기 대응이 필요한 분야 중 하나인 냉난방분야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성진 에너지전환포럼 공동대표는 “지난 21대 국회에서 에너지전환포럼이 히트펌프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이어갔다”라며 “현재 국내 히트펌프산업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기 때문에 이번 토론에서 나온 내용들을 바탕으로 국회에서 다양한 히트펌프관련 정책전환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우리사회가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가운데 주택부문에서 기존 난방체계를 히트펌프 중심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다”라며 “오늘을 계기로 히트펌프가 무엇인지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국회 환노위도 히트펌프를 중심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환하는 데 적극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혀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김성환 의원을 중심으로 히트펌프관련 유럽 등 글로벌시장동향을 파악하고 있다”라며 “오늘의 자리를 기반으로 국내 탈탄소화를 위한 중요수단으로서의 히트펌프 정책이 구체적으로 입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농촌지역에서 히트펌프에 대한 요구가 굉장히 큰 상황”이라며 “농촌지역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 주민들의 냉난방요구를 시범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HP확대 위한 해외동향 공유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RAP 인도·글로벌 기회프로그램 총괄은 히트펌프 확대를 위한 해외동향을 소개했다. RAP는 독립적 비정부기구로 비용효율적 에너지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기술적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IEA 시나리오에 따르면 히트펌프는 탄소중립목표 달성에 가장 많이 확산·보급될 분야로 매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2억대에 달하는 수치로 증가돼야 한다.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히트펌프를 활용하는 정책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관심도에 비해 목표달성을 위한 속도는 빠르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알레한드로 총괄은 “에너지제로 달성을 위해는 히트펌프 성장률 15%로 따라잡아야 한다”라며 “다양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RAP는 에너지효율 달성을 위해 노력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툴킷을 발행해 히트펌프 도입이나 사용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협력적 정책패키지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았다. 툴킷에서는 이러한 정책패키지를 뜻하는 개념으로 ‘그리스신전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알레한드로 총괄은 프레임워크 가장 하단에서 기반을 이루는 것으로 시작해 △경제·시장기반 △재정지원 △규제·정책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전히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현실 안에서 인센티브 정책과 탄소가격 정책 통해 히트펌프 유인성을 증가시켜야 하며 금융옵션이나 보조금 등을 활용하는 방법들도 중요하다. 또한 적절한 규제와 정책 및 표준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레한드로 총괄은 “이런것들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하며 신속한 히트펌프 도입을 위해 협력적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히트펌프 확대기반을 이루는 데 있어 소비자신뢰 제고를 위한 대중인식캠페인이 돼야한다”고 말했다. 또한 설치인력대상 교육훈련과 인증프로그램 마련 등도 필요하며 각국마다 보유한 자원들과 당면한 문제를 감안해 히트펌프관련 명확한 타깃과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북유럽의 경우 사용자들에 대한 인식 높이기 위해 인식제고캠페인을 강력하게 수행 중이며 난방장비에 대한 표준을 마련해 명확한 인식제고·목표설정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세제혜택을 통해 초기비용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알레한드로 총괄은 “아일랜드와 중국 베이징 등에서도 다양한 성공사례들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특히 중국은 히트펌프를 설치하는 부분에 있어 보조금을 70~80%까지 지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HP와 가스보일러 간 총 소요비용 분석 진행 임현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부연구위원은 국내 히트펌프 보급장애요인과 히트펌프와 가스보일러간 총 소유비용 등을 분석한 내용을 발표했다. 현재 난방부문 탈탄소화 없이는 2030 NDC 목표달성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획기적인 정책이 시급하다. 히트펌프는 탈탄소난방의 핵심기술이며 그중 공기열원은 외기온도와 목표온도의 차이가 다를수록 성능계수(COP)가 높아지며 지역적 요인과 주택단열수준에 따라 COP차이가 발생한다. 유럽 2030년까지 6,000만대의 히트펌프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지난해를 기준으로 유럽 주요국 전체가구의 12.7%에 히트펌프가 설치됐다. 반면 국내는 정책적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재생열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히트펌프 자체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법적으로 공기열이 재생에너지로 인정되지 않는 부분으로 인해 지·수열만으로는 신재생열에너지 확대에 제한이 있다. 임현지 부연구위원은 “초기설치비가 가스보일러의 5배가량이며 누진제 적용으로 인해 운영비용에 있어서도 메리트가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목표온도와 외기온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단열개선이 추가적으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히트펌프가 가진 보급장애요인을 기반으로 전력상황과 기후조건을 고려할 때 공기열히트펌프 우선보급이 추진될 수 있는 지역은 전남과 제주의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이다. 한편 임현지 부연구위원은 공기열히트펌프가 가스보일러보다 경제성을 갖기 위해 소비자입장에서 얼마나 초기보조금이 필요한지 등 총 소유비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총소유비용은 총 수명을 18년이라고 가정해 구매·운영하는 비용을 더한 것으로 분석자료는 11차 가구에너지패널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했으며 공기열원 효율의 경우 계절성능계수(SCOP)를 가정해 분석했다. 시나리오는 크게 △도시가스시스템 △전력화시스템 등으로 나눠 계산했으며 전국평균기준으로 국민평형가구가 가스보일러에서 히트펌프로 교체할 때의 비용과 전남·제주 등유난방가구가 난방방식을 교체할 때로 분석했다. 임현지 부연구위원은 “전력요금제에 따라 차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현행 누진제와 지열에 가 적용된 요금제 및 경부하 전기차 등 계시별 요금제를 적용했다”라며 “전국 평균 4인가구가 가스보일러에서 히트펌프로 교체 시 초기투자비는 히트펌프를 단독설치할 때 모두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현행 누진요금제 상 연간 운영비용이 가스보일러보다 비싸 보조금을 주더라도 설치유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히트펌프요금제를 EV 경부하수준으로 변경하거나 태양광과 결합한다면 보조금으로 실질적 설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신축건물의 경우 시스템에어컨을 설치하는 추세가 높아지고 있어 100만원 가량의 보조금이 지원된다면 히트펌프로 교체할 수 있는 유인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서 전남지역 등유난방가구 분석결과 전남의 경우 콘덴싱 가스보일러로 교체 시 연 26만원 절감이 가능했으며 히트펌프는 누진제 적용 시에도 37만원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겨울철 온화한 기온으로 인해 누진제 3단계를 적용받기 때문이다. 가스보일러와 히트펌프 간 총소유비용차이는 381만원 수준으로 8년 내 투자비 회수를 위해서는 400~450만원 보조금이 필요하며 3kW 주택태양광과 결합 시 250만원 수준으로 보조금 수준을 낮출 수 있다. 임현지 부연구위원은 “제주도 등유난방가구도 전남과 비슷했는데 EV 경부하는 누진제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태양광은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라며 “신규 배관망 사용자시설 설치비를 포함했을 때 가스보일러와 히트펌프간 총소유비용 차이는 248만원 수준이며 8년 내 투자회수를 위해서는 370~380만원의 보조금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난방방식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결과 전기히트펌프가 콘덴싱보일러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0.082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실가스 감축 핵심수단인 히트펌프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향후 △초기 설치자를 위한 보조금 도입 △히트펌프 전용 동적요금제 도입 △도시가스 공급 확대 패러다임 전환 등이 필요하다. 임현지 부연구위원은 “공기열 히트펌프의 신재생에너지 인정이 히트펌프 사용 확대를 위한 첫 시도될 수 있을 것”이라며 “히트펌프가 출력제한 완화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전력상황을 반영한 동적요금제를 도입한다면 짜임새있는 정책이 구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동주택 HP실증사례 공유 최준영 KTL 박사는 공동주택용 히트펌프 실증사례 등을 발표했다. 건물분야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냉난방·급탕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한 솔루션이 필요하다, 그중 히트펌프는 가장 적합한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준영 KTL 박사는 공동주택에 어떻게 히트펌프를 공급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히트펌프에 축열조를 연계한시스템에 대한 실증을 진행했다. 연구핵심은 공동주택용 공기열원히트펌프를 타깃으로 축열조와 연계한 일체형 히트펌프를 제작하는 것이다. 신뢰성데이터 확보해 최적운전·제어모드를 개발했으며 성능평가기준 설계도 진행했다. 일체형 히트펌프시스템 용량은 30평대로 상주인원 5인에서 EER은 3.3 COP는 3.5로 일조량 최대조건을 가정했다. 냉방부하 최대는 2.9kW이며 난방부하는 최대 2.3kW다. 최준영 KTL 박사는 “국내는 바닥난방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물을 데워 난방·급탕하는 솔루션이 핵심이라 ATW 히트펌프를 활용한다”라며 “가스보일러는 바로 뜨거워지지만 히트펌프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축열조가 필요해 PCM 축·방열실험실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개발한 히트펌프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증시험지 전력연구원 전기에너지주택과 오텍캐리어 모사주택을 선정했다. 한전 전력연구원의 경우 R290냉매 히트펌프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실증을 진행 중이다. 연구진들은 데이터 분석 후 향후 공동주택에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성능기준 표준화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두 가지 운전방식으로 단독운전과 동시운전성능시험을 실시했다. 동시운전은 바닥난방 중심으로 급탕+냉방, 급탕+난방으로 이뤄져야 주거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KTC는 8개의 스테이지로 나눠 수요관리형 냉·난방·급탕 일체형 히트펌프시험을 진행했다. 향후에는 주택용 히트펌프 성능기준을 표준화해 히트펌프 시험방법과 절차를 설계하며 냉·난방·급탕기능 핵심시험항목 선정과 검증시험기준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신규 전력부하 관리를 위한 전력제도를 정비해 총 4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열수요와 전기요금에 따라 전력부하를 관리할 예정이며 장기적 관점에서는 전력수급 상 필요시 한전에서 원격제어를 할 수 있도록 약정을 체결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축열을 통해 전력계통 안정화·수요관리 고도화를 이루며 냉난방기기 전기화를 통한 정부과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준영 KTL 박사는 “그동안 유럽·미국·일본 등과 다르게 관련정책이 전무했다”라며 “히트펌프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공기열뿐만 아니라 미활용에너지 등도 신재생에너지열원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공기열원 재생E 지정 관련 의견 공유의 장 마련 발제자의 발표에 이어 토론이 이어졌다. 권필석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이 사회를 맡은 가운데 △고배원 인테그라디엔씨 대표 △정남종 오택캐리어 이사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 △김연지 경기도 에너지산업과 과장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고배원 인테그라디엔씨 대표는 “히트펌프 정책의 경우 그린리모델링(GR) 등과 함께 고려해야 효과가 좋다”라며 “제도부문에 있어 신재생에너지촉진법이나 에너지이용합리화법 개정안의 내용도 좋지만 추후 △건축법 △녹색건축물 지원법 △집단에너지법 등과 총망라돼 함께 발전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기열원히트펌프가 3사 독점시장으로 커지게 만들지 않고 중소·중견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에서 지원해주면 산업전체 변화에 도움이될 것”이라며 “현재 한전에서 전기차처럼 독립라인 구축하며 고정방식으로 진행하려는 연구 진행 중으로 이런 부분도 함께 바라보면 지금의 우려를 불식하며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남종 오택캐리어 이사는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결국 히트펌프가 핵심인데 지열과 수열은 기본적으로 탄소중립 어렵기 때문에 공기열도 신재생에너지로 들어가야할 것”이라며 “한전정책에 의해 지원금이 줄어들었지만 시범사업 등을 통해 제주도나 전라지역 등 가스공급이 이뤄지지 않는 지역에 우선보급해 히트펌프 효용성을 국미들이 알 수 있도록 한다면 더 빠른히트펌프 보급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서는 냉매로드맵이 필요하다”라며 “미국이나 일본 등은 냉매를 △약가연성 △비가연성 △가연성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약가연성냉매로 활발히 성능향상하려는 노력 중으로 히트펌프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런 부분도 검토가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은 “국내 전력가스시장은 가격왜곡문제가 있으며 주택용 도시가스 비용의 상당부분을 발전용에 전가하는 관행이 고착화돼있다”라며 “요금을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야 혁신적요금제로 히트펌프 보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장정상화를 위한 빠른 길로 가기 위해서는 수도권의 신규전력수요 지방분산화와 유럽지원방안 등에 대한 스터디가 필요하다“라며 “미국 히트펌프 성장사례를 통해 공기열 난방문화가 빠르게 도입할 수 있게 된 배경 등을 분석해 정책에 참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연지 경기도 에너지산업과 과장은 “도시가스에 대한 요구가 높은데 이에 대한 대안이 부족하다”라며 “난방분야 혁신적인 전환을 위해 기존 지원사업들을 에너지전환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탈탄소에너지복지에 초점맞춰 주민들이 원하는 바에 맞춰 솔루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기열냉난방기는 지열히트펌프의 제한적인 설치와 높은비용 단점 대체가능한 좋은수단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라며 “다만 히트펌프에 대한 수요자들의 이해도가 낮아 이를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현일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전무는 “공기열HP의 현재 기술력으로는 적용에 무리가 있다”라며 “주택용 난방에 공기열HP 적용 시 기술력이나 진보된 부분에 대한 입증은 더욱 효과적으로 체크해 정확한 로드맵을 세운 뒤 움직여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우 제이앤지 대표는 “한전 심야보일러 대체사업의 경우 전수조사 실시결과 설계효율치의 50%밖에 나오지 않아 전기요금상승 등 기존 정책에 반하는 결과가 나타난 경우가 있다”라며 “최종적 사용자입장 한 번 더 검증해야한다”라며 “정확한 로드맵을 분석해 기존의 안좋은 사례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최종적 사용자입장을 한 번 더 검증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을 마친 뒤 김성환 의원은 정리발언을 통해 “재생에너지 간헐성을 보완하기위해 ESS나 히트펌프 등을 제주도부터 작동해가며 호남과 강원도 등으로 확산돼 전체에너지시스템 바꿀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히트펌프를 통해 새로운 영역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속도와 방향 잘 맞추겠다”고 강조했다.
국내 유일의 기계설비산업 전문 전시회인 ‘2025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 2025)’가 지난 4월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A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이번 전시회는 전시면적 1만368㎡ 규모, 참가기업 약 200개사, 통합 컨퍼런스 20여개 세션으로 구성되며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 2016년 첫 HVAC KOREA는 참가기업 48개사, 114부스 규모로 시작했지만 꾸준한 성장을 이뤘다. 2021년 78개사 184부스를 유치해 참관객 7,020명을 동원했으며 2022년 98개사 242부스, 참관객 7,548명 규모로 치러졌다. 2023년부터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다. 서울 강남 코엑스로 위치를 옮겨 134개사 375부스, 참관객 1만2,723명을 동원했다. 지난해에는 다시 서울 양재 세텍으로 돌아갔음에도 불구하고 143개사 373부스, 참관객 1만2,063명으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행사는 참관객 수 1만3,542명으로 역대 최대규모를 기록했다. 단순 기술전시를 넘어 정책, 기술, 산업전략을 아우르는 종합 산업플랫폼으로 기능하며 기계설비산업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전시는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대한설비공학회 △한국설비기술협회 △대한설비설계협회 △한국기계설비기술사회 △한국종합건설기계설비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설비기술협회 △메쎄이상 △KOTRA가 주관했으며 미디어파트너로 칸kharn이 참여했다. 또한 △국토교통부 △LH △SH △KOCEA 기계기술인회 △대한건설협회 △한국엔지니어링협회 △대한전문건설협회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서울특별시 등 10여개 공공·산업 단체가 후원해 민관 협력기반을 강화했다. 10년 성장 넘어 미래로… 개막식서 산업 전략적 가치 강조 4월9일 오전 진행된 개막식은 전시회 1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로 주요 인사들의 개회사 및 축사를 통해 기계설비산업의 전략적 가치와 향후 과제가 공유됐다. 박종찬 한국설비기술협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HVAC KOREA는 2016년 첫 개최 이후 국내 유일의 기계설비 종합 전시회로 자리매김했으며 올해는 컨퍼런스를 단일화해 기술교류의 시너지를 높이는 계기로 삼았다”라며 “기계설비기술이 국민의 쾌적한 삶과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산업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강성희 대한기계설비단체총연합회 회장은 “전시면적과 참가업체 수가 지난해보다 30% 이상 증가했으며 탄소중립 및 ZEB, 그린리모델링을 비롯한 첨단 설비기술이 대거 출품돼 산업의 변화흐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라며 “AI·IoT 기반 고도화 기술을 통해 글로벌시장 확장을 이끌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2018년 기계설비법 제정은 기계설비산업을 법제도적 기반 위에 올린 중요한 이정표였으며 앞으로도 산업의 미래 성장동력을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며 “기계설비는 건축물에 생명과 기능을 부여하는 기관산업”이라고 역설했다. 맹성규 국토교통위원장도 영상축사를 통해 “기계설비는 에너지효율, 환경책임, 기후변화 대응 등 전방위적 역할을 수행하는 산업”이라며 국회의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개막식 현장에서는 PPI PIPE 등 10년간 전시회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개인에 대한 감사패 수여가 함께 진행됐으며 이상택 메쎄이상 부사장, 김용석 조직위원장, 오주헌 LH 본부장 등 주요기관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식에 참여해 전시회의 본격 개막을 알렸다. 개막식 후 이어진 VIP 투어에 참여한 내‧외빈은 이번 HVAC KOREA 2025가 기계설비 산업의 디지털 전환, 친환경 설비 확대, 고효율 건축 기술 등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기술들이 집결된 자리임을 확인했다. 각 기업은 단순 제품 전시를 넘어 기술 세미나, 실증사례 발표 등을 병행하며 실질적인 비즈니스 연계를 도모했다. 투어에 참여한 한 인사는 “전시회를 통해 기계설비산업은 단순 시공기술을 넘어 스마트건축, 탄소중립, 에너지자립 건축물로 전환되는 건축·도시 인프라의 핵심축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점이 재확인됐다”라며 “산업계는 향후 2030년 ZEB 의무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달성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정책·시장 3축 협력이 강화돼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합 컨퍼런스, ZEB·탄소중립·DC 등 핵심 아젠다 중심 구성 올해 HVAC KOREA의 핵심 변화는 ‘통합 컨퍼런스’ 도입이었다. 기존 단체별로 운영되던 포럼과 세미나를 △ZEB △스마트 설비 △RE100 △탄소중립 △ESG △DC △위생·소방 등 주제 중심으로 재편하며 기술 간 연결성과 정책연계를 동시에 확보했다. 컨퍼런스는 3일간 총 20여개 세션으로 운영됐다. 첫날인 9일에는 ‘ZEB 보급 확대를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 및 제도 개선’을 중심으로 공동주택 설계 적용사례, 위생설비 고도화 기술, 지열·수열시스템 기술 등 기술현안이 다뤄졌고 10일에는 AI 설비기술(최상홍 미래인재포럼), BEMS 자동제어, 공조·냉동기술, 설계·시공 전략, 커미셔닝, RE100 이행정책, ESG 평가체계 등 복합세션이 집중진행됐다. 11일에는 DLC, UPS, 내진냉각설비 등 DC전용기술과 기계환기 성능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환기포럼이 개최됐다. 올해 컨퍼런스는 학계, 산업계, 공공기관 전문가가 공동 발표·좌장을 맡아 기술·정책·실무 간 시너지를 강화했고 ZEB 설계가이드 및 BEMS플랫폼 고도화, 플러그인 환기시스템 도입 등 실증사례가 다수 발표됐다. 기술주제별 전시장 구성… 설계부터 운영까지 전생애주기 커버 HVAC KOREA 2025는 기술분야별로 전시장을 구성해 기계설비의 생애주기(Life Cycle)를 따라가며 기술동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주요분야는 △냉난방공조 △환기 △스마트 제어 △데이터센터 △소방·위생 △설계·시공 등으로 구분됐다. 냉난방공조분야에서는 경동나비엔이 환기청정기·주방기기 통합 시스템과 공기열 히트펌프를, 대성히트에너시스는 수축열시스템을 통해 건물 재건축 대응 솔루션을 제시했다. 트루만은 바닥공조 변풍량시스템, 제이앤지는 지열열원기술을 공개했다. 휴먼에어텍은 바이러스 차단·폐열회수 통합형 공조기, 신성이엔지는 폐열회수형 실외기 기반 고효율 EHP를 선보였다. 환기부문에서는 힘펠의 ‘각실제어 환기시스템’이 집중조명을 받았고 휴마스터의 초고효율 제습환기시스템 휴미컨이 참관객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센도리는 우수조달에 등록된 ‘환기시스템 배관 자동청소 환기제품’과 ‘욕실온풍기’ 신제품을 선보였으며 어썸레이는 탄소나노튜브와 엑스레이기술을 활용한 공기정화시스템 ‘에어썸’을 전시했고 세경공조는 기존 TiO₂ 촉매 자외선 살균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해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플라즈마 공기정화필터 신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설비 영역에서는 플렉스튜디오의 로우코드 기반 통합플랫폼, 도란시스템의 설비정보관리시스템, 이엠시티의 현장용 설비관제 앱 등이 출품됐다. 데이터센터분야는 하이멕(DC MEP설계, 엔지니어링), LG전자(DC 토탈 쿨링솔루션), 귀뚜라미범양냉방(DLC CDU, 액침냉각, 인로쿨링), 신성이엔지(엣지DC, FWU, 액침냉각), 삼화에이스(FWU, 항온항습기), 알파라발(DC 열교환시스템), 게르브코리아(내진 방진) 등이 참가해 고밀도 냉각 시스템과 유지관리 기술을 시연했다. 소방·위생분야는 PPI PIPE의 고온 배관, 이에프코리아의 스프링클러 모듈화 공법, 세이프코리아의 내화채움구조, 벨리모서울의 에너지밸브 및 방화댐퍼, NSV‧유니슨엔지니어링‧유노빅스이엔씨‧비엔에스조인트 등의 방진‧방음제품이 전시됐다. 이번 HVAC KOREA는 단순 기술전시회를 넘어 ‘산업 전환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전략 플랫폼’으로서 위상을 재정립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역대 최다 참가기업 유치 및 참관객 동원 등 외형적 성장에서 나아가 내용적 측면에서도 전시회 전반에 걸쳐 제로에너지빌딩(ZEB), 탄소중립 대응 설계, 스마트 환기, RE100 이행 기술 등 국내‧외 건축설비시장의 중장기 핵심 트렌드가 종합적으로 반영됐으며 기계설비산업의 역할과 가능성을 확장시켰다. 산업계는 전시회를 통해 2030 ZEB 의무화와 2050 탄소중립 실현, 스마트건축 인프라 확산 등 국가 차원의 정책 전환기에 기계설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데 공감하며 기술‧정책‧시장의 삼각 협력구조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전략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은 4월4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제12회 건축 및 산업용 단열재 기술세미나’를 개최했다. 국내 단열재시장은 강화된 정부 규제정책 대응과 더불어 값싼 중국산제품이 시장을 교란하고 있으며 건설경기 침체로 과열경쟁이 극심한 상황이다. 특히 화재안전 강화정책에 따라 무기소재가 부각되면서 최근 5년간 유기단열재가 대부분을 차지해오던 재질도 변화해 단열재 재질 중 무기소재 비중이 약 38%로 늘어났다. 단열재 시장구조가 격변하며 기술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화학경제연구원은 △탄소중립에 따른 친환경 정책 및 차세대 단열재 전환 △건축·산업용 단열재 기술개발 동향 및 화재안전 평가기술 등 2가지 테마를 주제로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송혜주 국토교통부 녹색건축과 사무관 △채승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김영성 한국환경공단 과장 △김기선 아마쎌코리아 매니저 △김채훈 LX하우시스 팀장 △한정혁 KCC 책임 △송창용 국립목포대학교 극저온단열시스템연구센터장 △윤인섭 3M 수석연구원 등이 연사로 나섰으며 업계관련자 120여명이 참여했다. 건물부문 탄소중립 4대전략… ZEB·GR·목조건축 추진 송혜주 국토부 녹색건축과 사무관은 ‘2025년 건물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건축 정책현황 및 추진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인구‧건물 및 경제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에너지 사용량 증가는 불가피하다. 이런 상황에서 건물분야 온실가스 감축은 생존을 위해 꼭 실천해야할 과제다. 국토부에서는 건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손실 최소화 △에너지생산 △에너지절약을 필수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부에서는 △신축건축물 에너지성능 기준 강화 △기존 건축물 에너지성능 개선 △녹색건축 실현기반 구축을 구체적인 정책추진 방향으로 정했다. 신축건축물 에너지성능 기준 강화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따른다. 이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에너지저감 기술을 적용하도록 하는 기준으로 열손실 방지 등 에너지절약형 설계와 고효율‧신재생 설비를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특히 열손실 방지 조치는 모든 건축물에 적용하는 의무규정이다. 또한 연면적 500㎡ 이상 건축물은 의무적으로 에너지절약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제출서류는 계획서 및 검토서로 검토서에는 EPI 점수가 포함된다. 민간건축물은 65점 이상, 공공건축물은 74점 이상을 획득해야하며 업무시설 및 교육연구시설 중 연면적 3,000㎡ 이상인 건물은 에너지소요량 평가서를 추가로 제출해야 한다. 소요량 평가값이 민간은 200kW, 공공은 140kW 미만을 기준으로 한다. 송혜주 사무관은 “앞으로는 대상 건축물의 연면적은 줄어들고 에너지소요량도 감소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더 강화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신축건축물의 제로에너지화를 추구하며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제도를 통해서 에너지 모니터링시스템이 설치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에너지자립률 또는 에너지소요량에 따라 6개 등급으로 구분한다. 올해 1월부터 변경된 ZEB 인증을 통해서 용적률‧높이제한 등 건축기준이 최대 15%까지 완화되며 건축물 또는 주택취득세도 최대 20%까지 감면받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정부조달사업에 ZEB 건물을 가진 기관이 입찰하면 가점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기존 건축물은 그린리모델링(GR) 활성화를 도모한다. GR이란 기존 건축물의 창호‧단열재‧노후설비 등을 교체해서 노후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높이고 정주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국토부는 공공건축물과 민간건축물 모두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건축물은 사용승인 후 10년 이상 건물을 대상으로 사업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민간건축물은 GR 공사비 이자를 최대 4% 지원한다. 또한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녹색건축 실현기반을 구축한다. 건물에너지 통합DB를 통해서 건축물 대장정보와 에너지사용정보를 연계해 건물단위의 에너지통합 DB를 구축했다. 해외의 경우 에너지통합 DB가 보험과 연계돼서 에너지효율이 좋은 건물은 보험료 감축을 받는 등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녹색건축인증제도(G-SEED)도 올해 하반기에 변경될 예정이다. 운영단계 외에 전과정에서 자원절약적인 건물에 국토부‧환경부가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현재 연면적 합 3,000㎡ 이상 공공건축물과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이 인증대상이며 최우수‧우수‧우량‧일반 등 4개 등급으로 구분된다. G-SEED도 마찬가지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으며 아직 국내의 경우 규제를 통한 방식이지만 앞으로 민간기관과 연계해 시장에서 경제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의 녹색건축 추진방향은 제3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이하 녹기본)에 따라 이뤄진다.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6조에 의해 수립된 녹기본은 녹색건축 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며 녹색건축물 연구개발과 전문인력 육성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제3차 녹기본은 ‘기후위기 시대, 2050년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녹색건축의 혁신과 확산’을 비전으로 2030년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3,500만톤 목표를 위해 4가지 추진전략으로 이뤄진다. 첫 번째 추진전략은 공공과 민간이 함께하는 녹색건축 생태계 조성이다. 정부‧지자체간 협력적인 녹색건축 거버넌스를 구축하며 민간주도형 녹색건축 산업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 계획적합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녹색건축물 조성계획 수립시점을 법제화해 국가 녹색건축 정책과 지자체 계획 및 사업간 정합성을 제공한다. 또한 정부‧지자체‧민간전문가 등 녹색건축 협력체계를 만들며 탄소중립 목표관리 및 이행 관련 협의‧지원을 위한 소통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두 번째 추진전략은 기존건축물 GR사업의 체계적 확장이다. GR기반 기존 건축물의 기후위기 적응력을 강화하며 이를 위해 GR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GR추진 시 화재‧방재‧내진 등 안전성능 제고를 병행하며 GR 표준설계와 시방서를 마련해 관련 설비자재 활용 시 적용할 예정이다. 또한 녹색건축인증 및 GR 지원사업에서 그린인프라계획 요소를 평가에 반영해 기후적응력을 강화하려 한다. 폭염‧폭우 등 적응력을 갖추기 위해 GR 사업에 필지내 조경면적, 건축물 녹화 등 그린인프라 계획요소를 반영한다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이 구체적인 추진전략이다. 세 번째 추진전략은 신규 건축물의 전과정 제로에너지와 추진이다. 특히 탄소저장‧감축에 유리한 목조건축물 확산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난 해 11월에 발의된 목조건축 활성화법을 통해 실제 산업에서 애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목조건축 기술 발전 및 산업육성을 위한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개별 건축물 및 도시‧단지 단위의 목조화 시범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 송혜주 사무관은 “국토부에서 목조건축의 화재안전에 대해 가장 많이 주목하고 있으며 아직 법안도 나오지 않아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먼저 하위법령에서 목조건축물의 명확한 기준을 정하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 번째 추진전략은 미래를 선도하는 녹색건축 기술발굴 및 육성이다. 건물에너지원 다원화를 고려한 기초기술 개발과 실증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무탄소 에너지 활용 건축물 자재‧설비 인프라 기술을 육성해 △벽면 일체형 태양광 설비 등 건물 내 청정에너지 혁신기술 실증을 추진한다. 태양광 등 이미 상용화된 기술은 현장활용도 등을 조사‧분석해 기술요소별 확대‧보완사항을 발굴할 예정이다. 또한 녹색건축물의 화석연료 대체기술 개발 및 실증을 추진한다. 건물 내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인 도시가스 저감을 위해 고효율 히트펌프 실증사업을 지원하며 건축물 내 수소기반 기술의 활용을 위해 수소가 혼입된 가스를 사용하는 난방취사 설비 등을 실증할 것이다. 2025년도 녹기본의 주요 변경사항은 먼저 기존 ZEB인증과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제도가 ZEB인증제로 통합됐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도를 간소화하며 인증에 소요되는 시간도 20일 가량 단축이 기대된다. 또한 에너지자립률 외에 1차 에너지소요량 기준을 추가했으며 최상위 인증등급인 ZEB+ 등급을 신설했다. ZEB인증 통합과 함께 공공건축물 ZEB 의무등급이 상향됐다. 기존 1,000㎡ 이상 공공건축물 신축 시 ZEB 5등급이 의무였던 것에서 1,000㎡ 이상, 17개 용도 공공건축물은 ZEB 4등급 의무 취득으로 강화됐다. 다만 목적‧기능‧설계조건 및 시공여건상 특수성으로 해당등급을 받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인증운영위원회를 거쳐 완화가 가능하다. 또한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건축물에 적용되는 에너지절약 설계기준도 올해 말까지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현행은 연면적 합계 500㎡ 이상 민간건축물은 EPI 65점 이상 또는 에너지소요량 평가 200kW 미만을 충족하면 되던 것이 1,000㎡ 이상 건물에 한해 EPI를 강화하거나 에너지소요량 평가가 150kWh 미만으로 적용된다. EPI 기존 5개 항목이 개정 및 의무화 됐으며 중앙공조 냉난방 4개 항목 추가가 의무화 됐다. 국토부는 올해 안으로 G-SEED 평가체계를 통합‧개편하는 등 녹색건축 인증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주거‧비주거 구분 없이 신축‧기존‧리모델링으로 인증신청 건축물 종류를 3가지로 간소화했다. 한 건물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복합건축물이 증가함에 따라 복잡한 용도구분으로 인한 혼선방지를 위해 기준을 통합한 것이다. 또한 G-SEED에서 학제적 구분에 따른 7개 분야에서 녹색건축이 지향하는 가치를 반영한 4개 전문분야로 개편한다. 전문분야는 △탄소중립과 자원활용 생활공간과 건강 생태공간과 그린인프라 친환경 계획과 관리 등으로 구분된다. HFCs 관리체계 개편… 저GWP 전환‧재생냉매 사용 김영성 환경공단 과장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내‧외 수소불화탄소(HFCs) 관리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HFCs는 오존파괴 주요물질로 유럽연합(EU)에서는 HFCs 관리를 위한 통합법이 2006년에 제정됐다. 이후 2014년에 키갈리개정 이행을위해 2030년까지 2015년 대비 HFCs 배출량을 2/3수준으로 감축하는 1차 개정이 이뤄졌으며 이후 HFCs ‘제로’를 목표로 2030년까지 4,000만톤 감축 및 2050년까지 총 3억1,000만톤을 감축해 HFCs 소비량을 제로로 하는 2차 개정이 이뤄졌다. EU는 가장 강력한 HFCs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HFCs 제품출시 및 유지보수를 금지하며 HFCs 누출금지‧주기적 점검‧검사 등 대기누출 규제를 도입했다. 또한 불소계 온실가스 사용정보 표시를 의무화하며 HFCs 단계적 감축계획에 따라 할당부과금을 부여하고 F-gas 포털을 통해 전과정 보고의무를 부여하는 등 구체적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일본의 경우 프레온류 배출억제법이 2015년에 제정됐으며 프레온류 회수파괴법 전면개정을 통해 HFCs 감축목표를 세웠다. 제품 및 HFCs의 제조‧수입은 △자동차리싸이클법 △가전리싸이클법 등 개별법에서 별도로 관리 중이다. 또한 프레온류 사용전망‧목표에 따라 제조 및 수입업자의 총량감축계획 보고 및 실행의무를 부여한다. 제품의 설치‧폐기 및 사용 중 냉매의 충전‧회수‧폐기규정을 의무화하며 저GWP‧논프레온 제품 구매촉진을 위해 정보표지를 강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HFCs 생산‧소비의 단계적 감축을 위해 AIM Act법이 2020년에 제정됐다. 2036년까지 HFCs 생산소비를 2011~2013년 평균소비량 대비 85%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으며 HFCs의 단계적 생산‧소비 기준비율을 설정하고 할당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제품‧시스템별 GWP 및 적용시기를 설정하고 제조‧수입‧유통을 제한한다. 또한 QR코드 부착 형태로 제품정보 제공을 의무화하며 제품 제조‧수입 업자의 규제물질과 라벨 부착여부를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국내에 경우 키갈리 개정서에 따라 2023년에 오존층 보호법에 HFCs를 규제대상에 포함했다. 2024년부터 수입‧제조량을 동결하며 2029년까지 10% 감축을 시작해 2045년까지 80%를 감축할 예정이다. 또한 대기환경보전법에서 냉동능력 20RT 이상 냉매사용기기의 냉매회수처리를 위무화하며 냉매 제조‧수입업자의 제조‧수입판매량 신고를 강제한다. 냉매회수업자도 냉매회수처리와 보고의무가 부여된다. 전자제품 등 자원순환법에서 폐전자제품‧폐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냉매회수처리도 의무화 하고 있다. 산업부 통계에 의하면 국내 HFCs소비량은 2020~2022년 평균 2만7,459톤이며 그중 냉매와 발포제에 사용되는 HFCs가 각각 71.3%, 18.4%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키갈리 개정서 감축일정계획만으로는 HFCs 감축목표 달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감축 및 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현재 HFCs 관리정책은 저GWP물질로 전환을 위한 구체적 목표설정 및 실행계획이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저GWP물질전환을 위한 정부차원의 산업계 지원이 부족하며 HFCs 소비량‧배출량 감축을 위한 통합관리도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김영성 과장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저GWP물질 사용촉진을 위한 제품군별 명확한 물질전환계획 제시가 필요하며 R&D 추진과 인센티브 등 산업계 지원확대가 필요하다”라며 “또한 누출방지‧회수‧재사용 등 기존 관리체계에 포함되지 못한 사각지대 해소를 통해 실질적 HFCs 소비와 배출량감축계획을 반영하는 식에 개선안을 환경공단에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공단은 기존 관리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관계부처 회의를 통해 HFCs 사용‧배출량 전망 및 협의체 운영계획을 마련해 HFCs 감축 및 관리‧개선방안을 협의했다. 또한 협의체 분과회의를 통해 HFCs 용도별 분과를 구성했으며 정부‧공공기관‧협회‧산업계 의원의 의견을 수렴했다. 협의체 분과회의 결과 산업계에서는 저GWP 물질제한 취지와 방향성에 공감하지만 이를 법적 의무사항으로 규제해야 특정 기업이 불이익을 겪지 않을 것이며 정부가 제품별 제한연도와 목표GWP 등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대체물질 유무, 기술개발 및 안전규정 등을 고려해 제품별로 물질전환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환경공단은 이러한 의견을 반영해 주요내용을 정책개선에 반영할 예정이다. 환경공단에서는 저GWP 전환촉진을 위해 기술 및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주의깊게 보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저GWP 대체물질 또는 핵심부품(압축기, 밸브 등) R&D를 추진하고 누출 저감설비와 고효율 회수장비등 전과정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중으로 배출권거래제 할당업체 대상으로 저GWP 전환설비를 지원하며 내년 이후 할당업체 외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보조사업의 신설을 검토할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인센티브도 확대할 예정이며 인증제도 개선을 통해 소비자 구매를 유도한다. G-SEED에 GWP 배점을 조정하는 등 방안이 대표적이다. 또한 공공소비 촉진을 위해 환경표지 인증 품목을 확대지정하며 공공기관 의무구매를 통해 저GWP제품 소비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가정‧산업용‧냉장 냉매와 공조설비에 활용되는 냉매도 2027년부터 단계적으로 전환할 예정이며 소화약제는 2028년부터 전환을 촉진할 예정이다. 김영성 과장은 “단열재 등에 사용되는 발포제의 경우 대체물질이 부재하며 중간단계 없이 전환을 이루는 것이 무리라는 산업계의 의견에 따라 아직 의무 제한 제품 단계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지속적인 산업계와 대화를 통해 냉매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냉매 전주기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주요 개선방안으로 언급됐다. 사용단계에서 냉매 누출관리를 강화하며 일회용 용기를 제한하는 등 체계가 마련했다. 이를 위해 제조사‧유지보수 등 사용자가 냉매사용량을 신고해 냉매물질 사용량을 관리하며 누출관리 대상을 기존 20RT에서 10RT로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2027년부터 신규냉매 1회용 용기 사용을 제한하며 2030년에 전면금지할 계획이다. 폐기단계에서는 재생냉매 사용을 확대하며 재생냉매 공급체계 및 재생냉매 연간생산량 추정 등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재생냉매의 품질기준 마련 및 품질인증기관을 내년 중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재생냉매 사용 시 품질 인증-시험체계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공공기관‧학교 등 공공분야 냉매회수를 2027년까지 의무적으로 부여해 연간 재생냉매 생산량 검토 후 재생냉매 사용 의무화 기준도 마련할 예정이다. Armacell, 고무발포‧에어로젤… 단열재 기술 선도 김기선 아마쎌코리아 매니저는 ‘고무발포단열재 및 에어로젤 블랭킷 단열재기술 개발동향 및 적용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아마쎌은 설비단열시장과 발포보온재분야 글로벌리더이자 엔지니어드 폼 선두공급업체다. 1954년 발포단열재제품 개척자로 사업을 시작했으며 2000년 Armstrong World Industries에서 단열재 사업 부문을 따로 분리해 Armacell이라는 독립회사로 출범했다. 현재 20개 국가에서 25개 제조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1조2,000여억원 순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그 중 70% 이상 매출이 고성능 단열재에서 발생하며 풍력, 자동차 등 다양한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성능 엔지니어드 폼을 공급하고 있다. ArmaFlex라는 고무발포단열재가 대표적이며 그 외에도 ArmaGel, ArmaProtect 등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는 다양한 단열제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rmaFlex Class1은 한국시장에서 가장 큰 매출비중을 차지하는 제품으로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로 구성돼있다. 수증기 차단기능이 내장돼 있어 단열재 내부부식(CUI)의 위험을 줄이며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불규칙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유의하다. 에어컨, 냉장 및 공정장비의 파이프, 공기덕트 등 제품을 단열해 결로를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약한다. 수증기확산 저항에 강점을 보이며 FM 승인과 BS 476파트 7에 따른 Class 1을 인증받아 화재성능을 인증 받ᄋᆞᆻ다. 또한 장기항균기술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 제품과 달리 24시간 후 세균번식 억제에 유리하며 병원, 연구소 등 세균번식에 취약한 시설에 다양하게 적용된다. 셀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기술을 통해 열전도율과 투습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ArmaFlex Class 0는 안전‧효율성 및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특화 솔루션이다. Armacell Class 1에 비해 난연 성능이 더 강화됐으며 Armacel 고유 Microban 항균제품의 보호기능으로 곰팡이와 박테리아 번식을 줄인다. ArmaFlex Ultima는 화재 시 연기방출이 기존 단열재에 비해 10배 적어서 안전한 설치를 보장한는 특화제품이다. 열전도율과 투습성 등은 타 제품에 대해 떨어지지만 화재성능을 강화하고 자체접착 코팅을 보완한 제품으로 볼 수 있다. Armacell에서는 에어로젤(Aerogel)을 가장 중요한 미래가치 자원으로 여기고 있다. 공기를 뜻하는 Aero와 고체화된 액체를 뜻하는 Gel의 합성어로 Cell구조의 98%가 공기로 이뤄져 가볍고 단열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방음과 소수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ARMGEL XGH는 Armacel에 차세대 에어로젤로 기존 제품에 비해 20% 이상 뛰어난 열성능과 독점적인 저먼지기술을 제공하며 불연성능도 포함하고 있다. ARMGEL XGH의 이점으로는 CUI 완화를 통해 배관 및 장비수명을 연장하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더 얇은 두께로 파이프 충돌을 감소시키며 공간 및 무게절약도 가능하다. 롤 블랭킷 구조로 취급이 용이하며 구부릴 수 있는 소재로 설치가 용이하고 잘못된 취급에도 강한 내성을 가진다. 사용 후 폐기물이 감소한다는 것도 주요이점이다. ArmaComfort는 소음제어솔루션으로 단열파이프, 팬코일, 덕트, 히트펌프 컴프레셔와 같은 건물 장비용으로 특별히 설계됐다. ArmaComfortm의 음향덕트 라이닝은 공기 중 소음을 제어하고 패널진동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며 섬유가 없는 소재를 통해 섬유누출의 위험없이 실내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다. Arma Chek은 해양 및 중공업환경을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염수, 기계적 충격, 자외선공격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유연한 비금속 커버다. 뛰어난 기계적‧자외선 및 내후성을 갖춘 전문적인 커버링시스템을 통해 기계적 손상을 방지한다. 특수 자외선차단 코팅된 다층 알루미늄이 표면에 라미네이트 돼있으며 금속자켓에 비해 간편한 설치와 시간절약을 제공한다. 또한 Armacell에서는 제품 제공 외에도 통합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Application training system을 제공해 단열재 규격선정 공정관리 설치 및 시공감리 등 단열 시공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Arma Win이라는 단열재 두께 계산프로그램을 통해 정확하고 경제성 있는 최적의 보온단열 두께를 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로제어와 에너지효율 극대화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현재 Armacell의 제품에 대해서만 계산을 제공하고 있지만 타사제품도 문의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Energy&Acoustic consulting 서비스를 통해 기존 시설에 대한 단열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측정하며 신규 또는 설비시스템 개선 같은 프로젝트에서 산업용 단열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한다, 설비별 층정결과, 에너지비용 산출, 단열제안, 절감효과 산출, 페이백기간 산출 등 결과 보고서를 제공한다. 김기선 매니저는 “무기계에서 강점을 보이는 중국제품이 현재로서는 경쟁력이 뛰어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Armacell도 실질적인 제품 성능 시험 등을 통해 고온에서 열전도율 유지가 뛰어난 점을 증명했다는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LX하우시스 준불연 PF단열재, 장기열성능·화재안전 강화 김채훈 LX하우시스 팀장은 ‘LX하우시스의 페놀폼(PF) 단열재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을 주제로 발표했다. 단열재 관련 규제는 단열‧화재‧발포제 등 크게 3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먼저 단열기준은 열관류율로 평가되는데 국내에서 최근 20년간 3배 가까운 급격한 속도로 기준이 강화됐다. 화재 관련 규제도 건축법 제52조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서 해외에 비해서도 강력한 기준을 가지고 있다. 난연특성에 경우 무기단열재가 일반적으로 더 뛰어나기 때문에 최근 시장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기소재의 경우 KS M ISO 4898 기준에 의해 준불연특성을 보유하도록 규제된다. 단열재의 단열성능은 크게 Closed-Cell과 Open-Cell 방식으로 구분된다. 단열성능만 두고 보면 Closed-Cell 형태가 유리하며 셀과 셀 사이에 발포제가 자리하는 방식으로 단열역할을 하게된다. 열은 크게 복사‧대류‧전도 3가지 방식으로 전달되는데 이 3요소를 잘 차단해야 단열성능을 확보하게 되는 원리다. LX하우시스는 2013년부터 PF보드를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단열재 사업을 시작했다. 2017년 내단열 난연제품을 양산하며 내단열의 새로운 기준을 확보했으며 2018년에 화재에 보다 안정한 FM인증을 취득하는 등 성과를 이뤄냈다. 2022년에 국내 최초로 유기단열재 ‘준불연Core’를 양산했다. 김채훈 팀장은 “LX하우시스 연구팀은 고객의 관점에서 최선의 제품개발에 노력을 가하고 있다”라며 “일부 중국산 저가제품의 경우 독립기포가 높게 나오지만 장기열전도도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기준을 가지고 제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요즘 VOC관련해 이슈가 되고 있는데 PF의 경우 공기질에 불리한 부분이 있지만 규제에 맞춰서 적합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KCC, 천연바인더·경량그라스울 개발… 무기단열재 성장 대응 한정혁 KCC 책임은 ‘무기단열재(그라스울‧미네랄울‧세라믹파이버) 연구개발 동향 및 적용현황’을 주제로 발표했다. 무기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인조광물섬유(MMVF)로 만들어진다. 인조광물섬유는 장섬유와 단섬유로 구분되며 단섬유의 가공방식에 따라 미네랄울, 그라스울, 세라믹화이버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무기단열재는 유기단열재보다 사용온도 범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2020년 지붕내화구조 개정이 시행되며 무기단열재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 공장 및 창고 착공 축소영향으로 소폭 줄어들었지만 2024년 기준 국내 그라스울, 미네랄울, 세라크 울 시장합계가 약 6,000억원 규모다. 그라스울은 주로 △샌드위치패널 및 지붕패널시스템 △건축물 외벽단열 △건축물 제연설비(덕트) △배관단열 △LNG 저장탱크 벽체 및 지붕 단열에 주로 활용된다. 미네랄울은 △방화문 △건축물 외벽단열 △선박 내화구획 및 파이프 단열 △뿜칠 단열 및 농업 농토에 주로 활용된다. 특히 미네랄울은 그라스울과 달리 드라이비트 공법에 가능한 제품이며 외벽 단열 사용비율이 높다. 세라크울은 △열처리로 △대형압연 가열로 △선박 Bulkhead 및 Deck △수직‧수평 내화로에 주로 활용된다. KCC에서는 Natural Binder라는 그라스울을 개발했다. KCC 자체기술로 천연원료(옥수수)를 활용한 친환경 바인더이며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지 않고 경화강도가 우수해 범용성 높게 사용할 수 있다. 국내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인 HB인증을 받았으며 일본 JIS A 9504 최우수 등급도 획득했다. 한정혁 책임은 “KCC가 개발한 천연바인더는 모든 성능에서 기존 단열재보다 같거나 높은 성능을 유지하며 친환경성을 추가한 제품이다”라고 밝혔다. Soft Touch 그라스울은 유리섬유의 촉감을 개선해 부드러운 섬유개발을 완성했다. 아직 제품화는 못했지만 기술력 확보를 완료했다. 촉감이 좋으며 포름알데히드도 없는 친환경 그라스울이다. 외단열 그라스울로 WaterSate Nature 24‧sms 단열성능 ‘가등급’에 해당하는 가벼운 발수 그라스울 개발로 작업성을 향상시켰다. 기존 밀도 40K에서 24K로 경량화한 단열시공으로 경제성확보가 가능하다. BIO 세라크울은 84년 양산공장에서 처음 생산했으며 현재 김천공장에서 생산중이다. 현재 1,300℃ 조성개발이 완료됐으며 1,400℃ 이상 고온용 BIO 조성연구까지 이뤄지고 있다. 현재 KCC는 파생제품 불연화를 목표로 연구하고 있다. 외피재와 단열재를 부착할 경우 접착제의 양에 따라 불연성능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덕트나 외벽에 들어가는 제품에 복합부착제 완성품도 불연성능을 확보하는 기술개발을 완성했다. 또한 바닥충격음 사후 확인제도가 시행되며 KCC에서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를 위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공명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다공성제품으로 그라스울이나 미네랄울을 활용해 차음성능을 확보하는 시스템 연구를 진행중이다. 한정혁 책임은 “전체 그라스울 중 패널의 비중이 가장 큰 패널 비중이 금리 상승으로 공장 생산이 중단되며 감소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제연설비 등 다른 분야로 확대를 이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LNG·수소운반선 핵심 ‘극저온 단열시스템’… 국산화·기술독립 본격화 송창용 목포대 극저온단열시스템연구센터장은 ‘LNG-수소운반선 화물창용 극저온 단열시스템 개발동향 및 적용전망’을 주제로 발표했다. LNG는 유전에서 추출한 천연가스로 효율적인 저장‧운송을 위해 영하 163°C의 액화시킨 무색 무취의 액체다. 액화시 부피가 1/630으로 감소돼 효율적인 저장과 운송이 가능하다. 액화 전에 불순물인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암모니아 수분 등이 제거되므로 불순물이 거의 포함되지 않으며 고에너지를 가진 청정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LNG의 가치사슬은 선박관점에서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다운스트림으로 구분된다. 업스트림은 탐사개발생산 단계를 포함하며 미드스트림은 액화와 운송을 하는 단계로 이 과정에서 운반선이 활용된다. 이후 기화과정을 거쳐 다운스트림으로 공급돼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LNG 운반선은 천연가스를 액화해 안전하고 대량으로 운송하기 위한 선박으로 전용 화물저장고(CCS)를 보유한 선박을 의미한다. CCS는 천연가스를 영하 163°C로 액화된 상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기밀기능을 가진 1차‧2차 방벽과 단열 및 보냉목적의 단열층으로 구성된다. IMO LNG CCS 규격으로는 크게 독립형과 일체형(멤브레인) 타입이 있으며 2000년대 이후 GTT사의 멤브레인 방식이 절대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액화수소는 LNG와 마찬가지로 액화시 부피가 1/800까지 감소해 액체 상태로 운송하게 된다. 액화수소는 가스 중에 가장 작고 가벼와 재료 투과성이 높으며 액화점이 매우 낮아 대기 환경에 노출되면 빠르게 기화해 시스템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운송이 까다롭다. 수소운반선은 LNG 적용사례와 달리 다수의 국제 안전기준에 따라 이중구조 진공단열이 적용돼야 한다. 아직 LNG 운반선과 달리 상용화되지 못했다. 현재 2가지가 프로토타입 형태로 제시돼 향후 개발될 예정이다. IMO 독립형 탱크 방식과 일체형(멤브레인)타입이 있는데 외부환경으로부터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해 IMO 독립형 탱크 방식이 선호된다. 액체수소 저장 및 공급은 극저온과 함께 수소의 투과성 및 취성화 방지가 핵심이다. 한국은 기술적으로 세계최고 조선강국으로 LNG운반선 건조에서도 85% 이상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2025년 이후로 발주량 감소시기가 찾아올 것으로 예측돼 3년 호황기 동안 친환경 선박수주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LNG를 해상에서 공급하기 위해서는 운반선 외에도 LNG FPSO, VLEC 등 다양한 선박이 활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LNG CCS의 개발이 각광받고 있으며 향후 기술경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센터는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LNG 단열시스템 실증기반 구축사업을 진행했다. 한국기계연구원과 현대중공업 등 다양한 기업이 참여해 LNG 극저온 CSS 소재 및 구조체의 성능평가 기술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48종의 장비를 구축했으며 열성능 평가 및 단열에 관한 모든 시스템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마련돼 있다. 경량‧고강도 단열소재 ‘글라스 버블’, 액화수소‧자동차 활용 확대 윤인섭 3M 수석연구원은 ‘건축‧산업용 단열소재 글라스버블(Glass Bubbles) 개발동향 및 향후 활용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3M의 글라스버블은 유리로 구성된 복합소재로 단열재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된다. 산업에서 흔히 사용되는 Talc에 비해 최대 20배까지 비중이 훨씬 낮은 경량소재이다. 가운데가 빈 구상소재의 유리로 단열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강도(Crush Strength)와 True Density가 상충관계로 있어 공정에 맞춰서 재료의 강도와 밀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강도를 최대로 유지할 경우 압출이나 사출이 필요한 공정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최대 600℃까지 온도를 견딜 수 있어 불소수지를 제외하고 대부분 재료와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글라스 버블은 3M에서 가장 가벼운 제품인 K1 기준으로 이론상 열관류율이 0.047W/㎡K에서 가장 높은 경우 0.2 수준으로 계산됐다. 폴리머 등 타 발포성 소재에 비해 열관류율이 다소 높은 수치지만 대신 유리를 활용해 고강도 성능을 강점으로 내새웠다. 예를 들어 석유 심해 파이프라인에 수압을 견디는 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벼움 때문에 자동차에도 주로 사용된다. 글라스울은 액화수소 단열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혼합제 형태로 사용된다. 탄산칼륨을 포함한 여러 소재와 배합한 도료를 만들었을 때 기존 탄산칼슘이나 기존 페인트와 비교해서 상당히 높은 Reflectance value를 확보하며 SRI 값도 높게 나타나 열 반사에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3M 자체 실험결과 글라스울 배합량을 늘릴수록 결로현상이 줄어드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제로 국내에서 결로방지 페인트에 글라스울을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수소가 각광받는 상황에서 액화수소 탱크에 단열재로 글라스울이 활용된다. 1990년대부터 나사(NASA) 수소탱크에 글라스울이 적용되며 Boil-off rate(자연적으로 증발되는 가스의 비율)가 기존 대비 최대 48% 가량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대규모 액화수소 탱크에 적용하기에 글라스울이 유리한 측면이 있으며 진동과 충격에도 강해 장기 내구성이 보장된다. 건설연, 성능중심에서 구조중심으로 화재대응 전환… 배관보온재 R&D기반 실물시험 병행 채승언 건설연 수석연구원은 ‘건축물 배관단열재(보온재)의 화재안전 성능 평가방법 및 정책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지하주차장 내 화재확산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배관보온재의 난연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관련 기준개정과 함께 구조적 대안 마련에 나섰다. 건설연은 배관 온재의 화재확산 방지구조를 개발해 국토교통부에 제안할 예정이며 중규모 이상의 실물시험체계 도입도 추진된다. 배관보온재는 건축법상 내부마감재에 해당되지 않아 그간 난연기준 적용대상에서 제외돼 왔다. 최근 지하주차장 내 차량 화재 확산과 맞물려 정책 개선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특히 청라 아파트 및 천안 주상복합 화재사례에서는 천장 배관보온재를 따라 불이 번진 것으로 확인되며 단열재 난연성능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건설연은 배관보온재의 전면적 불연화가 어렵다는 현실을 반영해 일정 간격마다 불연재를 배치해 연소확산을 차단하는 화재확산 방지구조를 표준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화재 시 전파 속도를 줄이고 피해범위를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구조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기존 소형 시편시험이 아닌 중규모 실물시험 기반의 시험방법과 평가기준을 함께 개발한다. 시험기준은 향후 KS화 또는 기존 KS시험을 통과한 제품에 한해 전 구간 적용 허용 등 성능인증 방식으로도 병행될 수 있다. 건설연은 이와 함께 배관보온재를 포함한 단열재 전반을 대상으로 화재안전 모니터링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건축법 제68조3에 따른 건축물 화재안전 모니터링 제도에 따라 시공현장, 유통 제품, 시험기관까지 점검하는 체계다. 채승언 연구위원은 “배관보온재는 앞으로 구조기준 또는 성능기준을 충족한 제품만 사용할 수 있도록 바뀔 것”이라며 “업계는 자재개발과 시장대응전략을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국내 데이터센터(DC)시장이 폭발적인 수요와 투자확대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 전력인프라 병목, 건설·토지비 상승, 인허가 지연, ESG 및 에너지규제 강화 등 복합적인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신규투자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전력계통 병목, 수도권 공급 한계 산업통상자원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DC부문 전력수요는 전력계통소비량 기준으로 2025년 2.7TWh에서 2030년 10TWh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38년에는 15.5TWh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력계통 최대전력 기준으로는 2025년 0.5GW인 DC 최대전력은 2030년 2.3GW, 2038년 4.4GW로 추정된다. 현재 국내 DC의 상당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송·배전계통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세빌스코리아가 발표한 ‘2024 상반기 한국 데이터센터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7년까지 수도권 데이터센터 전력수요는 원전 3기에 해당하는 3.2GW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는 2023년 대비 약 2.4배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전력공급 부족으로 현재 수도권 내 추진 중인 데이터센터 인허가 33건 중 절반 이상이 전력수급 지연문제로 착공이 미뤄지고 있다. 이처럼 이미 전력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앞으로도 수요증가 추세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공사지연은 프로젝트 비용증가를 동반해 사업성 악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공사비 및 설비 단가 상승…ROI 장기화 데이터센터 건설에 소요되는 총공사비 증가도 사업성을 악화시키고 있다. 총공사비는 전년 대비 최대 8% 이상 증가하고 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는 공급망 교란과 건설시장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으며 아‧태지역 대부분 시장에서 대출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구축비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제임스 노르만데일 (James B. Normandale) 아‧태DC 건설‧프로젝트 개설서비스담당은 “데이터센터 시장은 역사상 가장 높은 개발 비용에 직면해 있다”라며 “비용증가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트렌드, 산업우대 조치, 규제완화, 미래수요, 기존 IT용량 간 차이 등에서 발생하는 기회를 노리는 투자자들의 관심에 따라 산업이 계속 성장하고 있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데이터센터 개발활동은 여전히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업계에서는 고사양 설비수요 증가와 함께 시공경험을 갖춘 전문건설사 부족으로 고가수주가 형성되고 있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특히 데이터센터의 경우 전체 건설비의 약 50% 이상이 전기·기계설비에 집중되며 최근 리퀴드쿨링 등 고효율 냉각기기와 고집적 전력장비 도입으로 인해 설비단가가 지속 상승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1개소당 총투자비는 평균 3,000억~5,000억원 이상으로 ROI 회수기간이 점차 장기화되는 구조다. 지역별 공사비를 살펴보면 쿠시먼앤웨이크필드는 2023년 기준으로 10~50MW급 DC 구축 시 최소값 기준으로 △일본 1,005만달러/MW(약 147억원) △싱가포르 887만달러/MW(약 130억원) △한국 729만달러/MW(약 107억원) △홍콩 726만달러/MW(약 107억원) △호주 724만달러/MW(106억원) 등으로 집계했다. 이에 비해 터너앤드타운샌드(Tuner & Townsend)는 도시별로 구축비용을 집계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으로 △도쿄 1,430만달러/MW(약 210억원) △싱가포르 1,380만달러/MW(약 202억원) △서울 990만달러/MW(약 145억원) 등으로 분석했다. 토지매입비 상승… ‘전력매점매석’ 횡행 토지 확보비용 역시 데이터센터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수도권 및 주요 연계지역에서는 용지확보 경쟁심화로 인해 부지가격이 최근 5년간 최대 70%까지 상승했으며 전체 사업비의 20% 이상이 토지비용으로 소요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2023년 기준 지역별 토지비용지수를 △싱가포르 1만1,573달러/㎡(약 1,700만원, 평당 5,600만원) △한국 9,695달러/㎡(약 1,021만원, 평당 3,370만원) △홍콩 3,418달러/㎡(약 501만원, 평당 1,653만원) △일본 3,320달러/㎡(약 487만원, 평당 1,607만원) 등으로 발표했다. 국내 도시를 살펴보면 △서울 10,525달러/㎡(약 1,021만원, 평당 3,370만원) △부산 8,865달러/㎡(약 501만원, 평당 1,653만원) 등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존 시세대로 토지를 매수한 뒤 한국전력과 수전계약을 체결하고 MW당 수십억원대에 매각하는 ‘전력 매점매석’ 행위가 수년 전부터 시장을 교란하고 있지만 이를 제재할 방안이 모호하고 당국의 의지도 미흡해 아직 관련 행위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SG 및 규제강화… 비용 ‘이중 부담’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는 1,000m² 이상 민간건축물에 대해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인증 5등급 수준 설계를 의무화했다. DC 역시 대상에 포함되지만 아직 정확한 규정이나 기준은 공표되지 않아 기존 제도적용을 받는 상태다. 국토부는 연내 건축물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개정할 방침이며 이에 따라 신규 인허가DC는 에너지절약계획서 상 가점조건을 충족해야 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의무점수 획득을 위한 고효율설비,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해 냉각효율, 배전효율 확보 특수설비가 필수화되면서 초기건설비 부담가중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다만 현재 국내 정치불안정과 주무부서인 녹색건축과 인사이동 등에 따라 개정이 연내 이뤄지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며 ‘ZEB인증 의무화’와는 다른 기준을 적용받는 만큼 인허가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23년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에 따라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대규모 전력사용 시설은 전력계통영향평가를 실시해야 하며 이는 전문 대행기관에 수천만~수억원 단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구조다. 해당 제도는 발전·송전계통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으로 착공 이전 필수절차로 규정돼 있다. 시장정상화‧고부가가치 전략 전환 시급 이에 따라 업계 전문가들은 업계의 자정작용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DC시장이 고성장추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비효율적 시장비용 구조는 자칫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저해해 공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력수급문제, 토지 매점매석 행위, 전력계통영향평가 대행비용 등 시장을 교란하는 구조, 정책, 제도 등에 대한 개선과 적정수익을 초과하는 일부 과도한 이익창출 행위에 대한 단속이 필요할 전망이다. 또한 DC사업자의 경우 단순 임대형모델에서 벗어나 AI HPC, 엣지컴퓨팅, 모듈형 데이터센터 등 고부가가치·고효율 구조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정부 차원의 인프라 공동 구축, 규제 유예, 세제혜택 등도 병행되지 않으면 향후 대규모 민간투자 유치에 한계가 따를 것으로 우려된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3월4일 대표발의한 건물부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일부개정법률안’과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재생열에너지 및 기계설비업계에서 협·단체를 중심으로 반대 기류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해 반대기류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3월16일 20시30분 현재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김성환 의원이 대표발의한 공기열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인정하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등록된 의견을 보면 1만1,100여건이 등록됐으며 이중 95% 이상 법안을 적극 반대하고 있다. 또한 일정 성능 기준 이상 히트펌프를 설치하려는 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일부개정법률안’에는 1만300여건의 등록의견 중 95% 이상이 반대의견이다. 탈탄소정책 역행 국내 발전비율을 2023년도 기준 화석연료 발전이 총 58.5%으로 국내전기생산을 담당하고 있어 현시점에서 소비전력이 높은 제품을 적용되는 것은 탈탄소 정책에 역행한다고 보고 있다. 또한 건축법에 근거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3조는 과대 전기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규칙이므로 입법취지에 따라 전기를 과대 사용하는 공기열을 이용하는 것은 화석연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비율을 높이고 그에 따른 전기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량이 국내정책상 과대 생산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므로 탄소절감이라는 명제는 부합하지 않는 법률안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건축법, 중소기업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법, 신재생에너지 촉진법 등에도 위배된다고 강조한다. 건축법에 근거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3조'는 과대 전기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규칙이므로 입법취지에 따라 전기를 과대 사용하는 공기열을 이용하는 것은 화석연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비율을 높이고 그에 따른 전기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량이 국내정책상 과대 생산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므로 탄소절감이라는 명제는 부합하지 않는 법률안이다.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1조’는 ‘중소기업제품의 구매를 촉진하고 판로를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경영안정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법률로서 현재 국내시장에서 공기열 히트펌프의 독점적 지위는 대기업이 점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로 입법안이 통과되면 중소기업의 공공시장마저 대기업으로 넘어가는 법률안이므로 중소기업의 생존권이 무너지게 되므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가 먼저 중소기업에 대한 생존권을 보호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에서 재생에너지는 ‘햇빛·물·지열(地熱)·강수(降水)·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정의하는 바 공기열은 계절별 자연적인 재생이 지연되고 또한 기계적인 재생을 요구하는 에너지로 평가되는 것으로 적정성이 결여된 에너지원이라고 강조했다. 기술적인 문제도 지적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술적으로 공기열 히트펌프 실외기(여름철 응축부+겨울철 증발부)는 난방시 외기온도 7℃ 냉방시 외기온도 35℃시 대략 COP 2.8로 추정된다”라며 “국내기후가 많은 변화로 여름철에는 올여름 최고 41.6℃ 2023년도 서울아침 최저 -17℃로 공기열히트펌프 고온 및 저온의 외기환경에서는 소비전력이 냉방시 30% 이상 증가, 난방시 180% 이상 증가로 우리나라 기후조건에서는 혹서기 및 혹한기에는 전력소비가 많아 COP 현저히 떨어져 적절한 시스템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지열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력을 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 열원은 온실가스 배출기준을 발전소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로 환산하는 계산식을 부여하는데 올해부터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제도가 폐지되고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제도로 통합돼 운영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열원별 기기에 투입되는 전력량에 1차에너지 환산계수인 2.75를 곱해 총 생산열량에서 감하는 것을 순 생산량으로 정의하고 있다"라며 "즉 시스템COP(성적계수)가 2.75 이하라면 발전소에서의 연료소모량을 감안해 온실가스를 위시한 탄소중립에 오히려 마이너스가 된다"고 밝혔다. 이어 "공기열원 히트펌프업체에서 무리하게 제시하는 COP수치를 감안하더라도 실제 현장에서 동절기 공기열원 히트펌프의 COP는 1.2~2.0 정도이며 Field Site에서 공정한 기준에 의해 측정해보면 인정할 수준"이라며 "난방COP가 2.0 이하라면 발전소에서의 발전효율을 감안한 1차에너지환산계수를 적용할 때 온실가스 등의 배출은 일반 보일러를 사용하는 것보다 증가할 수밖에 없어 이번 법안의 주장이 얼마나 허구인지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반대의견을 내는 전문가들은 한국의 난방은 거의 대부분 바닥난방으로 유럽의 대류를 이용한 난방과는 크게 차이가 있어 히트펌프 보급이 확대될 수 없다. 또한 동계의 평균온도는 각 나라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나 유럽은 해양성 기후로 인해 0∼10℃ 조건으로 유지돼 공기열 히트펌프로 난방운전이 최적화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동계온도와는 많은 차이가 있고 운전 조건, 생산 열원량도 차이가 많다고 지적한다. 히트펌프는 콘덴싱 보일러, 일반보일러 대비 28~35% 탄소 배출 효과가 기대된다는 법률안에 대해서도 공기열 히트펌프의 사용에너지는 전기이며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국내 사용 열원으로 전기생산발전 비율을 보면 절대적으로 화석연료가 58.5%로 히트펌프를 사용하면 할 수로 화석연료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탄소 배출도 더욱 증가되는 구조라는 것. 이에 따라 전체적인 에너지 측면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1차 가공 후 생산된 전기에너지와 가공되지 않은 직접의 화석연료 사용과 비교 시 탄소 배출 감축 효과가 전기가 우월하다고 볼 수가 없다. 결국 유럽연합(EU)의 2024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47.4%, 원자력에너지 23.7%, 화석연료 발전 비중 28.9%로 청정에너지 비율이 71.1% 수준으로 유럽은 전기를 이용한 히트펌프 사용으로 탄소배출 효과가 있으나 국내 조건을 유럽과 비교해 많은 감축 효과가 발생된다는 것을 논의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히트펌프에 대한 설비보조금을 지원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공기열 히트펌프 주요 제조사는 대기업으로, 일반 건축물 및 관공서에 히트펌프설치를 적극 장려하고 보조금까지 지급하면 이와 관련된 중소기업의 제조사는 생존에 많은 타격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돼 반대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냉난방을 공기열 히트펌프로 사용하면 기존 냉난방 공조관련 제조사들 냉동기+보일러 제조사, 냉난방 겸용 흡수식냉동기 제조사, 냉각탑, 공조기, 팬코일유닛,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제조사, 배관업체, 관련 밸브업체, 보온재업체, 통합 제어업체, 전기 판넬을 제작하는 제조사 등 수많은 중소기업체들의 일거리가 없어지거나 경쟁력이 떨어져 관련 종사자는 일자리가 없어지고 생계에 큰 타격이 올 것으로 보이기에 법안 발의는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요청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법령을 제정한 목적은 에너지수급을 안정시키고 에너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증진하는 것”이라며 “한국전력은 과거 하계에 심야전기를 이용 축열, 축냉을 이용해 냉방에 사용하도록 권장해 피크전력을 관리했으며 그 이전에는 하계에 전기사용량 폭증을 막기 위해 건물의 냉방을 전기가 아닌 경유, 가스 등의 열원을 사용토록 한 흡수식 냉온수유닛을 권장한 적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공기열 히트펌프를 건물의 냉난방으로 사용할 경우 전체적인 전기사용량이 늘어나 향후 원활한 전력수급을 위해 다각도로 검토하는 오류가 다시 발생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 법안 발의 시 신중한 검토를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한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된 기술에 대해 보조금,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이 있다"라며 "여기에 공기열원 히트펌프를 포함시키게 되면 전기소비량이 많은 대규모 건물에서 보조금 혜택을 얻기위해 무분별하게 설치될 가능성이 있어 실제로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효과적인지에 대해 큰 논란이 일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